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tput
stringlengths 41
2.74k
| input
stringclasses 1
value | instruction
stringlengths 11
154
|
---|---|---|
넓은 의미로는 절지동물문 곤충강의 생물 분류 단계 목 중 하나인 딱정벌레목 곤충의 총칭, 좁은 의미로는 딱정벌레목 식육아목 딱정벌레아과 곤충들의 총칭이다. 날개의 질감 때문에 초시류 또는 갑충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앞날개는 딱딱하고 가죽질로 된 딱지날개이며 그 속에 얇은 막으로 된 뒷날개가 있음이 특징. 곤충 중 상당히 많은 종을 차지한다. 지금껏 인류가 발견한 동식물 등 모든 종을 일렬로 놓는다면, 10번에 1번씩은 딱정벌레가 나올 정도다. 그만큼 대단히 성공적으로 지구의 환경에 적응한 곤충이다.
|
딱정벌레에 대해 설명해줘.
|
|
밑둥을 돌려서 쓰는 고체 풀을 일컫는 말. 원래는 아모스에서 생산하는 특정 제품의 브랜드명이나, 같은 형태의 제품을 모두 지칭하는 상표의 보통명사화 중 하나로 굳어졌다. 일반적으로는 녹색 몸통에 노란 뚜껑이 달린 아모스 사의 딱풀을 연상하는 사람이 많고, 실제로도 가장 많이 팔리는 딱풀 종류도 아모스의 딱풀이다.
|
딱풀에 대해 설명해줘.
|
|
사천 요리의 한 가지로, 중국판 비빔국수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다만 일본식은 국물이 많은 편이라, 거의 땅콩맛 나는 라멘과 비슷한 경향도 있다.] 擔 자는 '멜 담'이라는 글자로 과거에 양쪽에 짐을 메단 긴 봉을 어깨에 메고 다니면서 팔았기 때문에 擔擔麵이다.
|
딴딴면에 대해 설명해줘.
|
|
딴손잡이라는 표현으로도 널리 쓰인다. 영어로는 Cross-dominance, Mixed-handedness, Mixed-dominance 등의 표현이 쓰인다. 다양한 명칭이 통일되지 않고 사용된다는 점에서 알 수 있듯, 보통은 양손잡이와 잘 구분하지 않고 사용한다.
|
다른손잡이에 대해 설명해줘.
|
|
딸기는 시유(VOCALOID) 시유의 VOCALOID 오리지널 곡이다. 2012년 8월 28일에 업로드되었다. Alone(시유) Alone과 마늘송으로 유명한 팀 후리후리가 제작했다. 크리크루에 업로드되었을 당시 첫날에 재생수 3200, 구름수 1200을 기록했다.
|
딸기(VOCALOID 오리지널 곡)에 대해 설명해줘.
|
|
모티브는 딸기 + 후드티+소심한 어린아이. 후드로 눈을 제외한 얼굴 전체를 가린 것이 케니 맥코믹을 떠올리게 한다. 후드 부분이 딸기 모양인 분홍색 후드티와 녹색 가방을 매고 있으며, 츄파춥스 막대사탕을 지니고 있다.
|
딸기맛 쿠키에 대해 설명해줘.
|
|
2013년, 생활의 달인에 출연했던 과일찹쌀떡의 달인이라는 김모씨와 가게 점주였던 안모씨에 얽힌 사건으로, 인터넷 여론의 어두운 면과 공정성을 잃은 방송이 어떤 영향을 주는지 보여준 대표적인 사례.
|
딸기찹쌀떡 사건에 대해 설명해줘.
|
|
횡격막이 자극을 받아 급격한 수축을 일으키면서 특징적인 소리를 내는 현상을 가리킨다.
|
딸꾹질에 대해 설명해줘.
|
|
개그콘서트의 옛 코너 그렇습니다에서 나온 캐릭터이나 당시 개그콘서트의 파급력으로 인해 이 단어가 유행어가 되었다.[* 사실 개그콘서트에서 만들어진 단어는 아니다. 70년대 말~80년대 말 정도 국민학생들 사이에서는 아래에 소개된 것처럼 바닥에 떨어진 음식을 누군가 주워먹으면 "땅그지"라고 놀려대곤 했다.]
|
땅그지에 대해 설명해줘.
|
|
황도 12궁의 제 13궁. 황도 13궁으로 셀 때는 11월 30일부터 12월 17일까지 뱀주인자리에 속한다.
|
뱀주인자리에 대해 설명해줘.
|
|
크리퍼 Creeper. 두 종류의 다른 저그 유닛이 동일한 이름을 사용한다.
|
땅무지에 대해 설명해줘.
|
|
방송사의 뉴스 진행시 집권층(국가원수나 집권당) 관련보도를 첫번째로 하는 뉴스를 가리키는 말. 물론 땡뉴스는 정식용어가 아닌 속어에 가깝고 정식용어는 없다. 사실 원조는 80년대 한국 사회에서 쓰던 땡전뉴스에서 나온 말이다.
|
땡뉴스에 대해 설명해줘.
|
|
벨기에 만화가 에르제가 만든 만화 시리즈로, 프랑스-벨기에 만화의 전설적인 고전으로 꼽히는 만화다. 1929년 첫 발간되어 지금까지 100개 이상의 언어로 출간되어 약 2억 7,000만부 이상 판매되었다. 전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끈 베스트셀러이며 현재에도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읽는 만화계의 스테디셀러다.
|
땡땡의 모험에 대해 설명해줘.
|
|
쌀 등의 곡물 곡류를 주재료로 해서 한국, 중국, 일본, 베트남, 필리핀 등 쌀을 주식으로 하는 아시아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음식. 조리법과 쌀[* 주로 맵쌀과 찹쌀을 사용한다.]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맛과 식감이 난다. 각 나라의 전통 명절마다 자주 상 위에서 보게 되며 흔하게 먹는 음식이다.
|
떡에 대해 설명해줘.
