output
stringlengths 41
2.74k
| input
stringclasses 1
value | instruction
stringlengths 11
154
|
---|---|---|
ZTE가 2013년 3월 미국 지역 통신사 크리켓 와이어리스와 캐나다를 통해 출시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기기명은 V8000. | ZTE Nova 4에 대해 설명해줘. |
|
ZTE가 2013년 2월, MWC 2013에서 공개한 Firefox OS 기반 스마트폰. 출시는 2013년 8월에 실시되었다. | ZTE Open에 대해 설명해줘. |
|
ZTE가 2011년 2월에 공개한 안드로이드(운영체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 ZTE SKATE에 대해 설명해줘. |
|
ZTE가 2011년에 출시한 안드로이드(운영체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기기명 T60. | ZTE Tureis에 대해 설명해줘. |
|
2012년, ZTE가 미국 지역 통신사인 Telcel을 통해 출시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 ZTE Whiri에 대해 설명해줘. |
|
ZTE가 2012년 9월에 공개한 Blade III의 파생 모델로, 2012년 10월에 한국 G마켓을 통해 출시한 안드로이드(운영체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기기명은 V889F. 글로벌 시장 출시는 정확하지 않으나 2013년 4월로 추측되고 있다. | ZTE 제트폰에 대해 설명해줘. |
|
ZUN은 일본의 게임 크리에이터이자 동방 프로젝트의 창시자다. 동인서클 '상하이앨리스환악단'으로 활동한다. 그래서 동프팬들 사이에서 별명은 하쿠레이 신사의 신주. | ZUN에 대해 설명해줘. |
|
구글에서 제공하는 오픈소스로 Zebra Crossing의 약자. QR코드 스캔 애플리케이션의 대다수가 이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정도로 널리 쓰이고 있는 코드다. 다양한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인식할 수 있는 바코드 종류는 총 15가지. | ZXing에 대해 설명해줘. |
|
2010년 설립된 러시아의 게임 회사이다. 본사는 러시아의 모스크바에 있고, Cut the Rope의 인기에 힘입어 2011년에 ZeptoLab UK Limited 란 이름으로 영국 런던에 스튜디오를 열었다. | ZeptoLab에 대해 설명해줘. |
|
ZiS-30은 1941년에 만들어져 소련군에 의해 사용된 경량 대전차 자주포이다. T-20 콤소몰레츠 장갑 트랙터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 ZiS-30에 대해 설명해줘. |
|
BEMANI BEMANI 시리즈 수록곡. 작곡가는 Jimmy Weckl로, 그의 전형적인 퓨전계열 악곡 중 하나다. | Zigzag Life에 대해 설명해줘. |
|
한국의 남성 아이돌 그룹 동방신기의 2번째 일본 정규 앨범인 Five in the Black의 1번 트랙. 브래스 밴드를 앞세운 재즈 풍의 반주가 특징. 후렴구에서 쏟아져 나오는 멤버들의 하모니가 일품이다. | Zion에 대해 설명해줘. |
|
실제로도 존재하는 땅따먹기라는 개념을 스타크래프트로 가져온 유형의 맵으로 단순해서 누구나 하기 쉽지만 나름의 전략이 필요하다는 점이 매력으로 다가온다는 점 때문인지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아왔다. | Zone Control에 대해 설명해줘. |
|
드래곤볼의 용어. 원작(일본어) 기준 발음은 지전사 가 아니라 제트전사라고 읽는다. | Z전사에 대해 설명해줘. |
