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tput
stringlengths 41
2.74k
| input
stringclasses 1
value | instruction
stringlengths 11
154
|
---|---|---|
WWE 머니 인 더 뱅크 2014는 WWE의 스페셜 이벤트로[* WWE 네트워크 개국 이후 PPV란 말 대신 스페셜 이벤트란 표현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6월에 치러지는 두 개의 이벤트중 두번째 이벤트이다. | WWE 머니 인 더 뱅크(2014)에 대해 설명해줘. |
|
WWE의 PPV로 2013년 부터 10월에 열리기 시작한 PPV다. 단발성일 줄 알았으나 2014년엔 일자를 바꾸어 7월에 개최된다. | WWE 배틀그라운드에 대해 설명해줘. |
|
2013년 날짜 상으론 벤젠스를, 실제로는 오버 더 리밋을 대체하여 새로이 개최되는 PPV. 최근 WWE가 1월 1 PPV 정책을 고수하고 있기 때문에, 작년에 벤젠스가 폐지된 자리는 헬 인 어 셀이 메우고 더 이상의 PPV가 창설되지 않을 것이라 예상되었으나, 이례적으로 10월엔 2개의 PPV(배틀그라운드, 헬 인 어 셀)이 자리잡게 되었다. | WWE 배틀그라운드(2013)에 대해 설명해줘. |
|
WWE 배틀그라운드 2014는 WWE의 스페셜 이벤트로[* WWE 네트워크 개국 이후 PPV란 말 대신 스페셜 이벤트란 표현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7월에 치러지는 이벤트이다.[* WWE 배틀그라운드(2013) 작년에는 10월에 개최되었지만 올해는 7월로 옮겼다.] | WWE 배틀그라운드(2014)에 대해 설명해줘. |
|
벤전스''Vengeance''(2011)은 WWE의 주최로 2011년 10월 23일 텍사스 주 샌안토니오 AT & T 센타에서 개최된 PPV로, 2011년 8번째를 맞이한 PPV이다. | WWE 벤전스(2011)에 대해 설명해줘. |
|
브래깅 라이츠''Bragging Rights''(2010)는 WWE의 주최로 2010년 10월 24일 미네소타 주 미네아폴리스 타겟 센터에서 개최되는 PPV로, 올해로 2번째를 맞이하는 PPV이다. 처음 개최된 작년에 이어 올해도 RAW vs 스맥다운의 컨셉을 통해 브랜드 간의 대립이 보일 예정이며, 포스터의 브래깅 라이츠 로고에 박힌 넥서스의 로고 N처럼 넥서스가 PPV에서 어떤 역할로 어떤 경기에 개입할지도 관심사가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새로 발생한 갈등 관계들이 어떤 식으로 전개될지도 흥미거리. | WWE 브래깅 라이츠(2010)에 대해 설명해줘. |
|
WWE 브롤은 THQ사가 발매할 예정이었던 프로레슬링 게임이다. 아직 발매 일정은 발표되지 않았으며 플레이스테이션 3 , 엑스박스 360 , 닌텐도 위 용으로 개발되었다. 이 게임에는 전•현직 WWE 슈퍼스타들이 총출동하며, 기존의 WWE 게임과는 달리 강력하고 빠른 속도의 레슬링 경기를 즐길 수 있다고 보도자료를 뿌렸으나, WWE 13에 전념하기 위해 취소되었다. | WWE 브롤에 대해 설명해줘. |
|
서바이버 시리즈''Survivor Series''(2014)는 WWE의 주최로 2014년 11월 23일 미주리 주, 세인트 루이스 스콧트레이드 센터에서 개최되는 스페셜 이벤트[* WWE 네트워크 개국 이후 PPV란 말 대신 스페셜 이벤트란 표현을 사용하기 시작했다.]로 11월에 치러지는 이벤트이며 올해로 28번째이다. | WWE 서바이버 시리즈(2014)에 대해 설명해줘. |
|
2K(게임 회사) 2K의 캣 대디 게임즈가 개발한 WWE 카드게임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TCG이다. | WWE 슈퍼카드에 대해 설명해줘. |
|
섬머슬램''Summerslam''(2011)은 WWE의 주최로 2011년 8월 14일 캘리포니아 주 로스 엔젤레스 스테이플스 센터에서 개최되는 PPV로, 올해로 24번째 맞이하는 PPV이다. 참고로 2년 연속으로 로스 엔젤레스 스테이플스 센터에서 개최된다. 지난 몇 년간 WWE PPV들이 처참히 시망하던 시기[* 예를 들어 2006년 상반기 PPV들, 심지어 레슬매니아마저도 악평을 받았다. 그리고 연말에는 디셈버 투 디스멤버 2006이란 WWE 역사에 치욕으로 남을 PPV가 개최되며 이 행사의 책임자들이 줄줄이 해고되는 비극까지 벌어졌다. 그나마 이 해에 건질만했던 PPV는 써머슬램과 언포기븐.]에도 언제나 훌륭한 내용으로 매년 팬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아왔던 PPV인만큼 올해 섬머슬램도 기대가 모인다. 한편으론 지금까지 공개한 대진표만 봐서는 섬머슬램 이름값에 못 미치는 아쉬움이 있다. 잡을 해줄 베테랑들이 대거 은퇴 혹은 이적한 상황에서 수년째 미들카더들은 제자리 걸음이고, 고질적인 경량급과 태그팀 냉대로 인해 이런 빅 이벤트에서 뽑아들 카드가 마땅찮다는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다. | WWE 섬머슬램(2011)에 대해 설명해줘. |
|
5년 연속으로 로스엔젤레스 스테이플스 센터에서 개최되었다. WWF에서 WWE로 전환할 때부터 적용하기 시작한 스크레치 형태 WWE 로고를 사용한 마지막 PPV이자 새롭게 바뀐 WWE 네트워크 로고를 사용한 첫 PPV이다. | WWE 섬머슬램(2014)에 대해 설명해줘. |