|
|
새해, 특히 설날에 먹는 음식중 하나. 간단하게 말해서 떡국에다 만두를 넣은 국(요리) 국이다.
|
떡만둣국에 대해 설명해줘.
|
|
간단히 말해 장갑을 두른 기계 병기류의 장갑(무기) 장갑이 웬만한 무기로는 유효한 타격을 입히기 어려울 정도로 굉장히 두꺼운 것을 말한다. 줄여서 '떡장'이라고도 한다. 반대말로는 종이장갑, 물장갑이라는 말이 쓰인다. 이쪽의 축약어는 '물장'.
|
떡장갑에 대해 설명해줘.
|
|
한국의 성인 웹툰. 작가는 <피자를 시켜먹다>로 유명한 장재웅.[* 이 웹툰에서는 '불변만랩'이라는 필명을 쓰고 있다.] 섹스파트너 제목과 작품 내용 문서에서 알 수 있듯 과거의 연인이었던 두 남녀가 우연한 기회에 다시 만나 격렬한 사랑을 나누는 이야기를 그린다.
|
떡정어게인에 대해 설명해줘.
|
|
모든 생물은 혈액 순환이나 근육 수축 등의 이유로 인해 평상시에도 어느정도의 떨림을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떨림이 심해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 의학적으로 문제가 된다. 떨림은 가장 흔한 이상운동증상 중 하나로, 떨림의 종류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본태성(원인을 알 수 없는) 떨림과 갑상선 질환에 따른 손떨림(수전증)을 비롯한 턱떨림과 소뇌위축에 따른 손과 턱과 눈밑떨림(안구진탕) 즉 활동 및 자세 떨림과, 긴장성 떨림 그리고 파킨슨병에 따른 떨림과 약물로 인한 떨림이 있으며, 심혈관계 질환에 따른 이상으로 인해 떨림이 생기거나 그밖에 마약과 알코올로 인한 떨림이 있다. 의학 용어로는 진전(振顫)이라고 한다.
|
떨림에 대해 설명해줘.
|
|
일본의 라이트 노벨. 작가는 <강철의 흰토끼 기사단>의 마이사카 코우, 삽화가는 요타.
|
떨어진 용왕과 멸망해가는 마녀의 나라에 대해 설명해줘.
|
|
혀에 있는 부드럽고 끈끈한 막이 오그라들면서 느껴지는 느낌. 오그라든 막이 펼쳐질때 까지 시간이 걸리는 편이라 떫은 맛은 그 맛을 내는 물질이 혀에서 사라져도 상당히 오래 남는 편이다. 미뢰가 느끼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미각이 아니다. 매운맛처럼 미각으로 오인되는 촉각으로, 매운맛은 미각을 흉내내는 통각, 떫은맛은 미각을 흉내내는 압각이다.
|
떫은맛에 대해 설명해줘.
|
|
자주 틀리는 한국어 가운데 하나로서 한국어의 동사 동사 '뜨다'의 과거형 '떴다'(뜨- + -었- + -다)의 잘못. 발음은 똑같이 {{{[떧따]}}}이다.
|
떳다에 대해 설명해줘.
|
|
꾸러기 수비대의 두 번째로 선발된 멤버. 테마곡은 마성의 붉은색(魔性の赤).
|
떵이에 대해 설명해줘.
|
|
애니메이션 북두의 권 1기의 다음회 예고 BGM 앞부분의 멜로디라인을 문자화한 표기이자 코멘트.
|
떼렛떼에 대해 설명해줘.
|
|
영국의 테크노 스릴러 및 SF 소설 SF 작가 찰스 스트로스의 대체역사물 대체역사 단편소설. 프로젝트 플루토나 각종 군사 용어에 대해 상세히 묘사되는 등 테크노 스릴러 내지는 토머스 레오 클랜시 주니어 톰 클랜시 류의 전쟁소설에서 쓰이는 형식으로 크툴루 신화를 다루면서도, 하워드 필립스 러브크래프트 러브크래프트 세계관 특유의 코즈믹 호러가 주는 분위기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수작이다.
|
또 다른 냉전에 대해 설명해줘.
|
|
2014년 2월 6일 개봉된 한국 영화.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된 영화이다.
|
또 하나의 약속에 대해 설명해줘.
|
|
또봇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등장 메카. 이름의 유래는 카 투 로봇(car to robot)과 '또 하나의 로봇'의 준말이라고 한다. 또봇이라는 이름은 변신자동차 또봇, 애슬론 또봇의 애니메이션을 제작한 레트로봇 측이 처음으로 제안했으며, 영실업에서 또봇 X와 Y의 완구 모형을 제시했을 때는 각각 X, Y라는 코드명만 붙어있었다.
|
또봇에 대해 설명해줘.
|
|
사람 똥으로 만든 고기. 좀 더 정확히 말하자면 똥에서 뺀 성분에 소스를 끼얹어 만든 음식. 공식적인 명칭은 Turd Burger라고 한다. 사실 Turd도 별반 다를 바 없는 욕설에 가까운 단어지만 말이다.
|
똥고기에 대해 설명해줘.
|
|
태권도 선수 출신 배우 이동준(1958) 이동준의 대표적인 흑역사. 자신이 제작하고 주연을 맡은 영화 클레멘타인(영화) 클레멘타인이 쫄딱 망한 뒤 빚더미에 오른 이동준은 돈을 벌기 위해 밤무대를 전전하게 되었는데, 그러던 중 한 나이트클럽에서 이동준을 출연시키면서 저 문제의 현수막이 걸리게 되었고, 이 현수막 사진이 인터넷에 '클레멘타인 감독 근황'[* 하지만 감독은 이동준이 아니다.] 등의 제목으로 올라오면서 수많은 사람들이 이동준의 처절한 사연을 알게 된다.
|
똥꼬쇼에 대해 설명해줘.
|
|
헤어 스타일의 한 종류. 머리카락을 한쪽으로 모아서 꼰 후 똥처럼 꼬아 묶는 헤어스타일이다.