|
백슬래시(backslash, U+005C). 슬래시(slash, /)를 반대로 한 기호다. 1961년에 밥 베머(Bob Bemer)가 아스키 코드를 만들면서 추가한 문자다. | \에 대해 설명해줘. |
|
기원전 고대 로마의 작가 푸블릴리우스 시루스(Publilius Syrus)의 명언으로 알려져 있다. <표준국어대사전>은 이 말을 '부지런하고 꾸준히 노력하는 사람은 침체되지 않고 계속 발전한다는 뜻'으로 설명하고 있다. | a rolling stone gathers no moss에 대해 설명해줘. |
|
일본의 인기밴드 L'Arc~en~Ciel의 드러머이자 1인 밴드 acid android의 보컬, 기타, 프로그래밍. | acid android에 대해 설명해줘. |
|
전 ahq Korea의 원거리 딜러였던 '피미르' 천민기 선수가 자신의 인생을 비관하며 자살을 기도하기 전 롤 인벤에 ahq Korea 소속 당시 승부를 조작한 사실을 자백하고 자택 건물 12층에서 투신한 사건. 그러나 사건을 폭로한 당사자가 지인을 약물강간한 사실이 드러나 충격을 주었다. | ahq Korea 승부조작 및 천민기 선수 투신사건에 대해 설명해줘. |
|
코나미에서 1999년부터 개발하고 판매하는 리듬게임 BEMANI BEMANI 시리즈 중 하나. 비트매니아 시리즈의 후계 기종으로 개발된 게임이다. 모체인 beatmania, 또 다른 후계 기종인 beatmania III는 시리즈가 종료되어 지금 남은 비트매니아는 이것 뿐이다. | beatmania IIDX에 대해 설명해줘. |
|
책상 위나 야외에서 저렴하고 간편하게 사용하는 목적으로 이용되는 일종의 미니 오디오. 꼭 들고다닐 필요는 없다. | boombox에 대해 설명해줘. |
|
che:櫻井(사쿠라이)는 니코니코동화에서 활동하고 있는 여성 우타이테이다. | che:櫻井에 대해 설명해줘. |
|
Cocos2d는 오픈 소스 2D 게임 엔진으로 대표적인 2d-x 버전을 비롯한 여러 가지 변종이 있다. | Cocos2d에 대해 설명해줘. |
|
BEMANI BEMANI 시리즈 수록곡. 작곡은 TOMOSUKE. 여기에 jazzin'park가 편곡, frances maya가 작사와 보컬로 참여했다. 이 조합으로는 기타프릭스&드럼매니아 V6의 walk with you 이후 두 번째 곡이다. | cosmic agenda에 대해 설명해줘. |
|
일본의 동인 음악 동인 서클 서클. 서클 대표는 도부우사기. 탄주결계 시리즈의 동방 프로젝트 BGM 어레인지 앨범으로 유명하며, 동방자향화의 음악 CD 제작에도 참여했다. 또한 Flowering Night의 주최 서클이기도 하다. | dBu music에 대해 설명해줘. |
|
악튜러스에 등장하는 고대무기이자 인간의 결전병기. 직역하면 디어사이드 신 살해자. | deicider에 대해 설명해줘. |
|
Nerd, Geek 같은 비슷한 부류 중에서도 뭔가 다른 보통 사람들과는 어울리기 힘든 사람을 부르는 영단어. | Dork에 대해 설명해줘. |
|
코나미에서 서비스하는 오락실 게임 네트워크 시스템. 2005년 11월 BASEBALL HEROES의 가동과 함께 개시되었다. 일본 현지의 유저들 사이에서는 e-PASS 등으로 줄여서 표기하며, 국내에서는 '이어뮤'나 '이아무세' 등으로 통한다. 국내에서는 BEMANI BEMANI 시리즈를 통해서 알려진 시스템이지만 BEMANI 시리즈 이외에도 근래에 코나미에서 만든 오락실 게임들은 거의 모두 이 서비스를 사용한다. | e-amusement pass에 대해 설명해줘. |
|
ePSXe(enhanced PSX emulator)는 x86 기반의 Microsoft Windows 윈도우, 리눅스, 안드로이드(운영체제)용 플레이스테이션 에뮬레이터이다. 개발자는 "Calb", "_Demo_", "Galtor" 세 명이다. 이하는 위키백과 ePSXe 문서를 번역·편집·추가한 것. | ePSXe에 대해 설명해줘. |
|