|
2011년 5월 22일 워싱턴 주 시애틀 클라이멋 플레지 아레나 키 아레나에서 개최되는 WWE의 WWE 오버 더 리미트 오버 더 리미트 PPV이다. | WWE 오버 더 리미트(2011)에 대해 설명해줘. |
|
WWE 디바스 챔피언십이 폐지되고 난 직후 발표된 위민스 부문의 새 챔피언십이다. 본래 이전에 사용하였던 위민스 챔피언십(WWE) WWE 위민스 챔피언십의 이름만 그대로 가지고 와서 사용하였지만[* 타이틀의 역사에 관해선 별도의 챔피언십으로 인정되고 있다.] 2016 WWE 드래프트 이후 브랜드가 나뉘게 되면서 WWE RAW 위민스 챔피언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WWE RAW 위민스 챔피언십에 대해 설명해줘. |
|
WWE 익스트림 룰즈 2014는 WWE의 스페셜 이벤트로[* WWE 네트워크 개국 이후 PPV란 말 대신 스페셜 이벤트란 표현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레슬매니아XXX에 이어 5월에 치러지는 이벤트이다. | WWE 익스트림 룰즈(2014)에 대해 설명해줘. |
|
WWE의 2선급 챔피언십. "대륙간 챔피언십"이라고도 한다. WWE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십과 함께 WWE의 미드카더 챔피언십이다. |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에 대해 설명해줘. |
|
WWE 페이백 2014는 WWE의 스페셜 이벤트로[* WWE 네트워크 개국 이후 PPV란 말 대신 스페셜 이벤트란 표현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6월에 치러지는 두 개의 이벤트중 첫 이벤트이다. | WWE 페이백(2014)에 대해 설명해줘. |
|
페이백(2015)는 WWE의 PPV로 2015년 5월 17일, Royal Farms Arena in Baltimore, Maryland에서 열린다. 페이백이라는 이름의 PPV는 3번째로 열리게 된다. | WWE 페이백(2015)에 대해 설명해줘. |
|
헬 인 어 셀''Hell In a Cell''(2010)은 WWE의 주최로 2010년 10월 3일 택사스 주 댈러스 아메리칸 에어라인 센터에서 개최되는 PPV로, 올해로 2번째를 맞이하는 PPV이다. WWE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2010)이 끝난지 2주만에 다시 열리는 PPV이기 때문에, 새로운 대립이 바탕이 된 경기를 보긴 힘들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 이벤트에서 기존 대립들의 끝을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해 "3경기의 헬 인 어 셀 중 만족시킨 경기가 하나도 없었다." [* 언더테이커와 CM 펑크의 월드 헤비급 챔피언쉽, 랜디 오턴과 존 시나의 WWE 챔피언쉽, 디 제네레이션 X DX와 레거시의 태그팀 헬 인 어 셀 경기가 있었는데 앞의 2경기의 경우 "경기 내용이 좋지 못하다." 라는 반응이 많았고, 태그팀 경기의 경우 경기 자첸 나쁘지 않았지만 메인이벤트 급 경기로는 다소 부족한 감이 있었다. 게다가 DX가 이길 것이 뻔히 보였던 상황은 경기의 흥미를 더 떨어뜨렸다.] 팬들라는 대다수의 평을 비롯 국내외 프로레슬링 팬들에게 엄청난 비난을 받은 PPV이기에 올해만큼은 팬들을 만족시킬 수 있을지도 관건이다. [* 재밌는건 많은 악평에도 불구하고 "헬 인 어 셀" 이벤트라는 점때문인지 몰라도 PPV 구매율은 2003년부터 2009년까지 WWE에서 열린 10월의 PPV들 중 가장 높은 수익을 거뒀다. 그런데 PPV 구매는 이벤트를 보기 전에 돈을 내는거니까 한마디로 높은 기대에 전혀 부응하지 못한 이벤트였다. 아 망했어요] 그나마 긍정적인 영향이라면 직전 PPV였던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 2010이 호평을 받었다는 점. | WWE 헬 인 어 셀(2010)에 대해 설명해줘. |
|
WWE 헬 인 어 셀 2014는 WWE의 스페셜 이벤트[* WWE 네트워크 개국 이후 PPV란 말 대신 스페셜 이벤트란 표현을 사용하기 시작했다.]로 10월에 치러지는 이벤트이다. | WWE 헬 인 어 셀(2014)에 대해 설명해줘. |
|
스타크래프트 유즈맵 중에서 역사 맵에 속하는 맵. 주 목표는 1차 세계 대전에서 무슨 방법을 쓰던 간에 자신의 팀을 제외한 타국들을 없애거나 합병하는 것 [* 대신 누가 참호전 아니랄까봐 방어망은 엄청나다. 예를 들자면 포토캐논 4개 정도에 한 두 부대의 고스트만 있어도 공격자 측에서는 거의 5배 이상의 병력을 들이부어야 깰까 말까고 다 깰 때 즈음에는 적의 후방 지원 부대 출동] | WWI Trench Warfare에 대해 설명해줘. |
|
What You See Is What You Get[* "당신이 보고 있는게 당신이 (작성해서) 얻게 될 결과물이다." 라는 뜻인데, 번역체 문장이 아닌 온전한 한국어식 문장으로 깔끔하게 써 본다면 "(화면 상에) 보이는대로 출력됩니다." 정도로 쓸 수 있겠다. 다시 말해 '말하는대로 보이는대로' 모드.]의 약자로, 문서 및 문서 작성 방법을 GUI로 구현한 것을 이른다. | WYSIWYG에 대해 설명해줘. |