|
똥머리에 대해 설명해줘.
|
|
능력도 별볼일없고, 인품은 개차반이면서, 권위주의적 면모만 살아있는 장군이나 제독을 지칭하는 대한민국 국군의 속어.[* 포트리스2에서 동별 계급을 똥별로 부르기도 하는데 이 문서에서 설명하는 똥별과는 별 상관이 없다. 과거에는 해골 다음 계급이 동별이어서 실력이 별로라는 의미로 똥별이라 부르는 경우도 있었지만 해골과 별사이에 총알 계급 미사일 계급이 추가되면서 이젠 동별도 어느정도 실력이 되어야 다는 계급이 돼서 비하의도로 쓰는 경우도 이제는 없다. 포트리스의 여파로 크레이지 아케이드, 디지몬 온라인 등 계급에 동이 들어가는 게임들은 대부분 동을 똥이라 부르는데 이 들 역시 그냥 남들이 부르니깐 따라 부를 뿐 비하하는 의미는 없다.]
|
똥별에 대해 설명해줘.
|
|
이나중 탁구부 8권에 나온 가상의 스포츠(?) 종목. 마츠자와라는 단역캐릭터가 스메마츠 선생에게 준 광고지를 통해 등장했다. 91화~93화에 나온 내용들을 종합해보면 경기규칙은 대충 아래와 같다.
|
똥침월드컵에 대해 설명해줘.
|
|
무언가가 등장할 때 나오는 효과음을 표현한 말이다. 이 글자 특유의 괴랄한 생김새와 등장하는 상황의 절묘한 싱크로율이 인기를 끌게 했다. '~이/가 뙇', '~을/를 뙇', '~에 뙇'과 같이 쓰이곤 한다.
|
뙇에 대해 설명해줘.
|
|
CPU의 열 전도를 개선하기 위해, 즉 CPU의 온도를 더 효율적으로 낮추기 위해 CPU 히트 스프레더(Heat Spreader)를 열고 히트 스프레더와 코어[* '다이'라고도 한다.] 사이에 있던 서멀 그리스를 더 좋은 것으로 재도포하는 작업을 뜻하는 일종의 은어다. 다이에 발려있는 기존의 서멀 그리스를 닦아낸 뒤 주로 열 전도성이 일반적인 서멀보다 뛰어난 액체 금속(Liquid Metal) 계열의 서멀 그리스를 도포한다. 따는 순간부터 환불이나 교환, A/S는 불가능하다. 이느 CPU 뚜껑과 쿨러 사이에 서멀 그리스를 바르는 등의 일반적인 유지보수 행위와 달리 뚜따는 완제품을 제 입맛에 맞게 뜯어고치는 개조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단순 서멀 재도포에서 더 나아가서 아예 IHS 자체를 주문제작한 통 구리 재질로 교체하여 열 전도율 향상을 꾀하거나 사포로 IHS를 갈아내서 더 얇게 만드는 하드코어한 튜닝을 시도하는 사용자들도 있다. 영어로는 IHS(Integrated Heat Spreader) Removal 혹은 Delidding[* 이쪽은 De+Lid 에서 유래.]이라고 한다.[* 한국에서 뚜따 다음으로 많이 쓰이는 용어는 IHS 튜닝, 해외에선 CPU Delidding / Delid가 가장 많이 쓰인다.]
|
뚜따에 대해 설명해줘.
|
|
찌개 등을 끓이거나 담을 때 사용하는 오지그릇이다. 여기서 오지그릇이란 붉은 진흙으로 만들어 볕에 말린 뒤 오짓물[* 오지그릇의 ‘오지'는 오자기(烏瓷器)의 준말로 검은빛을 띤 고화도로 구워진 그릇.]을 입혀 구운 그릇을 말한다. 뚝배기의 겉이 거무스름한 색인데 오짓물을 바르지 않은 부분이 붉은색인 건 이 때문이다. 뚝배기라는 구수한 이름답게 고려 시대부터 지금까지 사용되어 온 토속적인 그릇이다.
|
뚝배기에 대해 설명해줘.
|
|
1990년대 중반 LG그룹 산하의 LG돔이 계획했던 다목적 돔경기장. 한국 스포츠계에 처음으로 제시된 돔경기장이었으나 복합적인 원인으로 인해 건설이 무산되었다.
|
뚝섬 돔 경기장에 대해 설명해줘.
|
|
서울 지하철 2호선 210번[* 개정 전 10번]. 서울특별시 성동구 아차산로 18 (성수동1가)에 위치해 있다.
|
뚝섬역에 대해 설명해줘.
|
|
서울 지하철 7호선 728번. 서울특별시 광진구 능동로(서울) 능동로 10 (자양동(광진구) 자양동)[* 자양동 73-2번지] 소재.
|
뚝섬유원지역에 대해 설명해줘.
|
|
애니메이션 네모바지 스폰지밥의 서브 주인공. 집게리아에서 일하는 스폰지밥, 징징이와는 다르게 직업이 없어 집이 앞의 두 등장인물과는 반대로 매우 초라하다. 그냥 스폰지밥의 집이나 징징이의 집의 절반도 안되는 크기의 반구형 바위며, 그 밑에 붙어서 잔다. 초기 시리즈에선 대부분 그냥 돌아래 서 사는것으로 나왔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지하에 공간이 있는것으로 바뀌었다. 내부가 묘사될 때는 모래굴집에 모래로 만든 가구가 있는 모습으로 나온다.[* 참고로 사랑의 게살버거 에피소드에서는 모래로 만든 냉장고에 모래 음식이 있기도 했다.][* 간혹 두 설정이 모두 반영된 에피소드도 있었는데 '내 집이 최고야' 편이 그 것. 분명 시작할때는 지하에서 살다가 중후반부에서는 집을 덮고잔다.] 어떤 에피소드에서는 TV가 진짜 TV로 변할 때도 있지만 대부분 모래로 지어진 가구가 다반사로 나온다. [* 참고로 바보들의 행진 편에서는 방도 몇 개쯤 있다.]