Perfume의 메이저 데뷔 이후 일곱 번째 싱글 <love the world>의 커플링곡. 2008년 7월 9일에 발매되었다. | edge(Perfume)에 대해 설명해줘. |
|
코나미에서 2003년도[* 첫 버전은 3월, 2nd avenue는 12월에 발매]에 발매한 미니게임 컴필레이션 및 연동 시스템. 장르는 디지털 쇼핑 시뮬레이션. 일본 현지의 약칭은 芋로, ee'MALL과 발음이 비슷하다[* LL은 묵음으로 처리하고 芋의 독음은 이모(いも).]는 것을 이용한 언어유희. 리듬게임 갤러리에서 가끔 이걸 얘기할때 앞의 두글자 때문인지 용개몰이라 부르기도. | ee'MALL에 대해 설명해줘. |
|
유비트 시리즈의 수록곡. 작곡은 猫叉Master+. Far east nightbird와 squall의 뒤를 잇는 猫叉Master의 감성적인 드럼 앤 베이스 곡이다. | encounter에 대해 설명해줘. |
|
EPUB(electronic publication)은 국제 디지털 출판 포럼(IDPF, International Digital Publishing Forum)에서 제정한 개방형 자유 전자책 전자서적 표준이다. 보통 epub, 또는 ePub 으로 표기하곤 한다. | epub에 대해 설명해줘. |
|
Perfume의 메이저 데뷔 이후 열두 번째 싱글 <ねぇ>의 커플링곡. 2011년 11월 10일에 발매되었다. | FAKE IT에 대해 설명해줘. |
|
일본의 여성 가수 하마사키 아유미의 30번째 싱글(음악) 싱글. 하마사키 아유미와 나가오 다이 (DAI) 의 공동 작곡이다. TBS 드라마 '고원에 어서오세요' 주제가이기도 하였다. | forgiveness에 대해 설명해줘. |
|
팝픈뮤직 14 FEVER!의 통상해금곡으로 등장했다. 작곡은 D-crew. | full-consciousness green에 대해 설명해줘. |
|
일본의 3인조 음악 그룹으로, 90년대 중후반 일본 대중음악계를 풍미했던 그룹이다. 소속사는 에이벡스, 레이블은 에이벡스 globe.[* 이름에서 알다시피 globe만을 위한 프라이빗 레이블이다. 단, 기획반은 에이벡스 트랙스에서 발매.] 주요 장르는 얼터너티브 록, 트랜스, 프로그레시브 록, 사이키델릭 록 등 다양한 장르를 시도하였다. 흔히 '댄스 그룹'으로 인식되지만 사실 댄스 음악은 첫 앨범이 끝이다. | globe에 대해 설명해줘. |
|
'붓 풀어주기'은 데드볼P가 2009년 5월 31일에 니코니코 동화에 투고한 하츠네 미쿠의 VOCALOID 오리지널 곡이다. | 붓 풀어주기(VOCALOID 오리지널 곡)에 대해 설명해줘. |
|
BEMANI 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아티스트 명의는 Vandalusia改. 실제로는 wac과 Ryu☆의 합작곡이다. 제목은 스페인어로 "진실의 시간", 또는 "결정적인 순간"이라는 뜻. | hora de verdad에 대해 설명해줘. |
|
iOS란, Apple이 생산하는 제품 중 모바일 기기에 탑재되는 운영 체제. iPhone, iPod touch가 사용하고 있는 모바일 운영 체제이다. 요즘은 매년 WWDC에서 새 버전이 공개된다. 아이패드의 OS는 13번째 버전부터 iPadOS로 독립하였다. | iOS에 대해 설명해줘. |
|
한국 시각 기준 2013년 6월 11일 WWDC 2013에서 공개되었고 한국 시간 기준 2013년 9월 19일 오전 2시에 일반 사용자들에게 배포된 iOS. | iOS 7에 대해 설명해줘. |
|
2008년 9월 9일 출시된 Apple의 두번째 iPod touch iPod touch. | iPod touch(2세대)에 대해 설명해줘. |
|
iOS 및 안드로이드로 출시된 텍스트, PDF, 그림 파일 뷰어 애플리케이션. | ibunko에 대해 설명해줘. |
|
BEMANI BEMANI 시리즈 수록곡. 작곡은 Qrispy Joybox. | ice crystals에 대해 설명해줘. |
|