|
스타크래프트를 설치하면 기본 제공되는 팩맨을 모티브로 한 유즈맵 중 하나. | Wakka Wakka에 대해 설명해줘. |
|
BEMANI 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beatmania IIDX 15 DJ TROOPERS에 RAM(작곡가) RAM이 투고한 악곡으로, 10th Style 이후로 자취를 감춘 그가 공백을 깨고 돌아와 평소에는 쓰지 않았던 하우스 장르의 곡을 발표하여 좋은 반응을 얻은 곡이다. 당시 RAM(작곡가) RAM은 하우스 유닛인 'cargo'에서 활동하고 있었는데, 피아노 멜로디가 위주가 되는 하우스는 cargo의 주력 장르였다. | Wanna Party?에 대해 설명해줘. |
|
BEMANI BEMANI 시리즈 수록곡. 작곡가는 전작에서 S.LAUNCHER을 냈었던 STRAND. Music Factory Vol.4의 해금곡으로 등장했다. | War evasion에 대해 설명해줘. |
|
이름 그대로 국가들이 자원가지고 유닛을 뽑아내서 다른 나라와 싸우는 게임이다. 유닛을 뽑기가 매우 쉽기 때문에, 수백기의 유닛이 공격에 동원돼서 전멸하는 경우도 매우 자주 볼 수 있다. 기본적으로 문명과 비슷한 맵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여러 개의 월드가 존재한다. 월드간에는 이벤트를 할 경우를 제외하고는 상호 작용이 없으며, 각 월드는 직경 1000~2000 정도의 원형이다. 그러나 인구 포화시 크기가 확장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시작할 때는 월드의 중심부에서 시작하며, NPC들이 모두 레벨 2이다. 중심부로 갈 수록 무시무시한 NPC가 나오며, NPC주제에 기지에 수백~수천기의 유닛을 보유하는 경우도 넘쳐난다. 따라서 채팅창에서 가입홍보하는[* Join ~ 이런 형태로 가입 홍보를 하는데, 뒤에 길드 이름을 클릭하면 가입신청이 가능하다.] 연합에 적당히 가입하여 연합원이 모인곳에 외부 기지(Outpost)를 설립하는 것이 유리하다. | War of Nations에 대해 설명해줘. |
|
Zynga에서 제작한 스마트폰용 카드 게임. 현실의 시간에 따라 체력을 받아 플레이하는 웹게임의 요소와 카드를 뽑고 합성, 강화하는 TCG의 요소를 가진 게임이다. 유저들이 각기 한 명의 샤드브레이커가 되어 악의 무리를 잡는다는 내용. 이를 위해 전력이 되는 카드를 모으고, 조합하고, 강화시키는 것이 게임의 목적이다. 게임 내의 배경은 판타지이다. 카드 일러스트의 좀비나 악마 등이 굉장히 사실적으로 표현된다. 정식 카페는 | War of the Fallen에 대해 설명해줘. |
|
2003년 발매된 Warhammer 40,000을 배경으로 만들어진 FPS 게임.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워해머 관련 게임들 중 드물게 인류제국이 아닌 타우 제국을 주인공으로 삼고 있다. | Warhammer 40,000: Fire Warrior에 대해 설명해줘. |
|
렐릭 엔터테인먼트가 개발한 Warhammer 40,000을 기반으로 한 액션 TPS게임이다. 북미 기준 2011년 9월 7일 발매되었다. | Warhammer 40,000: Space Marine에 대해 설명해줘. |
|
미씩 엔터테인먼트 Mythic(미씩)에서 만들고 EA에서 퍼블리싱 한, Warhammer(구판)를 배경으로 하는 MMORPG. 보통 Warhammer online: Age of Reckoning을 따서 WAR라 부르거나 워해머 온라인이라고 부른다. 2013년 12월 18일 서비스를 종료했다. | Warhammer Online: Age of Reckoning에 대해 설명해줘. |
|
미군 제2보병사단(미국) 제2보병사단의 군가. 캠프 레드 클라우드 기준으로 06시 30분마다 Revielle(기상나팔)에 이어서[* 케이시나 호비에 몇몇 부대는 1SG 핸드폰 음악, 또는 그냥 아무 음악 없이 퉁치는 곳도 흔히 볼 수 있다.] 재생되는 노래. 미 2 보병사단의 역사와 현재를 다루는 곡이다. 동두천+의정부 카투사들은 이걸 지긋지긋하게 들을수 있다. | Warrior March에 대해 설명해줘. |
|
BEMANI 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beatmania IIDX 14 GOLD의 Watch out!![* 이쪽은 out의 O가 소문자이다.]의 리믹스 버전이라 할 수 있는 곡으로, 이 곡에서 쓰였던 샘플링이 다수 사용되었다. DJ Mass MAD Izm* DJ Mass와 DJ YOSHITAKA가 합작하였다는 점에서 큰 눈길을 끌었던 곡이다. | Watch Out Pt.2에 대해 설명해줘. |
|
비마니 시리즈의 수록곡. 작곡가는 DJ이자 아티스트, 편곡가인 DJ Uraken[* 이렇게 뭉뚱그려서 설명하면 잘 모르지만, 비마니에 오래 발을 담근 Tatsh, 사랑과 킹콩으로 처음 코나미에 입성한 사사키 토모코와 함께 아이돌 마스터와 같은 남코 계열 게임에 곡을 제공한 얼마 안 되는 프리랜서 아티스트이기도 하다. 이외에도 미나미가 테마의 리믹스, ZONE OF THE ENDERS의 리믹스에도 참여했다. BEMANI에서는 후에 Resort Anthem에서 Believe In Me를 투고했다.]. GOLD의 테마에 알맞는 쌈박한(…) 멜로디와 리듬을 가진 하드코어 테크노 해피 하드코어계 악곡. | Welcome에 대해 설명해줘. |