|
뚱이에 대해 설명해줘.
|
|
1993년부터 출간된 프랑스 만화. 현재까지 14권이 출간되었다. 지은이는 제프(Zep). 한국에도 정발이 되었지만, 7권을 마지막으로 정발되지 않고 있다. 2000년에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었다. 국내에서는 EBS에서 '말썽꾸러기 띠떼프'라는 제목으로 들여왔다.
|
띠떼프에 대해 설명해줘.
|
|
인터넷에서 찾아보면 꽤 오래 전 부터 사용된 듯 하다. 하지만 TV에서 나오는 경우는 찾아보기가 힘들고 보통 여중생이나 여고생들이 많이 사용하는 편.[* 주로 음성으로 방송되는 라디오에서는 여성 DJ들이 자폭개그로 사용하기도 한다. 써니의 FM데이트 DJ인 써니(소녀시대) 써니가 사용하기도 했다.][* 인터넷 방송인 브베(인터넷 방송인) 브베도 자주 사용한다. 이쪽은 정확하게는 띠로리가 아니라 띠리리.] 사실 이 트집은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바흐가 작곡한 토카타와 푸가(BWV 565) 토카타와 푸가 라 단조 BWV 565의 시작 부분 멜로디를 인간 관악기 직접 소리내어 표현하는 것 이다. 원곡을 직접 들어보자. 마성의 BGM/안습 왜곡계 어째서인지 그네들에겐 이 음악이 좌절 상황을 떠오르게 하는 모양이다.
|
띠로리에 대해 설명해줘.
|
|
마장기신 THE LORD OF ELEMENTAL의 배경이 되는 지저세계. 사이바스터의 모티브가 단바인인 것으로 볼 때, 모티브는 성전사 단바인의 배경인 바이스톤웰인 것 같다. 영문 표기는 'RA-GEAS'.
|
라 기아스에 대해 설명해줘.
|
|
프랑스 혁명을 배경으로 한 애니메이션으로, 1975년 4월 4일부터 1975년 12월 26일까지 후지TV에서 방영했다. 선라이즈가 작화를 담당한 선라이즈의 초기작. 총감독은 오오스미 마사아키, 감독은 데자키 사토시[* 데자키 오사무 감독의 형이다.](1화 ~ 26화)와 토미노 요시유키(27화 ~ 39화)가 맡았다.
|
라 세느의 별에 대해 설명해줘.
|
|
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와 마비노기/마비노기 영웅전에 등장한 절지동물형 몬스터.
|
라고데사에 대해 설명해줘.
|
|
인기 있었던 온라인게임 라그나로크 온라인의 모바일 버전. 장르는 모바일 MMORPG. 즉 MMMORPG 되시겠다.. 개발사는 악명높은 그라비티의 자회사 네오 싸이언
|
라그나로크 발키리의 반란에 대해 설명해줘.
|
|
그라비티사에서 개발하고 배급하는 MMORPG이며 라그나로크 온라인의 후속작. 2013년 11월 서비스 종료.
|
라그나로크 온라인 2에 대해 설명해줘.
|
|
은하영웅전설의 시리우스 전역에서 지구통일정부를 굴복시킨 네 명의 주요인물을 그룹으로 묶어서 가리키는 단어이다. 구성원 모두가 지구군의 만행인 라그랑 시티 사건 제1차 라그랑 시티 소탕전과 블러디 나이트에서 피해를 입고 구사일생으로 살아남은 사람들이었으며, 서로 만나기 전까지 각자 소규모의 저항조직을 조직해서 지구에 저항했다.
|
라그랑 그룹에 대해 설명해줘.
|
|
파이어 엠블렘 창염의 궤적과 파이어 엠블렘 새벽의 여신의 등장 종족. 수인종족이나 작품 내에서 수인이라고 부르면 눈이 뒤집혀서 공격해온다. 반대로 인간이라는 호칭은 하대하는 호칭이며, 인간을 대하는 동격의 호칭은 베오크이다.
|
라그즈에 대해 설명해줘.
|
|
한국의 대표적인 접이식 침대 전문 브랜드. 네이버 한국 다음 3대 네이트 포탈에서 광고하는 브랜드 홈페이지는 라꾸라꾸침대공식홈페이지와 라꾸라꾸코리아. 여기다. 이 회사의 가장 특이한 점은 한국 브랜드임에도 사명이 일본어이고, 상표도 아예 히라가나로 적혀있다는 것에 있다. 애초에 상품명에 일본어를 가져다 썼으니 그런 듯. 비슷한 예로 하고로모(분필)가 있는데, 이 쪽은 일본 브랜드였다가 한국 브랜드로 바뀐 경우이다.
|
라꾸라꾸에 대해 설명해줘.
|
|
라나 베니코는 시스 제국(하이퍼스페이스 대전 이후) 시스 제국 소속의 인간 여성 시스(스타워즈) 시스 군주이다. 그녀는 은하 전쟁 동안 공화국과 맞서 어둠의 심의회 어둠의 심의원인 다스 아커스의 핵심 고문으로 있었다. 등장은 스타워즈: 구공화국의 플래시포인트인 포지드 얼라이언스.
|
라나 베니코에 대해 설명해줘.
|
|
일본의 라이트 노벨. 작가는 <나는 친구가 적다>로 유명한 히라사카 요미(平坂読), 삽화가는 Lass 소속 원화가 요타(よう太).
|
라노벨부에 대해 설명해줘.