BEMANI BEMANI 시리즈 수록곡. 작곡은 DJ TOTTO 보컬은 prompt, connective, Clumsy thoughts을 불렀던 *spiLa*. Valanga 하드코어 하거나, Windy Fairy 활기 차거나 했던 기존의 곡들과는 다르게 다소 가라앉은 느낌에 맑은 *spiLa*의 보컬이 더해진 곡이다. | illumina에 대해 설명해줘. |
|
jQuery는 HTML 속 클라이언트 사이드 스크립트 언어를 단순화하도록 설계된 브라우저 호환성이 있는 JavaScript 라이브러리이다. 존 레식에 의해 2006년 뉴욕 시 바캠프(Barcamp NYC)에서 공식적으로 소개되었다. | jQuery에 대해 설명해줘. |
|
kokone(心響, 코코네)는 인터넷(기업) 인터넷 사가 개발한 VOCALOID VOCALOID3 음원이자 캐릭터다. 일러스트레이터는 앗키진(あっきー人). 음성 제공자는 밝혀지지 않았다. 2014년 2월 14일에 발매되었다.[* 유니(VOCALOID) 유니와 똑같은 날이다.] | kokone에 대해 설명해줘. |
|
'letter song'은 doriko가 2008년 6월 26일에 니코니코 동화에 투고한 하츠네 미쿠의 VOCALOID 오리지널 곡이다. | letter song에 대해 설명해줘. |
|
에미넴과 그의 친구 로이스 다 파이브 나인의 프로젝트 듀오인 "Bad Meets Evil"의 1집 앨범 Hell: The Sequel에 수록된 유명한 곡이다. | Lighters에 대해 설명해줘. |
|
후쿠오카를 비롯한 큐슈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일본의 여성 아이돌 그룹. LinQ는 Love in Qushu에서 따온 것으로, 발음은 'リンク'(링크, 링쿠)라고 읽는다. Love in 큐슈 외에도 '아이돌 활동을 통해서 여러 사람들, 지역, 국경을 이어줄 수 있는 그룹이 되고 싶다. 또한 "미소의 가교"가 될 수 있으면 하는 마음을 담아서 LinQ라고 명명했다라고 하는 걸로 봐서 Link와 같은 발음을 의식하고 만든 걸로 보인다. 주요 멤버로 타카키 유우미가 있다. | LinQ에 대해 설명해줘. |
|
라이트캠(liteCam)은 국내의 원격 솔루션 개발기업인 알서포트(RSUPPORT)에서 개발한 동영상 캡쳐 및 녹화 프로그램이다. | liteCam에 대해 설명해줘. |
|
littlewargame은 JBS가 HTML로 제작한 RTS 온라인 게임이다. 다운로드없이도 할 수 있는 웹게임이기도 하다. | littlewargame에 대해 설명해줘. |
|
Perfume의 메이저 데뷔 이후 일곱 번째 싱글. 2008년 7월 9일에 발매되었다. | love the world에 대해 설명해줘. |
|
린(Lynn)은 일본의 여성 성우이다. 브리드컷 세라 에미처럼 황백혼혈 백황혼혈 성우로도 유명하다. 본명은 불명이며 소속사는 아트비전. | Lynn에 대해 설명해줘. |
|
2009년 스위스에서 창단된 스타크래프트 2 프로게임단이다. 그외에 리그 오브 레전드, 도타 2, 콜 오브 듀티, 카운터 스트라이크 등을 운영하고 있다. | mYinsanity에 대해 설명해줘. |
|
캐나다 DJ deadmau5가 설립한 레이블이다. 초기 카탈로그는 deadmau5 자신의 당시 음악스타일인 프로그레시브나 일렉트로 하우스로 구성되었으나 최근 몇년간라인업에 신규 아티스트들을 꾸준히 영입하며 테크노와 IDM 등 다양하고 독특한 스타일로 전환하는 경향을 보인다. | mau5trap에 대해 설명해줘. |
|
'MISTAKE''는 나나호시 관현악단이 2013년 3월 18일에 니코니코 동화에 투고한 하츠네 미쿠의 VOCALOID 오리지널 곡이다. | MISTAKE에 대해 설명해줘. |
|
2002년 12월 6일에 발표된 컨테이너 포맷으로, 흔히 MKV 파일이라고 부르는 마트료시카 멀티미디어 컨테이너(Matroska Multimedia Container)는 오픈 표준 자유 컨테이너 포맷이다. | MKV에 대해 설명해줘. |
|
사운드 볼텍스의 수록곡. 작곡은 Hommarju. 보컬은 かぼちゃ(카보챠). | mon$tage에 대해 설명해줘. |
