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tput
stringlengths 41
2.74k
| input
stringclasses 1
value | instruction
stringlengths 11
154
|
---|---|---|
돗토리현 돗토리시에 위치한 JR 니시니혼의 역이다. 산인 본선상에 위치해 있으며 인비선의 시종착역이기도 하다. 와카사 철도의 와카사선도 직통운전을 통해 이 역까지 들어온다. 돗토리현이 인구가 적은 현이라고 해도 현의 대표역이니 유동인구는 어느 정도 있는 편이다. 대략 5,000명 정도.
|
돗토리역에 대해 설명해줘.
|
|
바이오하자드 댐네이션에 등장하는 가공의 국가 가상의 국가. 작품의 주 무대이기도 하다.
|
동슬라브 공화국에 대해 설명해줘.
|
|
통영대전고속도로 3번. 경상남도 고성군(경상남도) 고성군 거류면 송산로(고성) 송산로 421 (은월리)에 위치한 통영대전고속도로의 나들목. 명칭은 소재지인 고성군에서 유래했다.
|
동고성IC에 대해 설명해줘.
|
|
평남선의 철도역. 남포특별시 온천군 보림로동자구(普林勞動者區) 동쪽 소재.
|
동광량역에 대해 설명해줘.
|
|
광주광역시 광산구 지죽동에 위치한 무안광주고속도로 본선 상에 있는 요금소 폐쇄식 요금소. 명칭은 소재지인 광산구에서 유래했다.
|
동광산TG에 대해 설명해줘.
|
|
호남고속도로 10번. 광주광역시 북구(광주) 북구 문흥동에 위치한 호남고속도로의 나들목. 명칭은 소재지인 광주광역시에서 유래했다.
|
동광주IC에 대해 설명해줘.
|
|
광주광역시 북구(광주) 북구 장등동에 위치한 광주대구고속도로와 호남고속도로 본선 상에 있는 요금소 폐쇄식 요금소. 명칭은 소재지인 광주광역시에서 유래했다.
|
동광주TG에 대해 설명해줘.
|
|
인천광역시의 중서부에 위치한 자치구. 인구는 인천광역시 8개 구 중에서 가장 적고, 10개 구·군 중에 가장 작다. 지리적으로 남쪽으로는 중구(인천) 중구, 북쪽으로는 서구(인천) 서구, 동쪽으로는 미추홀구, 서쪽으로는 황해와 접한다. 서쪽에 있는데도 동구라는 명칭이 붙은 이유는 중구(인천) 중구 송학동에 있던 인천시청(현 중구(인천) 중구청)의 동쪽에 있는 지역이었기 때문이다.(舊 시청 동쪽에 있는 구) 중구(인천) 중구와의 경계선은 경인선이 가로지르고 있다.
|
동구(인천광역시)에 대해 설명해줘.
|
|
서해안고속도로 13번.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 금만로 1849 (산월리 29-9)에 위치한 서해안고속도로의 나들목. 명칭은 소재지인 군산시의 동쪽에 위치한것에서 유래했다. 개통 당시에는 군산 나들목이었으나, 군산 → 동군산 나들목, 북군산 → 군산 나들목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동군산IC에 대해 설명해줘.
|
|
영동고속도로 9번.[* 초기에 서창JC 서창 방향은 2012년 영동고속도로의 교차로 번호가 새롭게 지정될 때 함께 바뀌어 10번으로 표시되어 있었던 반면, 강릉JC 강릉 방향은 옛날 번호인 7번을 그대로 달고 있었다. 강릉JC 강릉 방향 표지판이 잘못 만들어진 것. 현재는 양방향 모두 9번으로 수정되었다.] 경기도 군포시 영동고속도로 25 (부곡동 395)에 위치한 영동고속도로의 나들목. 명칭은 소재지인 군포시에서 유래했는데, 군포 나들목보다 동쪽에 있어서 그렇게 지어졌다.
|
동군포IC에 대해 설명해줘.