|
|
메이플스토리의 메이플스토리/등장인물 등장인물. 봉인[* 정확하게 구분하자면 다른 영웅들과는 조금 다른 봉인이다. 다른 영웅들은 검은 마법사의 저주에 의해 봉인된거지만 루미너스는 검은 마법사가 봉인을 깨려고하자 몸을 날려 검은 마법사를 막고, 검은 마법사와 함께 봉인된 것이다. 그렇게 검은 마법사를 막다가 팔에서부터 검은 마법사의 어둠이 스며들어 침식당하고, 그 영향으로 한쪽 눈이 붉어져 벽안에서 오드아이가 되어버렸다. 다만 조금 의문인 건 검은 마법사와 같이 봉인당했음에도 봉인에서 깨어난 장소가 서로 아예 다르다. 왜인지 알 수 없는 부분.]에서 막 깨어난 루미너스를 발견했고, 그 뒤부터 계속 함께 지내고 있다.[* 다만 루미너스가 사정상 이리저리 돌아다니게 된 후엔 루미너스를 자주 보지는 못하는 모양.]
|
라니아(메이플스토리)에 대해 설명해줘.
|
|
소련 구 소련 시절 때부터 시작된 러시아 자동차 회사이다. 이전의 사명은 VAZ로 Во́лжский Автомоби́льный Заво́д(볼가 강 볼가 자동차 공장, 볼시스키 압토모발나 자보트)를 라틴 문자로 전사했을 때 줄인 표현이다. 지금의 정식 이름은 아브토바즈(AvtoVAZ, АвтоВАЗ)로, 라다(Lada, Лада)는 수출 전용 브랜드이다. 라다는 러시아말로 돛단배라는 뜻이며, 로고에 그려진 것도 돛단배. 이전에는 소련 시절의 잔재로 같은 모델을 수십년간 우려먹는 성격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최근 들어 점점 바뀌고 있는 추세이다.
|
라다에 대해 설명해줘.
|
|
우주의 기사 테카맨 블레이드에 등장하는 우주의 지적 생명체이자 적 세력이다.
|
라담에 대해 설명해줘.
|
|
라데 셰르베지야(Раде Шербеџија / Rade Šerbedžija, 1946년 7월 27일 ~ )는 세르비아계 크로아티아인 영화배우이다.
|
라데 셰르베지야에 대해 설명해줘.
|
|
사우디아라비아의 갑부 가문으로, 친미 가문이자, 9.11 테러를 일으킨 알 카에다의 지도자 오사마 빈 라덴이 나온 가문이기도 하다. 미국과 친한 것 때문에 마이클 무어는 화씨 911에 관련 음모론을 집어넣기도 했다. 근데 정작 가문은 오사마 빈 라덴을 내논 자식으로 생각하고 있는 거 봐서는 알아서 판단하시길. 실제로 오사마는 첫 테러 이후 가문에서 쫓겨났다.
|
라덴에 대해 설명해줘.
|
|
Radscorpion. 폴아웃 시리즈에 전통적으로 나오는 몬스터. 방사선 때문에 돌연변이를 일으켜서 몸집이 커진 전갈이다. 폴아웃3 비공식 한글판에선 방사능 전갈로 번역했다. 데스클로와 마찬가지로 알을 낳아 번식하고, 육식성으로 브라민 같은 포유류나 거대 개미 같은 곤충류가 주식이며 데스클로를 사냥해서 먹기도 한다.
|
라드스콜피온에 대해 설명해줘.
|
|
라드브로크 그로브 열차 충돌사고, 또는 패딩턴 열차 충돌사고는 1999년 10월 5일 런던 패딩턴 역 근처에서 일어난 템스 터보 열차와 퍼스트 그레이트 웨스턴 고속열차 간의 정면 충돌 사고이다. 이 사고는 영국의 철도 민영화로 인한 시스템 악화에 따른 신호무시가 사고 원인으로 밝혀졌다. 이 사고로 영국의 철도교통 시스템의 많은 부분이 수정되었다.
|
라드브로크 그로브 열차 충돌사고에 대해 설명해줘.
|
|
Radio, 원래 라디오 방송을 포함한 무선 통신 전체를 가리키는 말이다. 하지만 이것이 변천되어 오디오 방송과 이를 수신하는 기기를 뜻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하지만 여전히 영미권에서는 본래의 의미로 많이 사용하므로 문맥을 잘 파악할 필요가 있다.] 라디오는 사용주파수대에 따라서 중파방송(AM방송)·단파방송·초단파방송(FM방송)으로 분류되며, 각각의 전파 특징에 의해서 중파는 광역방송(廣域放送)에, 단파는 주로 해외방송에, 그리고 초단파는 가시거리방송(可視距離放送) 등에 사용되고 있다. 텔레비전보다 역사가 더 오래되었으며 라디오도 TV처럼 예능, 교양, 뉴스, 그리고 드라마를 하기도 하고 또한 라디오에도 아나운서가 있고 기자가 있으며 또한 라디오 배우(성우)가 있다. 전파로 송수신하지 않아도 라디오라고 부르는 경우도 많다. 인터넷 라디오가 대표적인 예이다.[* 이 때문에 인터넷이 완전히 보급된 이후에 자란 어린 아이들은 라디오, 오디오가 특정 기계를 가리키는 이름이라는 사실을 모르는 경우도 있다.]
|
라디오에 대해 설명해줘.
|
|
프랑스의 수도 파리(프랑스) 파리를 거점으로 하는 관현악단. 프랑스 국립 관현악단과 함께 프랑스 공영 방송인 라디오 프랑스(Radio France)의 관할 하에 있다.
|
라디오 프랑스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에 대해 설명해줘.
|
|
하늘 위로 높이 띄워보내서 구름의 밀도나 먼지의 양, 기압, 습도 등을 측정하는 기상장비이다. 마치 풍선이 하늘로 날아가는 것처럼 생겼다.
|
라디오존데에 대해 설명해줘.