|
CAPSULE의 정규 10집 MORE! MORE! MORE!에 수록된곡. 화왕 에센셜 CM송에도 쓰였다. | more more more에 대해 설명해줘. |
|
보건학을 다루는 대학원이다. 흔히 말하는 보건과학대학이 보건의료인 분야의 직업인을 양성하는 학과라면 보건대학원은 보건의료 문제에 대한 연구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 보건대학원에 대해 설명해줘. |
|
그룹 Changin' My Life로 활동했으며, 2005년 3월 31일에 가수 활동을 멈추겠다는 것을 발표한 이후 같은 해 9월 11일에 다시 활동 재개를 선언했다. 허스키한 보이스가 특징. 성우로서의 대표작은 <만월을 찾아서>의 코야마 미츠키 역, <Get Ride! 암 드라이버>의 샤샤 역. | myco에 대해 설명해줘. |
|
NVIDIA에서 2013년 11월 출시한 안드로이드 태블릿이다. 국내 출시는 2014년 1월. | NVIDIA 테그라 노트 7에 대해 설명해줘. |
|
nezumi는 니코니코 동화에서 활동하고 있는 동방프로젝트 관련 매드무비 업로더. 니코니코 동화에서의 핸들네임은 영어 스펠링인 nezumi을 사용하고 있고, 홈페이지에는 鼠(네즈미 : 쥐)로 표기하고 있다. | nezumi에 대해 설명해줘. |
|
BEMANI BEMANI 시리즈 수록곡. 작곡은 dj TAKA colors. colors 명의로 곡을 낸 건 V5 이후 약 3년 만이다. | no way ...에 대해 설명해줘. |
|
사운드 볼텍스의 수록곡. 작곡가는 MarcheИ 명의를 쓴 yozaquar feat.ぁゅ[* 嘘と接吻이란 곡을 제공한 적이 있다.]. 대응하는 타로 카드는 12번, 매달린 남자(THE HANGED MAN). | odds and ends에 대해 설명해줘. |
|
작곡가는 히다카 아케히로 mur.mur.kurotoh로, 5건반 비트매니아 시리즈에서 익스피리멘털 뮤직[* taulanaewn, S.F.M 등]을 주로 만들었던 작곡가이기도 하다. ee'MALL의 수록곡. 팝픈뮤직에만 수록되어 있다. | old "O"에 대해 설명해줘. |
|
산성도, 즉 산(화학) 산성이나 염기 염기성의 척도가 되는 수소 이온([math(\rm H^+)])이 얼마나 존재하는지를 나타내는 수소 이온 농도 지수.[* [math(\rm pH)]가 무엇이냐는 물음에 산도, 수소 지수, 수소 농도, 산도를 나타내는 준말, 산성의 단위 등 구렁이 담 넘어가듯 모호한 답을 하면 시험에서 틀리게 된다.] 상용로그의 결과값이기 때문에 무차원량 차원이 없는 물리량이다. | pH에 대해 설명해줘. |
|
자연과학 실험에서 자주 사용하는 pH 측정기 중 하나. 지시약이나 리트머스 종이와는 다르게 전기로 구동하는 기계다. 위 그림과는 다르게 한 손에 들어올 정도로 작은 pH 미터기도 있지만 비싸고 예민하다. 배지를 직접 만들어 쓰는 연구실이나 식품공학계열에서 자주 쓰인다.[*출처 위키백과: 수소 이온 농도 지수] | pH 미터에 대해 설명해줘. |
|
베트남의 쌀국수 요리. 우리나라에서는 '퍼'라는 이름 대신 보통 월남 국수, 베트남 쌀국수, 아니면 Phở를 영어식으로 읽은 '포'라고 부른다. | 퍼(국수)에 대해 설명해줘. |
|
BEMANI BEMANI 시리즈 수록곡. 작곡은 TIME CAPSULE Lab.으로, 그의 BEMANI 시리즈 데뷔곡. 곡과 작곡가가 공개되었을 당시엔 쿠로사와 다이스케와 Jimmy Weckl의 유닛 정도일 것이라는 추측이 주를 이뤘다. TIME CAPSULE Lab.은 한참 후인 2011년 10월 라이브 공연에서 모습을 드러냈는데, 기존 아티스트와는 전혀 상관이 없는 신인이며 베이시스트임이 밝혀졌다. | photon에 대해 설명해줘. |
|
스텝매니아 수록곡인 Pink Fuzzy Bunnies. 펌프 잇 업 프로 2에 이식되었으며, Wonder Boy가 작곡했으며 Disko Warp 레이블의 곡이다. | pink fuzzy bunnies에 대해 설명해줘. |