|
|
유럽의 동굴에 사는 도롱뇽의 일종. 동굴영원과 동굴영원속에 속하는 유일한 종으로 유럽 동남부 디나르 알프스의 카르스트 지형 카르스트 지대에 서식한다. 동굴영원이라는 국명과는 달리, 진짜 영원(동물) 영원과는 무관하다. 이는 일본명인 ホライモリ를 직역하면서 와전된 것이라 보여진다. 사실 한국의 생물명칭 중 일본책에서 베껴 그대로 직역한 것들이 정말 많다.
|
동굴영원에 대해 설명해줘.
|
|
동궐이라고 묶여 불리던 창덕궁과 창경궁, 후원 일부를 담은 그림. 고려대학교 박물관과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에 각각 소장되어 있으며, 대한민국의 국보 국보 제249-1호와 제249-2호로 지정되어 있다.
|
동궐도에 대해 설명해줘.
|
|
비공식적으로는 신석기 시대와 청동기 시대 사이에 있었던, 인간이 아직 청동을 비롯한 여러 합금을 다루진 못했었던 시기로, 대신에 비교적 순수한(?) 금(원소) 금, 은, 구리(원소) 동 등으로 만든 도구를 사용해왔었던 시대로 정의된다. 대부분의 문명권에서는 매우 짧은 시간이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생략되지만, 고대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문명권에서는 순동기 사용 기간이 1000~1500년 이상으로 꽤 길다. 당장 피라미드가 한창 건설되던 시절(이집트 고왕국)에도 이집트에서는 주석(원소) 주석이 나지 않았기 때문에 제2중간기 (기원전 18~16세기/제13~17왕조) 시대에 힉소스인들이 청동기 병기와 전차를 끌고 침공해올 때까지 주석을 대규모로 구할 길이 없어 순동으로 제작한 도구들이 더 널리 쓰였으며, 메소포타미아에서도 주석이 생산되기 않기는 매한가지였기 때문에 주석을 구하기 위해 멀리 오늘날 영국에까지 가서 주석을 사올 정도였다.
|
동기 시대에 대해 설명해줘.
|
|
동창회 가운데 같은 해에 입학하거나 같은 해에 졸업한 사람들의 모임을 가리키는 말이다. 선배나 후배 개념이 아니기 때문에 동창회 가운데서도 가장 수평적이고 모임이 잦은 곳이 된다. 단톡방의 경우에도 동기방이 하나씩은 꼭 있을 정도.
|
동기회에 대해 설명해줘.
|
|
경부고속도로 22-1번. 경상북도 김천시 남면(김천) 남면 경부고속도로 192 (초곡리 895)에 위치한 경부고속도로의 나들목. 명칭은 소재지인 김천시에서 유래했다. 김천혁신도시(경북드림밸리) 지원을 위해 신설된 나들목이다.
|
동김천IC에 대해 설명해줘.
|
|
충청남도 천안시의 동남부에 위치한 일반구. 2008년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 중 당시 천안시 갑 선거구를 따라 신설되었다. 구청은 문화동에 있으나 재건축 중이며, 임시청사는 대흥동(본관. 대흥동우체국 건물)과 삼룡동(별관. 원삼거리 인근 삼거리공원)에 분산되어 있다.
|
동남구에 대해 설명해줘.
|
|
한 국가나 지역의 동부 지역 중 남쪽 부분. 즉 동남부 지역을 가리키는 말이다. 가끔씩 순서를 바꿔 남동권(南東圈)이라는 말도 쓴다.
|
동남권에 대해 설명해줘.
|
|
1989년 5월~1998년 6월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의 은행. 본점은 부산광역시 동구(부산) 동구 자성로 134(범일동 825-3)에 있었다. 지방은행이 아닌 전국은행으로는 국내 최초로 지방에 본점을 둔 금융 기관이었다. 비슷한 사례로는 대구광역시의 대동은행이 있었다.
|
동남은행에 대해 설명해줘.
|
|
동네 온리 페스타는 동네 페스타를 주최하는 동네에서 동네 페스타와 별도로 개최하는 연합 온리전 행사이다. 케이크스퀘어의 피오케 시스템을 차용해 온 것으로, 비슷하지만 다른 점도 많다.
|
동네 온리 페스타에 대해 설명해줘.