|
작곡가는 Zektbach. 2011년 3월 14일, Zektbach의 두번째 앨범인 'The Epic of Zektbach -Masinowa-' 발매기념 캠페인으로 업데이트 된 곡이다. 여담으로, 동 작곡가의 L'erisia (Primal Logic)는 캠페인 기간인 2011년 3월 14일부터 2011년 4월 12일까지 통상해금곡으로 등장했었다. 곡명의 뜻은 아이누어로 악신, 발음은 엔카무이(エンカムイ)[* 이는 현대어 기준, 고어로 쓰면 웬카무이(ヱンカムィ/ウェンカムイ)이며, 로마자 표기는 Wenkamui/Wenkamuy이다.]이며, 인육에 맛을 들여버린 위험한 식인곰을 부르는 명칭이라고 한다. 참고로 Wen(エン/ヱン/ウェン)은 '악하다'라는 뜻이고, 카무이 Kamui(カムイ/カムィ)는 '신'이라는 뜻인데, 아이누족 사이에서는 곰이 신격화되어있기 때문에 곰 역시 '카무이'라고 한다. EZ2DJ에 神威 비슷한 이름의 곡이 수록되어 있다. 기타 연주는 특유의 음색 때문에 아사키로 추정중. | Wenkamui에 대해 설명해줘. |
|
아일랜드 출신 보이밴드. 1998년~2012년까지 활동하다가 해체후 2018년에 재결합한 브릿팝 그룹이다. | 웨스트라이프에 대해 설명해줘. |
|
데이어스 엑스를 플레이해본 유저들이 항상 손꼽는 최고의 명대사. 원작을 플레이하지 못했어도 영문 웹사이트에서 한 번쯤은 보거나 들었을 것이다. | What a shame에 대해 설명해줘. |
|
동방 프로젝트 어레인지 곡. 작곡은 Syrufit. 보컬은 아야쿠라 메이(綾倉盟), 이치마츠 츠바키(市松椿). 원곡은 동방지령전의 BGM 사체여행. show me your love, Love Best 등의 앨범에 수록되기도 했다. | Wheel에 대해 설명해줘. |
|
월트 디즈니 컴퍼니에서 iOS, Windows Phone 그리고 안드로이드(운영체제) 안드로이드 버전으로 내놓은 스마트폰용 모바일 게임형 유·무료 애플리케이션. | Where's My Water?에 대해 설명해줘. |
|
BEMANI BEMANI 시리즈 수록곡. 작곡은 오자와 히토시라는 인물이 담당했다고 하였으나, 추후 dj TAKA로 밝혀졌다.[* 타카는 이곡의 전곡인 White Lovers또한 편곡을 담당한적이 있는데 아래 코멘트에서 직접 언급하고있다.] 작사/보컬은 Sana sana. | White Eve에 대해 설명해줘. |
|
BEMANI BEMANI 시리즈 수록곡. 작곡은 m@sumi. 작사는 tomo. 보컬은 ☆ayaka☆. 여담이지만 Violently Car 제목이 비문인데, 20세기 초 영미권에서 탐정계 추리 소설을 칭하던 말에서 따온 것이다. [* Who done it? 즉, 누가 범죄를 저질렀냐는 뜻을 가지고 있다.] | Who done it?!에 대해 설명해줘. |
|
닌텐도에서 제작한 7세대 가정용 게임기로 닌텐도 게임큐브의 후속 기종에 해당된다. 후속 기종으로는 Wii U가 있다. | Wii에 대해 설명해줘. |
|
과거 DOS 시절부터 개발되어 온 압축 프로그램 RAR의 Microsoft Windows 윈도우 버전으로, 대표적인 셰어웨어 중 하나다. | WinRAR에 대해 설명해줘. |
|
2009년 10월 22일[* RTM 버전은 2009년 7월 22일]에 정식 출시된 Windows이다. 커널 버전은 RTM 기준 6.1.7600, SP 1 기준 6.1.7601. Windows의 실제 버전인 커널 버전은 6.1인데 7인 이유는 이 운영체제가 Windows의 7세대 버전이기 때문. 1.0, 2.0, 3.x(3.0/3.1/NT), 4.x(95[* Windows 95는 엄밀히 따지면 4.0이 아닌 3.95다.]/98/Me[* 실제로는 Windows 2000보다 나중에 출시되었지만 Windows 95/98과의 호환성 유지 때문에 4.9 버전이 되었다.]/NT), 5.x(2000/XP), 6.0(Vista), 6.1(7)의 순서. 원래대로는 커널 버전도 7이어야 하나 비스타 개발 때에 커널 버전이 6으로 올라가며 생긴 호환성 문제 때문에 6.1로 뒷자리만 하나 올리는 선에서 끝냈다. 이 커널 판올림은 Windows 8에서도 반복되었다. | Windows 7에 대해 설명해줘. |
|
Windows API는 Microsoft Windows에서 사용하는 C언어 기반의 API이다. 기본적으로는 C언어 기반이지만, C++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윈도우에서 실행되는 모든 종류의 어플리케이션들은 내부적으로 전부 이 윈도우 API 함수를 호출하는 형태로 바뀐다.[* MFC, 비주얼 베이식, 델파이 등 윈도우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라이브러리는 실행 시 전부 내부적으로 어떻게든 변환을 거치게 된다.] | Windows API에 대해 설명해줘. |
|
Microsoft Windows에 기본으로 탑재 및 제공되는 안티바이러스 소프트웨어. | Microsoft Defender에 대해 설명해줘. |
|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임베디드 시스템용 RTOS이다. 프로그래밍 언어는 C++를 사용했다. | Windows Embedded Compact에 대해 설명해줘. |
|
마이크로소프트에서 1999년부터 2013년까지 서비스했던 인스턴트 메신저. | Windows Live Messenger에 대해 설명해줘. |