|
포켓몬스터 파이어레드, 에메랄드, 기라티나PT, 블랙/화이트를 기반으로 시스템을 변형한 온라인 멀티 플레이형 포켓몬스터로 팬메이드 게임이며 2012년에 출시 되었고 꾸준히 업데이트가 진행 중이다. | pokeMMO에 대해 설명해줘. |
|
MBC, SBS, KBS 방송 3사가 공동으로 투자해 설립한 콘텐츠연합플랫폼 주식회사에서 서비스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OTT 서비스. 한국어로 무언가 '푹' 담근다의 부사어에서 차용했다. 2019년 9월 18일에 wavve로 흡수, 통합됐다. | POOQ에 대해 설명해줘. |
|
BEMANI BEMANI 시리즈 수록곡. TOMOSUKE와 토쿠이 시즈에(徳井志津江)의 유닛인 Orange Lounge의 노래 세 곡을 메들리로 엮었다. 메들리 대상곡은 팝픈뮤직 8의 수록곡 100sec.Kitchen Battle!!, beatmania IIDX 7th style의 수록곡 Marmalade Reverie, beatmania IIDX 8th style의 수록곡 LOVE IS ORANGE. 정작 저 세 곡은 기타드럼 시리즈에 수록된 적이 없다. | pot-pourri d'marmalade에 대해 설명해줘. |
|
디젤 엔진이나 터빈 엔진이 idle 상태에서 정상출력이 나올 때 까지 출력을 올리는 과정이다. ramp up 동안에는 스로틀이 최대한으로 당겨지며 기계에 무리가 많이 간다. 당연하지만 이 동작중에는 출력을 쓰지 말 것. 엔진 꺼지는 수가 있다. | ramp up에 대해 설명해줘. |
|
일본의 2인조 밴드. 주로 록 음악 계열의 음악을 써 왔으며, 애니메이션 은혼의 3기 엔딩 테마 '눈의 날개(雪のツバサ)'를 통해 본격적으로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 redballoon에 대해 설명해줘. |
|
리눅스나 macOS와 같은 유닉스 계열의 운영체제에서 모든 권한을 가지고 있는 최고 관리자가 사용하는 ID를 의미하며, 최고 관리자인 사람 자체를 가리키기도 한다. User ID 번호는 0번. 유닉스 계열의 모든 운영체제에는 이 root 유저가 존재한다. macOS, 우분투처럼 root 계정을 기본 상태에서 사용할 수 없게 만든 경우라도 별도 옵션을 통해 활성화할 수 있으며, 유닉스 계열 OS에 root 계정이 없는 경우는 절대로 없다. | root에 대해 설명해줘. |
|
WIXOSS/애니메이션 시리즈 중 제2탄. 전작 selector infected WIXOSS의 후속작이다. 주관방송국이 마이니치 방송에서 도쿄 MX으로 변경되었다. | selector spread WIXOSS에 대해 설명해줘. |
|
그라인더중에서 대량의 고체를 대강 적절한 크기로 갈아내는 데 쓰이는 그라인더이다. 방수도 되고 처리량이 많다보니 하수도에서도 쓰고, 위생관련 인증을 받은 제품은 식재료 관리 프로세스에서도 사용된다. | sewage grinder에 대해 설명해줘. |
|
유튜브의 유저들 중 한 명이자 유튜브의 쇼크 사이트 중 하나이다. 바트의 죽음, 징징이의 자살 등 여러가지 괴담과 관련된 영상을 올리는 것으로 유명하다. 이곳에 올라온 영상들은 그의 채널에만 나오기 때문에 본인이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 shirtfag에 대해 설명해줘. |
|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를 주제로 만든 크리피파스타 도시전설 괴담이자 EXE(크리피파스타) exe 계열 괴담의 시초이다. | Sonic.exe에 대해 설명해줘. |
|
Sonnet. 유럽의 정형시 중 하나로 단어 자체는 '작은 노래'를 의미한다. | 소네트에 대해 설명해줘. |
|