|
|
중앙고속도로(대구부산고속도로) 10번. 대구광역시 동구(대구) 동구 율하동에 위치한 중앙고속도로의 나들목. 본래 동대구 나들목이란 이름은 경부고속도로상의 나들목이 가지고 있었으나, 2005년 7월 15일 중앙고속도로 동대구 나들목 ~ 동대구JC 동대구 분기점 구간 개통에 따라 이 기존의 나들목이 동대구JC 동대구 분기점으로 전환되면서 현 위치로 이설되었으며, 이에 따라 중앙고속도로의 나들목으로 변경되었다. 톨게이트는 대구광역시 동구(대구) 동구 화랑로100길 61 (용계동 484-5)에 소재하고 있다.
|
동대구IC에 대해 설명해줘.
|
|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왕복 12~16차로의 거대한 도로. 기점은 동구(대구) 동구 신암4동 파티마삼거리, 종점은 수성구 두산동 두산오거리로 남북으로 길게 연결된 종단 도로다.
|
동대구로에 대해 설명해줘.
|
|
대구광역시 동구(대구) 동구 동대구로 550 (신암동)[* 신암동 294번지]에 위치한 경부선과 경부고속선 철도역
|
동대구역에 대해 설명해줘.
|
|
서울특별시 중구(서울) 중구 광희동1~2가, 을지로 5~7가, 신당동 일대에 위치한 약 586,000㎡(약 17만 평) 규모의 국내 최대 패션 관광특구. 주로 동대문시장, 동대문 패션타운 등으로 불린다.
|
동대문 패션타운 관광특구에 대해 설명해줘.
|
|
평양직할시 중부에 위치한 군. 동쪽은 사동구역, 서쪽은 대동강을 끼고 중구역과, 남쪽은 선교구역, 북쪽은 대동강구역과 접해 있다. 18개 동을 관할한다.
|
동대원구역에 대해 설명해줘.
|
|
수도권 전철 3호선 332번[* 개정 전 22번]. 서울특별시 중구(서울) 중구 동호로(서울) 동호로 지하 256 (장충동2가) 소재.
|
동대입구역에 대해 설명해줘.
|
|
경기도 최북단에 위치한 시(행정구역) 시. 원래는 양주군에 속한 지역이었으나 분리되어 현재에 이른다. 도시 이름의 유래는 주한미군 동두천기지인 캠프 케이시(Camp Casey)와 광암동(동두천) 턱거리 근처의 캠프 호비(Camp Hovey) 경내 일대를 흐르는 하천의 이름인 동두천.[* 연천에서 동두천으로 오다가 우측에 보이는 하천은 동두천이 아니고 신천이다. 동두천은 평화로로 올 경우 동두천역을 지나 미2사단 캠프 케이시 후문 버스정류장을 지나면 바로 있는, 왼쪽으로 골프장(미군 골프장) 같은 곳이 보이는 교량이 동두천을 지나는 것이고, 강변로로 올 경우 안흥교와 산단을 지나 마을을 통과하면 다소 긴 교량이 있는데 교량에 진입하자마자 동두천을 통과한 후 신천 하안을 교량으로 지나 상패교로 간다.] 동쪽으로 포천시, 서남쪽으로는 양주시, 북쪽은 연천군에 면하고 있다. 전방에 속하는 지역으로 군사 시설이 많다.
|
동두천시에 대해 설명해줘.
|
|
동해선 광역전철 K114번. 부산광역시 동래구 낙민로 27 (낙민동)에 있는 동해선 철도역.
|
동래역(동해선)에 대해 설명해줘.
|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부산) 온천동에 있는 온천. 동명의 유래는 말 그대로 온천이다. 인근의 하천 이름도 온천천. 부산 시민들은 온천동을 온천장이라 부른다.[* 금정구 장전동 남측지역 또한 온천1동과 인접하고 있어서 온천장으로 불리고 있다. 당장 근처 역 이름도 온천장역이다.] 일종의 고유명사로 정착된 셈.
|
동래온천에 대해 설명해줘.