|
마이크로소프트의 운영체제 가상화 프로그램. 버추얼 PC 2007의 후속작이다. | Windows Virtual PC에 대해 설명해줘. |
|
BEMANI BEMANI 시리즈 수록곡. 작곡 명의는 Shoichiro Hirata plus Junko Hirata. 작곡은 히라타 쇼이치로. 보컬은 히라타 준코. | With your Smile에 대해 설명해줘. |
|
공튀기기형식의 게임. 영어로 되어있어 약간의 영어 관련 능력이 필요하지만 진행 자체에 지장은 없다. 다운로드. 조금만 스크롤을 내리면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다. | Within A Deep Forest에 대해 설명해줘. |
|
세가의 삼국지대전이나 전국대전과 마찬가지로, 카드 컬렉팅 요소의 극을 보여주는 게임. 가동은 2002년부터 시작했다. 당시 제목은 WCCF SERIE A였다. 제목 그대로, 01-02 시즌 기준, 세리에 A의 18개 클럽들과 주요 선수들 16명씩을 등장시켰다. 가동 당시부터 상당히 주목을 끌었는데, 특히 나카타 히데토시가 한창 세리에 A에서 뛰고 있을 시절이라, 더더욱 인기를 끌었다. 그 이후 2003년에는 인기의 여세를 몰아 SERIE A 02-03 버전을 내놓았고, 2005년에는 세리에에서 벗어나, EUROPEAN CLUBS 04-05시리즈로 바뀌었다. EUROPEAN CLUBS 시리즈는 이듬해의 05-06 시리즈로 끝을 맺고, 06-07부터 현재까지는 INTERNATIONAL CLUBS라는 시리즈로 발매중에 있다. 남미의 명문팀들이 추가된 것이 특징이긴 한데.남미 팀들은 대체적으로 인기가 없다. 게임엔진은 세가의 또 다른 경영 게임인, 축구 클럽팀을 만들자 시리즈와 유사하다. | World Club Champion Football 시리즈에 대해 설명해줘. |
|
Zendikar의 2번째 판본 Worldwake에 등장한 변신 대지들이다. 별 거 아닌 것 같지만 일반적인 탭 다색 대지에 추가적으로 생물이 되는 능력이 붙은 것이기 때문에 엄청난 능력을 자랑한다. | Worldwake의 변신 대지에 대해 설명해줘. |
|
예전부터 PVE 등장이 확정돼있는 캐릭터. 무기는 단검이고 정확한 능력은 공간을 다루고 지배하는 것.[* 2015년 대규모 업데이트 Summer Five에서 정확한 능력이 공개되었다. 흙투성이 파티에서 언급된 적은 있지만 정확한 능력은 밝혀지지 않는다.] 공개된 스토리에서 결계를 치는 능력이 있다는 언급도 있다. 자신은 숨기고 있지만 데릭(최강의 군단) 데릭은 어째서인지 알고 있었다고. 2015년 여름 대규모 업데이트 Summer Five에서 플레이어블 캐릭터화가 될 확률이 가장 높은 캐릭터로 각광받고 있었으나 불발됐다. | X(최강의 군단)에 대해 설명해줘. |
|
닥터 모비우스의 로봇 전갈 군대의 네임드 버전으로, 전설적인 XXX의 로봇 전갈 버전이라고 봐도 좋을 정도의 능력치를 자랑한다. 메인 퀘스트 최후반부 닥터 모비우스에게 뇌를 돌려받기 위해서 모비우스가 있는 포비든 존으로 찾아 가면 닥터 모비우스가 배달부를 막기 위해 내보내는데, 배달부를 보자마자 아토믹 레이저로 환영해준다. 쓰레기 처리장에 가보면, 이것보다 몇배는 더 큰 전갈로봇의 잔해도 볼수 있다. | X-42 거대 로봇 전갈에 대해 설명해줘. |
|
X-43은 무인 실험용 초음속기이다. 다양한 크기의 바리에이션이 있는데, X-시험기 중 하나로써 NASA의 하이퍼-X 프로그램의 일부이다. 이 시리즈에서 제트엔진 추진식 비행기 최고 속도 기록이 여러 번 경신 되었는데, 그중에서도 최고 기록은 X-43A의 10,461 km/h의 속도로, 음속의 10배 수준이다. | X-43에 대해 설명해줘. |
|
A-12가 취소됨으로서 스텔스 타격기 보유에 실패하고, 해상에서 출격하여 장거리 타격의 임무를 부여받는 일이 잦아지면서 장기 체공의 필요성이 점점 두드러지자 미 해군이 UCAV 프로젝트에 큰 관심을 기울이게 되고, 마침 미 공군이 J-UCAS(Joint Unmanned Combat Air Systems) 계획을 시작함으로서 시작된 UCAV 사업의 노스롭 그루먼 측 시제기가 바로 X-47이다. B-2를 소형화한 것에 가까운 전익기인 것이 특징으로, 이는 미국 중앙 정보국 CIA가 운용하는 스텔스 무인정찰기인 RQ-170 및 미 공군에 배치된 스텔스 무인정찰기인 RQ-180과 공통된다. | X-47에 대해 설명해줘. |
|
러시아의 게임 제작사 '가이진 엔터테인먼트(Gaijin Entertainment)'[* 이후 워 썬더 제작.]가 제작하고 사우스피크(Southpeak)가 유통을 담당한, 핵 앤 슬래쉬 게임. | X-Blades에 대해 설명해줘. |
|
BEMANI BEMANI 시리즈 수록곡. 작곡은 쿠로사와 다이스케. 개인앨범인 BLACK ALBUM에 롱버전이 수록되었다. | X-treme Grade에 대해 설명해줘. |
|
스타워즈 시리즈에서 반란 연합의 주력 스타파이터. 클래식 3부작에서 밀레니엄 팰콘과 함께 주인공격인 기체이다. 그리고 데스 스타 행성파괴 스타킬러 베이스 병기들의 천적.[* 오리지널 트릴로지에서도 그 무시무시한 죽음의 별을 2번이나 격파했으며, 시퀄 트릴로지의 시작인 깨어난 포스에서는 그보다 몇배는 거대하고 강력한 스타킬러 베이스까지 파괴하는 전공을 거둔다.] Y-wing, A-wing, B-wing과 더불어 반란 연합의 4대 전투기 중 하나로, 그 중 가장 범용적인 성능을 가졌다.[* 거함, 거포주의로 대표되는 제국군에 맞설수 있는 유일한 방법인 신속 기동전에 특화된 반란 연합군의 주력 전투기로서 우주 우세전, 전투폭격, 기습에서 탁월한 능력을 보였다.] | X-wing에 대해 설명해줘. |