shuka는 본래 Ryu☆의 6번째 개인앨범 We're so Happy의 1번트랙 곡이다. 아니메이트에서 해당 앨범을 사면 桜龍, 츠타야 레코드에서는 青龍, 토라노아나에서는 雷龍 리믹스 CD를 배포하는 등 BLUE DRAGON의 타이틀곡, Plan 8에서의 Plan C, Sakura Luminance의 타이틀 곡과 같은 리믹스 메인곡 포지션을 맡는 곡이기도 한다. | sukha에 대해 설명해줘. |
|
2002년 결성한 일본의 록 밴드. 독창적인 기타 리프와 드라마틱한 음악세계가 특징이다. | susquatch에 대해 설명해줘. |
|
니트로플러스 키랄의 세 번째 작품. 유일하게 키랄에서 표기하던 특이한 장르 표기가 없는 타이틀인데 학원물, 서스펜스, 호러가 세부 장르이다. | sweet pool에 대해 설명해줘. |
|
일본의 DJ이자 작곡가. 명의는 티 플러스가 아닌 토파조라이트라고 읽는다. REDALiCE가 대표인 HARDCORE TANO*C의 창립멤버로 활동중이며, 개인 레이블인 C.H.S[* Cutie & Headshaking Sound의 약자라고 한다.]를 운영하며 음반을 발표하고 있다. 주력 장르는 하드코어 테크노 J-CORE 계열의 하우스를 비롯, 하드코어, 해피 하드코어, 스피드코어, 개버, 전파송 등 다양한 장르를 오간다. 다양한 장르에 손을 대면서도 J-CORE계에서 자신의 색이 가장 확실한 아티스트 중 하나로, 자신만의 독특한 음악 스타일[* 이는 HARDCORE SYNDROME 3에 수록된 tsugihagi Construction에서 처음 선보였던 스타일이다.]을 구축하고 있기 때문에 듣기만 하면 바로 그의 곡이라는 것을 알 수 있을 정도. 서클명인 Cutie & Headshaking Sound가 그의 음악색을 잘 나타낸다. | t+pazolite에 대해 설명해줘. |
|
That[ðæt]은 영어의 지시사 중 하나이다. 기초적인 의미는 '디스 this'와 맞대응되어 한국어의 '저, 저것'과 대응되나 문법적인 쓰임이 많다. 이 때문에 중고등학교 영어 문법 교육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 that에 대해 설명해줘. |
|
트릴로지 100개 미션 중 마지막 미션이자, 트릴로지 4대 미션의 하나. 속칭 솓보스. The를 한글로 치면 솓이 되는데서 나온 이름이다. | the boss에 대해 설명해줘. |
|
유튜브의 머시니마 업로더였던 사람. 주로 팀 포트리스 2를 소재로 YouTube Poop을 만들었다. 빵 터지는 유머감각과 적절한 센스로 수천 명의 구독자를 긁어모았다. | thetentor에 대해 설명해줘. |
|
유비트 시리즈의 수록곡이자 유비트 소서/유비트 소서 풀필의 엔딩곡.[* 2015년 1월 21일자 BEMANI 생방송(가)에 관련 영상이 등장했다.] 작곡자는 ZUKI | time granular에 대해 설명해줘. |
|
CJ ENM이 운영하는 Over the top OTT 서비스. 2010년 5월 출시부터 2016년 1월 5일 까지는 CJ헬로비전이 운영했었고, 종전에 CJ E&M에서 운영하는 Over the top N스크린 서비스 Vingo와 별도였는데, SK그룹이 CJ헬로비전을 인수한다고 결정하자 CJ E&M이 티빙을 넘겨받고 2015년 15년 12월 31일에 빙고를 종료했다. 다만, 티빙스틱은 계속 헬로비전에서 운영한다. CJ ONE에 가입하지 않으면 실시간 방송을 90초간 맛보기로만 볼 수 있으며, 가입하면 영화채널을 제외한 나머지는 무료로 볼 수가 있다. 타사에 비해서 한정된 금액에 여러 채널의 다시보기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다시보기 업로드 속도는 상대적으로 느린 편이다. 다만, 페이스북과 트위터 등 SNS 가입을 해야 무료 시청이 더 유리하다.[* KBS my K, 에브리온TV 등처럼 로그인할 필요 없이 보는 것과는 다르지만 POOQ이나 oksusu처럼 로그인(네이버,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등)을 하면 더욱 편리하다.] 2017년 2월 6일부터 방송VOD 다운로드 서비스가 종료되어 TVING 홈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스트리밍으로만 시청할 수 있다. | TVING에 대해 설명해줘. |