|
|
친구와 비슷한 뜻이지만, 친구가 사적으로 친한 사람을 뜻한다면 동료는 같은 직장 혹은 한 팀에 소속되어 함께 일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일반적으로 친밀감보다는 같이 행동하는 인물이라는 뜻이 부각되므로, 동료라고 해도 서로 친밀하지 않을 수도 있고 친구라도 서로 다른 곳에서 일한다면 동료라고 하지는 않는다. 다만 소년만화에서는 친구나 동료나 비스무리하게 쓰이는 일이 많다.
|
동료에 대해 설명해줘.
|
|
호남고속도로 13번. 광주광역시 북구(광주광역시) 북구 동림동(광주) 동림동에 위치한 호남고속도로의 나들목. 명칭은 소재지인 동림동에서 유래했다.
|
동림IC에 대해 설명해줘.
|
|
동림군(東林郡)은 평안북도 남서부에 위치하며 동쪽으로 선천군 선천군, 서쪽으로 염주군과 철산군, 북쪽으로 천마군과 피현군에 접한 군이다. 남쪽으로는 황해에 접해있다.
|
동림군에 대해 설명해줘.
|
|
남해고속도로제1지선 4번.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구암동(창원) 구암동에 위치한 남해고속도로제1지선의 나들목. 명칭은 소재지의 과거 명칭인 마산시에서 유래했다.
|
동마산IC에 대해 설명해줘.
|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I132번. 인천광역시 연수구 경원대로 지하 80 (동춘동)[* 동춘동 927-1번지] 소재. 2017년 7월 현재 부역명은 인천광역시교육청평생학습관.
|
동막역에 대해 설명해줘.
|
|
강원도 홍천군 중남부에 위치한 면(행정구역) 면. 동쪽으로는 서석면, 서쪽으로는 홍천읍, 남쪽으로는 횡성군 공근면, 북쪽으로는 화촌면에 접해 있다.
|
동면(홍천)에 대해 설명해줘.
|
|
대구광역시의 버스 회사. 차고지는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금암리에 있고, 면허지는 대구광역시 북구(대구광역시) 북구 칠곡중앙대로 580(읍내동 514)으로 되어 있다.
|
동명교통에 대해 설명해줘.
|
|
1925~1980년까지 동명목재상사를 주축으로 한 목재/제조업 특화 기업집단이며, 라이벌 성창기업처럼 부산을 대표한 목재 재벌이었으나 신군부 세력에 의해 해체된 기업 1호였다.
|
동명그룹에 대해 설명해줘.
|
|
호남선의 상에 있었던 철도역. 전라남도 목포시 용당동 925-1에 위치해 있었다. 1953년 8월 1일에 배치간이역으로 개업하였다.
|
동목포역에 대해 설명해줘.
|
|
2013년, 허현회가 쓴 책. 지은이 허현회는 『병원에 가지 말아야 할 81가지 이유』, 『의사를 믿지 말아야 할 72가지 이유』 같은 류의 사이비 서적을 집필하여 논란이 많았다. 밑에서 서술한 헬스 카레 논란을 참고할 것. 이것도 역시 그와 같은 류의 사이비 서적이다.
|
동물병원이 알려주지 않는 30가지 비밀에 대해 설명해줘.
|
|
만화의 한 종류. 동물을 다루는 만화를 말하지만 보통은 웹툰을 가리킨다. 생활툰의 하위 장르이다.
|
동물툰에 대해 설명해줘.
|
|
로마 교황의 수위권을 인정하여 가톨릭 교회와 일치해 있는, 그러면서도 동방 예법을 따르는 기독교 교회들의 총칭.
|
동방 가톨릭 교회에 대해 설명해줘.
|
|
게임 제작의 하치미츠쿠마상(일명 벌꿀곰), 음악 담당의 히에로 그래프, 일러스트&무비 담당의 아마미즈 묘후~회 등의 동인서클이 모여 만든 동방프로젝트의 2차 창작 게임.
|
동방 사커에 대해 설명해줘.