|
2000년경까지 게임회사에서 불법 프리서버[* 울티마 온라인에서는 서버를 샤드라고 부른다. 이때문에 프리샤드라고 불린 것.]를 운영하다 개털린 사건. 한국의 저작권 인식이 얼마나 개판인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고 볼 수 있겠다. | X2game 프리샤드 사건에 대해 설명해줘. |
|
Xbox 360관련 디시인사이드 갤러리, 약칭 엑갤. 2008년 12월 8일, 3세대 거치형 게임기 콘솔 관련 갤러리 중에선 2번째로 개설되었다.[* 닌텐도 Wii 갤러리는 4일, 플레이스테이션 PlayStation 갤러리는 9일에 개설됨.] 그리고 2011년 12월 현재, 메인 페이지에서 거치형 콘솔 중엔 유일하게 끝까지 살아남았던 갤러리이기도 하다. | XBOX 360 갤러리에 대해 설명해줘. |
|
미 공군의 요구로 노스 아메리칸 사에서 만들었다가 취소된 세계 최대급 요격기.[* 다만 1970년경에 이보다도 더 큰 SR-71을 기반으로 한 YF-12가 개발되어 시제기까지 만들어졌다.] 초음속 요격기라는 컨셉을 공유하는 소련의 MiG-25와 외형에서 유사함이 보인다. | XF-108 레이피어에 대해 설명해줘. |
|
미국의 맥도넬[* 더글러스 항공기 제작사와 합병되어 이후 맥도넬 더글라스가 됨] 사에서 1948년 개발한 역사상 가장 작았던 제트 전투기다. 폭격기에 수납했다가 유사시에 출격한 후 다시 폭격기로 회수되는 시스템을 선택했으므로 기생전투기(Parasite Fighter)로 불렸다. | XF-85 고블린에 대해 설명해줘. |
|
에이스 컴뱃 시리즈에 등장하는 가상의 전투기. 첫 등장은 에이스 컴뱃 X로 휴대용 기기 버전인 X와 X2에만 등장하며 그 이후는 아직 출연이 없는 중이다. | XFA-24A에 대해 설명해줘. |
|
M2010 ESR(개수형 저격소총, Enhanced Sniper Rifle)은 미군의 제식 저격소총이다. | M2010 ESR에 대해 설명해줘. |
|
eXtensible Markup Language의 약어. W3C에서 여러 특수 목적의 마크업 언어를 만드는 용도에서 권장되는 다목적 마크업 언어이다. 마크업 언어는 태그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구조를 기술하는 언어의 한 가지이다. 가장 친숙하고 흔하게 접할 수 있는 마크업 언어로 HTML이 있다. | XML에 대해 설명해줘. |
|
미국의 자동차 회사 제너럴 모터스가 미 육군항공대용으로 개발한 전투기. 애칭은 이글. 초도비행은 1943년 11월 17일. 시작기와 양산기를 합쳐 총 12기만이 생산되었다. | XP-75 이글에 대해 설명해줘. |
|
에이스 컴뱃 시리즈에 등장하는 가상의 전투기. 첫 등장은 에이스 컴뱃 X로 휴대용 기기 버전인 X와 X2에만 등장하며 그 이후는 아직 출연이 없는 중이다. | XR-45에 대해 설명해줘. |
|
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의 휴먼 시나리오 모드 '섬멸 : 사이드와인더'에서 등장하는 보스. | XT300에 대해 설명해줘. |
|
영국의 록밴드로 펑크 록과 뉴웨이브에서 출발해 브릿팝 운동에 큰 영향을 미친 밴드다. | XTC에 대해 설명해줘. |
|
인터넷에서 가끔 볼 수 있는 관용문구. XXXX에 좋아하는 대상을 넣으면 되는 간단한 표현이다. | XXXX가 굉장히 귀엽지. 나도 좋아해에 대해 설명해줘. |
|
무언가를 굉장히 강조할 때 쓰는 예시법으로, 특정 사항에 해당되는 것들을 예시로 들 때 1가지만 콕 찝어서 말하는 데 쓴다. 포인트는, 세 XX는 모두 거의 같은 단어다.[* 정확히 같지는 않더라도, 의미상 동일할 경우 이 표현법에 해당한다. "빛, 광자, 전자기파" 등.] 열거법은 어떤 사실에 대한 예가 여럿 있음을 나타내기 위한 수사법인데, 이를 뒤집어서 지금 말하는 그 1가지 예시가 다른 예시 여럿을 제시하는 것만큼의 임팩트를 갖고 있음을 나타내기에 강조 효과는 확실해진다. 답정너와 어느 정도 통하는 면이 있다. 참고로 맞춤법상 '-던'과 '든'의 구별 "라던지"가 아닌 "라든지" 혹은 "라거나"라고 써야 한다. | XX라든지 XX라든지 아니면 XX라든지에 대해 설명해줘. |
|
하프라이프에 등장하는 이계. '지역'으로도 언급되나, G맨의 말 #에 따르면 경계 세계(Border World)다. 특정 세계(우주)에서 순간이동 공간이동을 통해 다른 곳(원래 왔던 세계의 다른 곳이나 다른 세계)으로 갈 때 반드시 거쳐가야 하는 일종의 경계선이자 정거장 세계이다. 초공간도약에 필요한 초공간 차원이라고 보면된다. | Xen(하프라이프 시리즈)에 대해 설명해줘. |
|
컴퓨터 주변기기 제조업체이며 국내 메이저 기계식 키보드 제작사 5대장 중 하나.[* 다른 넷은 스카이디지탈, 한성컴퓨터, ABKO, 맥스틸이며, 멤브레인으로 가면 너무나도 많은 국내 회사가 있다. 번외로 레오폴드(기업) 레오폴드가 있는데, 이쪽은 앞서 서술한 5사와 달리 실용성과 고품질에 몰빵한 케이스. 엠스톤 이라는 회사도 있지만 이 회사는 규모가 좀 작다.] | Xenics에 대해 설명해줘. |
|