|
do에 un을 붙인, 뭔가를 한 것을 하기 전 상태로 되돌리는 기능. 정식 단어라기보다는 컴퓨터계통에서 만들어낸 단어에 가깝다. 사람들은 보통 이것보다는 실행 취소나 Ctrl+Z같은 단축키로 더 잘 알고있다. | undo에 대해 설명해줘. |
|
vi는 빌 조이가 1976년도에 만든 UNIX 계열 운영체제에서 주로 쓰이는 유서 깊은 오픈 소스 문서 편집기이다. "Visual editor"라는 뜻이다. 요즘 대다수의 유닉스와 리눅스 배포판에서 터미널에 vi를 치면 vim의 vi 호환모드가 뜨도록 하여 요즘에 리눅스나 유닉스를 배운 사람들은 vim이 vi인 줄 아는 경우도 있다. vim은 vi와 호환되기는 하지만 개발자부터 시작해서 완전히 다른 물건이다. 원칙적으로 텍스트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만들어졌기 때문에 어떠한 플랫폼용 버전을 사용해도 기본적으로 모든 GUI가 텍스트 문자로 이루어져 있다. 내부 창 구분이나 구역 분할 등등. | vi에 대해 설명해줘. |
|
vim은 Bram Moolenaar가 1991년에 만든, vi와 호환되는 문서 편집기이다. | vim에 대해 설명해줘. |
|
국가 공간정보를 공공/민간/개인 구분없이 무료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게 하자는게 서비스 도입 개요이다. | V-World에 대해 설명해줘. |
|
BEMANI BEMANI 시리즈의 곡 작곡가. 본명은 와키타 준(脇田 潤). 상당한 동안이지만 실제로는 dj TAKA보다 연장자이다. | wac에 대해 설명해줘. |
|
폴란드의 웹 디자이너 Yotoon[* 본명은 Banach Przemek. 2013년 9월 말부터 잠수를 탄 뒤로 포럼 유저들이 용케 신상을 털어내 알아낸 이름이다. 물론 좋은 의도로.]이 운영하고 있는 바탕화면 사이트. gelbooru같은 사이트처럼 태그를 이용한 바탕화면 검색을 지원한다. 수십만 장의 바탕화면을 손쉽게 다운로드할 수 있는 사이트다. 바탕화면 전용 사이트 중에서는 나름의 인지도와 고정된 이용자를 가지고 있다. | wallbase에 대해 설명해줘. |
|
ABC(미국 방송) ABC 방송국에서 진행 중인 사회 실험 몰래카메라 프로그램. 진행자는 존 퀴노니스. 기본적인 몰래카메라 프로그램과 다를 것 없지만, 이 방송의 특징중 하나는, 미국, 세계에서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인종차별, 성소수자 차별, 장애인 차별, 외국인 차별과 같은 민감한 소재들을 주제로 한다는 것이다. 여기에 더해 노숙자에 대한 폭력, 따돌림들 당하는 청소년, 어른의 추파를 받는 청소년 등, 사회적 보호가 필요한 상황에서 어떤 반응이 있는가를 시험하기도 한다. 사회 문제가 되는 주제를 다루기도 한다. | what would you do?에 대해 설명해줘. |
|
동인팀인 Team Wish에서 개발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 발매된 판타지 미소녀 비쥬얼노벨. | wish~ ask for the littlestar에 대해 설명해줘. |
|
Perfume의 메이저 데뷔 이후 세 번째 싱글 <エレクトロ・ワールド>의 커플링곡. 2006년 6월 28일에 발매되었다. | wonder2에 대해 설명해줘. |
Subsets and Splits
No community queries yet
The top public SQL queries from the community will appear here once avail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