|
|
정식명칭은 '동방 프로젝트 인기투표'.[* 10회까지는 '동방 시리즈 인기투표'였으나 11회부터 변경되었다.] 일본의 동방 wiki에서 비정기적으로 개최하는 동방프로젝트 캐릭터 인기투표. 대상은 동방프로젝트와 관련된 전 캐릭터, 전 음악. 비정기적이라지만 5회 투표부터 매년 1월에서 2월 사이에 열고 있어 사실상 정례화되었다.
|
동방 위키 인기투표에 대해 설명해줘.
|
|
전라남도 고흥군에 본사를 둔 시외버스 및 농어촌버스 업체. 본사는 고흥공용정류장 내부에 있다.
|
동방고속에 대해 설명해줘.
|
|
동방니코동제(東方ニコ童祭)는 니코니코 동화에서 매년 열리는 동방 프로젝트 관련 동영상 투고 행사이다. 주최단체명은 붕붕마루 방송국(文々。放送局). 2009년 9월 26일(토)에 처음 개최되었고, 이후 매년 1회씩 열리고 있다.
|
동방니코동제에 대해 설명해줘.
|
|
Age of Ethanols의 약자 AoE에서 알 수 있듯이 동방망주연은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시스템을 기반으로한 전략 시뮬레이션이다.
|
동방망주연에 대해 설명해줘.
|
|
대한민국에 존재하는 동방이라는 약어를 쓰는 것의 두 가지 빠를 말한다. 그 두가지는
|
동방빠에 대해 설명해줘.
|
|
동방삭은 중국의 고대, 전한 무제 시대의 인물이다. 자는 만천(曼倩). 전설로도 유명하다.
|
동방삭에 대해 설명해줘.
|
|
니코니코 동화에 투고된 카미지 유스케의 곡 '미츠바치' 의 동방풍 어레인지. 정확한 곡명은 '꿀벌의 대군이 탄막이 되어 엄습해온다(ミツバチの大群が弾幕になって襲ってきた)'. #
|
동방양봉장에 대해 설명해줘.
|
|
경상북도 경주시 산업로(울산) 산업로 3490-5 (동방동)에 있는 동해선 철도역.
|
동방신호장에 대해 설명해줘.
|
|
2012년 10월 26일부터 2017년 7월 26일까지 콤프에이스에서 연재를 개시한 《동방 프로젝트》의 만화. 원작은 ZUN, 그림은 하루카와 모에.
|
동방영나암 ~ Forbidden Scrollery.에 대해 설명해줘.
|
|
동인 게임 제작자 mkm이 만든 공개 소프트웨어. 동방프로젝트의 탄막을 제작 & 플레이할 수 있으며, 탄막뿐 아니라 배경, 대사, 컷인, 음악 등등 자기가 원하는 대부분의 요소를 구현할 수 있다.
|
동방탄막풍에 대해 설명해줘.
|
|
동방 프로젝트의 동인(문화) 동인 이벤트 중 하나. 칸사이 지방에서 열리며, 칸토에서 열리는 하쿠레이 신사 예대제에 버금가는 동인지 즉매 이벤트다. 동방의 온리전 온리 이벤트로서는 예대제에 못 미쳐도 자못 큰 규모. 동쪽의 예대제, 서쪽의 홍루몽[* 추가로 큐슈에는 다이큐슈동방제가 있다.]이라 불리기도 한다.
|
동방홍루몽에 대해 설명해줘.
|
|
1967년 7월 8일, 중앙정보부 김형욱 부장 시절 공안사건이다. 동백림(東伯林)은 동베를린의 한자 음차이기 때문에 동베를린 사건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동백림 사건에 대해 설명해줘.
|
|
용인 에버라인 용인 경전철 Y114번.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동백죽전대로 314 (중동(용인) 중동)[* 중동 1087번지] 소재. 부역명은 용인세브란스병원. #
|
동백역(용인)에 대해 설명해줘.
|
|
서천화력선의 철도역.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마량리 275-5번지에 위치해 있다. 서천화력발전소내부에 위치해 있다.
|
동백정역에 대해 설명해줘.