BEMANI 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작곡가는 Tatsh로, Tatsh가 또 엄청난 보면을 만들었다는 듯합니다 채보로 유명한 Tatsh가 담당한 곡답지 않게 채보보다는 곡이 유명한 편이다. 곡 자체는 beatmania IIDX 11 IIDX RED에 수록된 Sphere라는 곡에 이은 MEDIEVAL CHOIR(중세 합창) 장르 표기의 악곡. 전자보다는 훨씬 큰 존재감을 유지하고 있으며 HAPPY SKY를 상징하는 곡으로도 볼 수가 있다.그래서 그런지 프리미엄 베스트에도 HAPPY SKY를 대표하는 곡 중 하나로 수록. 보컬은 유닛 platoniX의 일원인 아야네(Z가수) 히라타 준코, 그리고 나토리 토모미가 맡았다. 가사는 이 곡의 BGA제작자인 MAYA가 담당. | Xepher에 대해 설명해줘. |
|
한 시대를 풍미한 인터넷 게시판 프로그램 제로보드를 개발한 프로그래머 고영수가 네이버의 지원을 받아 제작했던 웹사이트 CMS(Contents Management System)이다. 네이버에서 XE 커뮤니티 개발팀을 만들어 운영하다가, 2019년 7월 1일부로 엑스이팩토리로 법인명을 이전하며 분리되었다. | XpressEngine에 대해 설명해줘. |
|
야마하에서 85년부터 생산하기 시작한 오버리터급 크루저(오토바이) 크루저. 별명는 과부제조기. | 야마하 브이맥스에 대해 설명해줘. |
|
노스롭 그루먼 노스롭이 1940년대에 전익기개념을 적극 받아들여 개발했던 폭격기다. 1943년에 개발이 시작되어 1946년에 첫 비행을 했지만 1949년에 스크랩 처리되었다. | YB-35에 대해 설명해줘. |
|
보잉 YC-14는 전술 STOL 쌍발기 쌍발 수송기이다. 미 공군의 AMST(Advanced Medium STOL Transport)프로그램에 따라 개발되었으며, 기존의 전술 STOL 수송기인 C-130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경쟁작이였던 YC-15와 YC-14 모두 상당한 수작이었다. 그런데도 결국 하나도 생산에 들어가지 못한채로 AMST 프로젝트 자체가 1979년에 종료되고 C-X 프로그램으로 대체되었다.. 안습.. | YC-14에 대해 설명해줘. |
|
실재하지 않는 미 공군 전투기의 제식명이자 음모론 소재 중 하나. 미 공군 전투기의 제식번호를 살펴보면 F-14 이후 F-15 15/F-16 16/F/A-18 18/F-22 22로 매겨지는데, YF-17은 개량을 거쳐 F/A-18을 부여받았으며 F-20 20은 F-5를 개량한 타이거 샤크, 21은 이스라엘에서 빌려온 크피르(가상적기로 사용했다)에 붙은 명칭이다. 미국에서는 F-21 라이온이라는 명칭을 사용했다.(크피르는 히브리어로 새끼 사자라는 뜻.) | F-19에 대해 설명해줘. |
|
1979년 8월 9일, 가발 업체였던 YH무역의 여성 노동자 170여 명이 회사 운영 정상화와 근로자 생존권 보장을 요구하며 서울 마포구 도화동 신민당사[* 현 SK HUB Green 자리.]에서 농성을 벌였던 사건이다. 'YH 여공 신민당사 점거 농성 사건'이라고도 한다. 이 사건으로 신민당 총재였던 김영삼이 김영삼 총재 의원직 제명 파동 신민당 총재 직무를 정지당한 뒤 결국 국회의원직에서 제명당하기까지 했고, 나아가 부마민주항쟁을 촉발시켰으며, 결과적으로 10.26 사건의 도화선이 되었다. 사실상 유신 공화국 붕괴의 효시. | YH 사건에 대해 설명해줘. |
|
김현석(영화 감독) 김현석의 영화. 한국 최초의 야구팀인 황성 YMCA 야구단 황성기독교청년회 야구단을 모티브로 한 영화이다. | YMCA 야구단에 대해 설명해줘. |
|
기타프릭스&드럼매니아 시리즈의 수록곡. 작곡은 후루카와 모토아키. 기타프릭스 9th & 드럼매니아 8th에서 기본곡으로 등장했다. 기타 11th & 드럼 10th엔 e-AMUSEMENT 전용 구곡. 작곡자의 이전 곡인 SOME HARD REACTIONS과 비슷하게 어두운 느낌의 퓨전재즈 연주곡이다. | YOU CAN'T DO IT에 대해 설명해줘. |
|
삼성전자의 MP3 플레이어 브랜드인 YEPP의 바리에이션. YP-P3의 후속작이다. 원래는 YP-P4라는 모델명으로 출시 예정이었으나 제품 개발 거의 완료 단계에서 급하게 YP-M1이라는 모델명으로 변경된 것으로 보인다. 펌웨어를 뜯으면 시스템 라이브러리나 UI 런처 등의 이름에 모두 P4라는 글자가 들어간다. 런처의 경우 M1App이 아닌 P4App과 같은 식. | YP-M1에 대해 설명해줘. |
|
에이스 컴뱃 시리즈에 등장하는 가상의 전투기. 첫 등장은 에이스 컴뱃 X로 휴대용 기기 버전인 X와 X2에만 등장하며 그 이후는 아직 출연이 없는 중이다. | YR-302에 대해 설명해줘. |
|
에이스 컴뱃 시리즈에 등장하는 가상의 전투기. 첫 등장은 에이스 컴뱃 X로 휴대용 기기 버전인 X와 X2에만 등장하며 그 이후는 아직 출연이 없는 중이다. | YR-99에 대해 설명해줘. |
|
1979년 11월 24일, 서울 명동 YWCA 회관에서 재야 세력이 대통령 간선제 시행 저지를 위하여 결혼식을 가장해 집회를 개최하다가 적발된 시국 사건. [* 수많은 책 및 인터넷 문서에서 YWCA를 YMCA로 오인하여 'YMCA 위장결혼식 사건'으로 잘못 표기되어 있지만, 실제 사건은 명동성당 정문 앞에 있는 YWCA 회관에서 일어났다. 명동집회 사건이라는 이름 으로도 알려져 있다.] | YWCA 위장결혼식 사건에 대해 설명해줘. |
|