|
|
1990년대 그런지와 브릿팝 열풍 이후 나타나 대중음악의 새로운 길을 제시한 영국 밴드. 수많은 장르를 조합하고 앨범마다 컨셉과 사운드를 달리하는 종합적인 작법을 일반화시키는 동시에,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고 압도적인 평론계의 찬사도 한 몸에 받았다. 급속도로 진행되는 세계화와 궤를 같이 해 진행된 이들의 성공은 개별적인 장르에 대한 영향 이상으로 음악 소비층에 커다란 변화를 불러일으켰으며, 인터넷의 발달로 하나로 합쳐진 신세대 음악 향유층의 피겨헤드 중 하나로 자리잡아 엄청난 화제성을 가지고 있다. 이런 이유 덕에 금세기 초의 사회상을 상징하는 아티스트로서 늘 최우선으로 꼽히는 밴드 중 하나다.
|
라디오헤드에 대해 설명해줘.
|
|
야부키 켄타로작의 만화 투 러브 트러블의 메인 히로인.[* 투 러브 트러블에서는 메인 히로인이지만 히로인으로서의 입지나 매력은 미묘했고, 다크니스에서는 비중이 줄어들었지만 메인 히로인으로서 입지나 매력이 상승한 캐릭터이다.]
|
라라 사타린 데빌룩에 대해 설명해줘.
|
|
애니 지금, 거기에 있는 나의 히로인이자 성우는 나즈카 카오리[* 데뷔작이다. 당시 아직 중학생이어서 그런지 연기가 많이 어설픈 편. 그래도 실재 대사는 별로 없었다. 또한 같은 감독의 용의 전설 레전더에선 판 역을 맡는다.]/북미판은 리사 오티즈. 옅은 하늘색 머리와 인간과는 조금 느낌이 다른 벽안이 특징인 소녀로, 목에 푸른 구슬 모양의 팬던트를 차고 있다. 외모는 어린 소녀지만 인간이 아닌 어떤 전설적인 존재.
|
라라루에 대해 설명해줘.
|
|
전장의 발큐리아의 등장 캐릭터. 나이는 36세. 성우는 에가와 히사오/패트릭 사이츠. 애니판 성우는 노무라 켄지[* 다만 전장의 발큐리아 3 OVA인 누군가를 위한 총성에서는 게임판 그대로 에가와 히사오]
|
라르고 폿텔에 대해 설명해줘.
|
|
KBS N SPORTS의 자체방송 프로그램으로 스페인의 축구리그이자 세계 4대 리그 중 하나인 프리메라 리가에 대한 전문 매거진 프로그램. 그 주 있었던 라리가 주요 경기 하이라이트, 경기 분석, 여러 이야기거리 이 핵심인 프로그램이다. 2012/2013 시즌에는 금요일 밤 12시에 방영되었고, 2013/2014 시즌에는 금요일 밤 11시로 시간대를 옮겨 방송한다. 경기 하이라이트가 중심인 만큼 평이한 프로그램일 수 있으나 해설위원의 경기 해설과 당시 신입 아나운서였던 정인영 아나운서가 80년 이상 된 라리가의 여러 이야기보따리를 풀면서 좋은 평을 받았다.
|
라리가 쇼에 대해 설명해줘.
|
|
Warhammer 40,000에 등장하는 인류제국 스페이스 마린의 21번째 파운딩 챕터. 블러드 엔젤에서 갈라져 나왔다. 뜻은 '애도하는 자들.' 그런데 막상 이들의 상황을 보면 오히려 이들이 애도받아야 할 것 같다.
|
라멘터에 대해 설명해줘.
|
|
Ramón. 스페인어권의 남자 이름. 고대 독일어 라이문트(Raginmund)에서 유래했다.
|
라몬에 대해 설명해줘.
|
|
필리핀의 제7대 대통령이자 사실상 (완전 독립 이후인 제3공화국부터 치면) 제3대 대통령. 재임 1953년 12월 30일 - 1957년 3월 17일. 청백리로 유명하다.
|
라몬 막사이사이에 대해 설명해줘.
|
|
스페인어권의 흔한 성씨 중 하나. 스페인어권의 성씨가 그렇듯, 접미사 '-ez'를 붙여 만든 성으로 '라미로(Ramiro)의 아들'이라는 뜻이다. 미국으로 건너오면서 주로 '라미레즈'라고 많이 알려져 있다.
|
라미레스에 대해 설명해줘.
|
|
페어리 테일(만화) 페어리 테일에 등장하는 정규 길드. 마스터는 '오오바 바바사마'.
|
라미아 스케일에 대해 설명해줘.
|
|
미국 드라마같은 미국 영상물에서 자주 볼수 있는 램프로 병 안에 투명한 액체와 왁스가 담겨 있으며 전구[* 과거에는 주로 백열 전구를 사용했으나 지금은 할로겐 전구가 더 많이 쓰인다.]를 키면 전구의 열을 받은 왁스가 녹아 병의 위쪽으로 상승했다가 냉각되어 다시 내려오고를 반복한다. 이것이 마치 용암의 움직임과 비슷하기 때문에 라바 램프라는 이름이 붙었다.
|
라바 램프에 대해 설명해줘.
|
|
저주 받은 영혼은 악마의 군주가 통치하는 지옥에서 영원한 고통으로 괴로워한다. 영혼들을 괴롭히는 집행관 중 고통의 집행관은 지옥에서도 가장 잔인한 이로, 영혼들을 학대하며 고통을 즐기며 살아간다. 이 존재는 살아있는 자와 죽은 자의 깊음 마음 한구석에 두려움이라는 낙인을 새기며 자신이 고통 줄 수 있는 날을 기다린다. 영혼들의 꿈을 짓밟고 고통을 주는 그의 이름이 바로 라베너이다.
|
라베너에 대해 설명해줘.
|
|
이탈리아 북부 에밀리아로마냐에 있는 도시이자 로마냐 지방의 중심지. 서로마 제국, 오도아케르 왕국, 동고트 왕국의 수도였고 동로마 제국의 이탈리아 통치 중심 거점이었기 때문에 문화유적이 여럿 존재한다. 아드리아 해와 7km 떨어져 있고 지금은 운하로 바다와 연결된다.
|
라벤나에 대해 설명해줘.
|
|
정글은 언제나 맑음 뒤 흐림, 하레구우의 등장인물. 주황색 머리를 양갈래로 땋은 소녀이다. 구푸타의 짝사랑 상대.
|
라벤나(정글은 언제나 맑음 뒤 흐림)에 대해 설명해줘.
|
|
해리 포터 시리즈의 등장인물. 그리핀도르 기숙사 소속의 여학생. 해리 포터와 같은 학년이다. 파르바티 파틸과 항상 세트로 다니는 단짝 친구다.
|
라벤더 브라운에 대해 설명해줘.
|
|
프랑스의 전 축구선수. 선수 시절 주로 미드필더로 활약했다. 제2의 마켈렐레가 될 재목으로 꼽혔지만, 기대만큼 성장하지는 못하였다. 약칭인 라쓰(LASS)로 많이 불린다.
|
라사나 디아라에 대해 설명해줘.
|
|
프로토스 원정 함대의 과학자. 저그 군단의 공격 이전에는 기체 행성 미드르의 위성 칼디르에서 연구 활동을 하고 있었다.
|
라사라에 대해 설명해줘.
|
|
시즌3의 최종보스 사실 라스 알굴의 떡밥은 시즌 초반부터 있었으며 시즌2에 리그 오브 어쌔신이 본격적으로 등장함으로 언젠가 라스가 등장할것이라는것을 시청자들은 짐작하고 있었다.
|
라스 알 굴(CW버스)에 대해 설명해줘.
|
|
철권 6 BR부터 등장한 캐릭터이자 본작의 주인공격 인물. 스웨덴어로는 '라르스 알렉산데르손(Lars Alexandersson)'이 된다. '라스 알렉산더슨'은 철자를 영어식으로 발음한 것. 철권 태그 토너먼트 2 한국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이 둘을 혼합하여 라스 알렉산데르손으로 표기하고 있으며, 철권 7 스토리 모드에서도 동일하게 표기한 것으로 보아 앞으로도 주욱 이 이름을 고수할 듯 하다. 성우는 스와베 준이치. 스크철 한정 영어 성우는 잭 행크스(Zach Hanks). 위의 6BR 일러스트에서 입고있는 옷은 철권중의 장교 제복이다.
|
라스 알렉산더슨에 대해 설명해줘.
|
|
타이토의 쿠마가야 연구소에서 개발한 액션 게임 시리즈. 코난 더 바바리안을 참고로 삼은 라스탄이 주인공이며, 매우 호쾌한 액션과 경파한 BGM이 특징이다. 챔피언 레슬러에 잔조출연하기도 하였다.
|
라스탄 사가 시리즈에 대해 설명해줘.
|
|
말 그대로 '최후의 부대'.[* battalion은 대대라고 번역되기는 하는데, 이렇게 나올때는 영어나 그냥 일반적인 부대의 의미이다.참고로 독일어로 대대는 Abteilung이나 Bataillon이라고 한다.] 유래는 나치 독일의 수장 아돌프 히틀러가 한 연설.
|
라스트 바탈리온에 대해 설명해줘.
|
|
라스트 스탠드(게임) Last Stand 라스트 스탠드 시리즈의 두 번째 작품. 전작 엔딩부분에서 바로 이어지며 라스트 스탠드 1 The Last Stand의 주인공인 Jack은 헬기로 탈출하는데 성공했으나,[* 그간 면도를 못했는지 수염이 덥수룩하게 자라있다.] 하필 탑승자 중 감염자가 있어[* 정확히는 헬기 조종사들 중 한 명이 감염되어 있었다.] 좀비의 난동으로 헬기가 추락하고,[* 이 때 추락할 때 쓰인 비병소리 및 추락 소리는 영화 블랙 호크 다운에서 처음으로 소말리아 민병대에게 격추 당한 슈퍼 61(월캇이 몰던 블랙호크)의 소리를 활용했다.] 구사일생으로 살아난 주인공이 Union City라는 도시에서 마지막 탈출선이 40일 내에 출항한다는 소식을 듣고 생존을 위한 여행을 다시 시작한다.
|
라스트 스탠드 2에 대해 설명해줘.
|
|
조지 마이클과 앤드루 리즐리로 구성된 Wham!이 1984년 double A-side 앨범으로 내놓은 "Everything She Wants"의 첫번째 싱글 곡이다. 신스팝과 댄스 뮤직 댄스, 크리스마스 캐럴 장르의 곡이다.
|
Last Christmas에 대해 설명해줘.
|
|
이슬람권의 인명. '바르게 인도된 이' 이라는 뜻이다. 로제타 석이 발견된 이집트의 항구 도시인 로제타 로제타(Rosetta)도 아랍어로는 라시드(رشيد)로 불리는 곳이다. 그래서 로제타 석은 아랍어로 하자르 라시드(حجر رشيد)라고 한다.
|
라시드에 대해 설명해줘.
|
|
라싱 클루브(Racing Club) 또는 라싱 클루브 데 아베야네다(Racing Club de Avellaneda)는 아르헨티나의 중동부, 부에노스아이레스 인근 아베야네다가 연고지인 스포츠 클럽이다. 농구, 권투, 무술, 롤러 스케이트, 테니스, 배구 등의 경기 팀도 소유하고 있지만, 축구 클럽이 가장 유명하다. 보카 주니어스, 리버 플레이트, 산 로렌소, 인데펜디엔테와 함께 전통적으로 아르헨티나 빅 5로 꼽힌다. 아르헨티나에서 가장 충성도 높은 서포터즈를 가진 클럽이다.
|
라싱 클루브 데 아베야네다에 대해 설명해줘.
|
|
중생대 백악기 전기 호주에 서식한 조각류 공룡. 속명은 '라엘린(Leaellyn)의 도마뱀'이라는 뜻으로, 1989년에 이 공룡을 처음 학계에 보고한 고생물학자 부부의 딸 이름을 따온 것이다.[* 독특한 철자 때문에 "레아엘리나사우라" 또는 "리엘리나사우라"로 발음하기도 한다.]