소련의 전투기. 제2차 세계대전 시절 야코블레프 설계국이 개발한 소련 공군의 주력 전투기중 하나. 야코블레프 설계국이 이전에 설계한 Yak-1 전투기를 바탕으로 개량한 기종이다. | Yak-7에 대해 설명해줘. |
|
유튜버 revergo가 애니메이션 Dinosaur Adventure의 이탈리아어 더빙 목소리와[* 원작 막바지 부분에서 나오는 장면으로, 티오가 티오 2세와 만난 뒤에 자신이 죽은 줄로 아는 부모님에게 돌아가야 하는지 생각하는 부분이다.] 원작에서 나오는 어느 음악의 앞 10초 부분으로써 만들어 2012년 2월 29일 자로 유튜브에 올린 매드 무비. 제작자는 본인이 먼저 만든 덥스텝 이탈리아산 매드 무비의 영감을 받아서 만들었다고 했다. | Yee에 대해 설명해줘. |
|
Yellow는 하츠네 미쿠의 VOCALOID 오리지널 곡이다. 작곡가는 livetune kz(livetune). | Yellow(VOCALOID 오리지널 곡)에 대해 설명해줘. |
|
2차대전 도중에 소련 공군에서 개발된 장거리 쌍발 전략 중(中)폭격기다. 전략 폭격기라지만 전술 폭격에도 Pe-8과 함께 동원되었었다. | Yer-2에 대해 설명해줘. |
|
다이 하드 시리즈 전통의 명대사. "이피 카이 예이"라고 발음하는 듯 하다. 존 맥클레인이 악당에게 막타를 날릴 때 치는 클로징 멘트로 잘 가라 시x놈아 지옥에서 다시 보자[* 영화 말미에서 악당들의 숨통을 끊기 직전에 나온다. 3편은 예외다.]와 같은 뜻. | Yippee-ki-yay, motherfucker에 대해 설명해줘. |
|
영어를 할 줄 아는 모든 높으신 분들의 즉사기 성명절기. 아랫사람에겐 반쯤 사형선고. 말 그대로 "넌 해고야!" | You're Fired에 대해 설명해줘. |
|
NextGenTactics라는 게이머 그룹과 함께 플레이하던 Gunns4Hire와 Meatwagon22가 함께 만든 체널으로 5/3/14 현재 약 400,000의 구독자들을 보유하고 있다. 퓨디파이니 스모쉬 같이 유명한건 아니지만 유튜브에 영어로 call of duty custom map이나 left 4 dead 2를치면 YouAlwaysWin의 비디오가 왕창 나온다. 원래는 YouAlwaysWin이 였지만 마인크래프트와 좀비 게임들을 많이해서 현재 체널 이름을 YouAlwaysWin Mincraft & Zombies로 봐꿨다. 나중에 한명이 YouAlwaysWin 체널에 합류했는데 그의 이름은 Nitro며 YouAlwaysWin 비디오들의 편집과 체널 아트, 비디오 오프닝, Meatwagon22, Gunns4Hire와 그의 캐릭터 아이콘, 그리고 엔딩등을 만든다. | YouAlwaysWin에 대해 설명해줘. |
|
대한민국의 가수, 보컬 트레이너, 유튜브 인플루언서. 2002년 정식 데뷔. 현재 활동명은 유미(Youme)[* 데뷔 당시 활동명도 지금과 같은 '유미'였지만 영어 스펠링이 달랐다.]. 본명은 오유미. | 유미(가수)에 대해 설명해줘. |
|
전작 바질리스크 코우가인법첩이 이가와 코우가의 피 튀기는 인법승부라면 이번 작품은 남편과 가문을 악덕 영주에게 잃은 일곱 여인의 복수극이다. 전작보다 퇴폐적인 묘사에 더 중점을 맞추고 있다. 시대상으로는 코우가인법첩의 시대로부터 30년 후의 이야기. 전작에 나왔던 난코보 텐카이가 그대로 등장한다. | Y十M 야규인법첩에 대해 설명해줘. |
|
존 오브 디 엔더스 시리즈의 일환으로,2001년 3월 게임 1편과 동시에 발매된 OVA, 이후 방영된 Z.O.E Dolores, i의 프리퀄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1편과 Dolores,i의 5년 전인 2167년 최초의 오비탈 프레임 이돌로의 개발과 그를 둘러싼 사건(작중에서는 다이모스 사건으로 불린다)을 그렸다. | Z.O.E 2167 IDOLO에 대해 설명해줘. |
|
ZTE가 2013년 10월에 공개한 안드로이드(운영체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 ZTE Blade Q에 대해 설명해줘. |
|
ZTE가 2013년 5월, IDF 2013에서 공개한 안드로이드(운영체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기기명은 V975[* 중국에서는 차이나유니콤 모델명으로 사용된다. 차이나유니콤이 WCDMA를 서비스하는 상황이라 ZTE의 글로벌 모델과 기기명이 동일한 경우가 많다.]/U988S[* 차이나모바일 내수용 모델명이다.] | ZTE Geek에 대해 설명해줘. |
|
중국 ZTE가 2013년 5월 공개한 안드로이드(운영체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한국에는 2013년 중반에 티브로드를 비롯한 여러 MVNO 사업자들에게 출시되었으며, 이후 엔씨디지텍을 통해 11번가에서 판매를 개시하였다. 이후 2013년 7월에 인도에서 공개되었다. | ZTE ME에 대해 설명해줘. |
|
ZTE가 2011년 9월 출시한 안드로이드(운영체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기기명은 V856. | ZTE Movistra One에 대해 설명해줘. |
Subsets and Splits
No community queries yet
The top public SQL queries from the community will appear here once avail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