|
라엘리나사우라에 대해 설명해줘.
|
|
라오스의 플래그 캐리어(국영 항공사)이다. 본사는 수도 비엔티안에 두고 있으며, 왓따이 국제공항의 중심으로 국내선 및 국제선을 운항하고 있다.
|
라오스항공에 대해 설명해줘.
|
|
라오스와 태국 일부 지역 등에서 쓰이는 언어. 국명은 한국어로 '라오스'지만 민족이나 언어를 가리킬 때는 '라오족', '라오어'라고 한다. 그럼 '스'는 어디서 온 것이냐고 하면 프랑스어로 라오족을 가리킬 때 복수형인 'Laos'를 쓴 것이 정착된 것이다.[* 프랑스어로는 어미의 s가 묵음이기 때문에 발음은 똑같이 /라오/로 한다.]
|
라오어에 대해 설명해줘.
|
|
스페인 수도 마드리드를 연고로 하고 있는 중소클럽이다. 마드리드 외곽 바예카스 마을(Villa de Vallecas) 의 노동자들에 의해 1924년에 창설됐다.
|
라요 바예카노에 대해 설명해줘.
|
|
스페인의 축구 선수. 원래 포지션은 중앙 미드필더였지만 디에고 시메오네 감독의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에서 세컨드 스트라이커와 윙어로 포지션 변경을 한 특이 케이스이다.
|
라울 가르시아에 대해 설명해줘.
|
|
Raoul Charles Magrin-Vernerey (라울 샤를 마그랭베르느레, 1892년 2월 7일 ~ 1964년 6월 3일)는 프랑스 육군 장군이다.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였으며, 6.25 전쟁에 파병된 UN 프랑스 대대를 지휘했다. 본명보다 가명인 랄프 몽클라르(Ralph Monclar)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의 이름인 라울(Raoul)은 영어의 랄프(Ralph, 영국에서는 레이프)에 해당하는 이름이다. 두 이름의 어원은 고대 노르드어 Raðulfr(라둘프르)에서 유래한 것으로 '늑대의 충고'라는 의미이다.]
|
라울 마그랭 베르느레에 대해 설명해줘.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활약했던 前 야구선수, 現 도미니카 공화국 도미니카의 정치인. 1990년대 LA 다저스의 스타플레이어였으며, 30-30을 두 차례 달성하는 등 리그에서도 알아주는 5툴 플레이어로 이름을 날렸으나 개인의 인성 문제나 자기관리 부족, 복잡한 사생활 등으로 본인의 재능을 오랫동안 발휘하지 못하고 은퇴한 선수.
|
라울 몬데시에 대해 설명해줘.
|
|
멕시코 국적의 축구선수로, 주 포지션은 센터 포워드이다. 현재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소속이다.
|
라울 히메네스에 대해 설명해줘.
|
|
<Lamento -BEYOND THE VOID->의 등장인물이자 공략 캐릭터들 중 한 명이다.
|
라이(라멘토)에 대해 설명해줘.
|
|
탑블레이드 등장인물. 백호족의 일원이자 중국팀의 주장이다. 한국판 무인편 목소리가 매우 간지. 나이는 레이(탑블레이드) 레이와 동갑이다. 사용 팽이는 가르온, 속성은 번개.
|
라이(탑블레이드)에 대해 설명해줘.
|
|
미국 보험회사 시그나(Cigna)의 한국법인으로 라이나생명 로고에 Cigna가 쓰인 이유이다. 라이나(LINA)라는 이름은 시그나의 미국 자회사인 Life Insurance Company of North America의 머릿글자를 딴 것으로 60대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한 보험 상품을 주력으로 판매한다.
|
라이나생명에 대해 설명해줘.
|
|
구급전대 고고파이브의 주역 2호 메카.[* 작중에선 '6번째 전사'라고도 칭하는데 이는 어디까지나 인공지능 메카에 대한 유대감을 나타내는 표현일 뿐 브라이(공룡전대 쥬레인저) 드래곤레인저류를 가리키는 '6번째 전사'와는 전혀 의미가 다르다.] 성우는 야마기시 이사오. 파워레인저 라이트스피드 레스큐에서의 명칭은 맥스 솔라조드.
|
라이너 보이에 대해 설명해줘.
|
|
영국의 미니어처 게임 Warhammer 40,000에 등장하는 병력수송장갑차. 인류제국(Imperium of Man)의 최정예 초인 전사 집단인 스페이스 마린을 비롯한 일부 군사기관 및 반란군인 카오스 스페이스 마린 등이 운용 중이며, 기본형 외에도 다양한 파생형이 널리 쓰이고 있다. 미군의 APC인 M113를 모티프로 하고 있다.
|
라이노(Warhammer 40,000)에 대해 설명해줘.
|
|
오토바이를 탑승한 몬스터들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며, 의식 몬스터인 스컬라이더를 제외하고 전부 효과가 있는 하급 몬스터이다.
|
라이더(유희왕)에 대해 설명해줘.
|
|
오즈의 마법사의 저자로 유명한 미국의 작가, 배우이자 감독. 오즈의 마법사 이전에는 연극무대 연출이나 각본, 연극배우, 잡지사,신문사 편집장, 기자 등 여러 직업을 전전했다. 오즈의 마법사로 유명하지만 사실 히트치기 전후로 여러 희곡이나 동화를 썼다. 그러나 크게 빛을 보진 못했고 역으로 말하면 오즈의 마법사 덕에 유명세를 얻은 셈. 심지어 어떤 이야기는 울며 겨자먹기로 오즈의 마법사에 끼워팔기식으로 쓴 것도 있다.
|
라이먼 프랭크 바움에 대해 설명해줘.
|
Subsets and Splits
No community queries yet
The top public SQL queries from the community will appear here once avail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