|
|
오월춘추의 합려내전(闔閭內傳)에 나오는 일화에서 유래했다. 오자서가 합려를 오나라 왕으로 만들어 정권을 차지하는 데 성공하고 각지의 인재들을 끌어 모았는데, 그 가운데 내정의 명수 백비가 끼어있었다. 사람들은 백비가 물욕이 심하고 강직하지 못하다고 평했으나, 오자서는 백비의 가족이 초나라 왕에게 몰살당했음을 들면서 "같은(同) 병(病)을 앓는 사람들은 서로(相) 동정하는(憐) 법이다. 백비는 나와 같은 병을 앓고 있으니 나를 잘 이해할 것"이라며 대수롭지 않게 여겼다고 한다. 사실 그정도가 아니라, 오자서도 초평왕의 방관 속에서 비무기의 농간 때문에 집안이 멸문당해서 오나라로 도망왔고, 백비도 비무극의 차도살인으로 집안이 초토화 되어서 오나라로 도망온 것이었다.
|
동병상련에 대해 설명해줘.
|
|
육상자위대 방면대 가운데 간토, 즉 일본의 수도 도쿄를 비롯한 수도권(일본) 수도권 지역을 담당하는 곳이다. 대한민국 육군의 수도방위사령부 및 수도군단, 중국 인민해방군의 베이징군구와 역할이 흡사하다. 2018년 7월 23일 새로운 부대마크로 변경했다.
|
동부방면대에 대해 설명해줘.
|
|
동해선 광역전철 K122번. 동해선의 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산관광5로 14 (당사리) 소재.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한다.
|
오시리아역에 대해 설명해줘.
|
|
DB그룹의 금융 계열사로 대기업 소속의 저축은행이다. 한때 저축은행들이 몸집 불리기에 이용한 프로젝트 파이낸싱 PF도 잘 하지 않았으나 현재는 많이 하고 있고 여신은 대부분 개인 대출이나 기업 대출이다. 체크카드는 삼성카드 제휴로 발급하다가 2012년 3월부터는 롯데카드 제휴로 발급하고 있다. 2017년 11월 1일 모기업인 동부그룹이 DB그룹으로 사명을 변경하면서 동부저축은행에서 현재 사명으로 변경하였다.
|
DB저축은행에 대해 설명해줘.
|
|
DB그룹 계열 증권사. 본사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8길 32 (여의도동, DB금융투자빌딩)에 있다.
|
DB금융투자에 대해 설명해줘.
|
|
DB그룹 계열 손해보험사. 본사 주소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432 (대치동, DB금융센터)이다. 자동차보험, 운전자보험, 건강보험을 취급하며 '프로미' 브랜드로 영업하고 있다.
|
DB손해보험에 대해 설명해줘.
|
|
도호쿠 지방에 주둔하는 부대이다. 최근 도호쿠 대지진으로 헬게이트가 열린 곳이기도 하다. 1960년 1월 14일에 창설됐다. 2011년엔 도호쿠 대지진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 동북방면총감을 지휘관으로 하는 육해공 10만명 규모의 통합임무부대를 설치하기도 했다.
|
동북방면대에 대해 설명해줘.
|
|
한국의 모형, 모델건, 에어소프트건 제조업체. 한때 인터넷에 도산위기다, 담당자가 퇴직했다 같은 흉흉한 소식들이 많이 돌았다. 하지만 안양 인덕원으로 공장이 이전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2018년 하반기에 생산이 재개되었다. 하지만 시중에서 하비동산 제품을 보기는 힘들다.
|
동산모형에 대해 설명해줘.
|
|
부산광역시 남구(부산) 남구 감만동 감만사거리에서 출발하여 사상구 감전동 사상IC에서 끝나는 부산광역시도.
|
동서고가로에 대해 설명해줘.
|
|
경기도 하남시 천현동 하산곡동에 있는 중부고속도로 본선상에 있는 요금소 폐쇄식 요금소. 서울특별시의 동쪽에 있다는 데서 유래했다.
|
동서울TG에 대해 설명해줘.
|
|
서해안고속도로 15번. 서천공주고속도로 2번.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에 있는 서해안고속도로, 서천공주고속도로의 분기점. 명칭은 소재지인 서천군에서 유래했다.
|
동서천JC에 대해 설명해줘.
|
|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에 있는 서천공주고속도로 본선 상의 요금소. 명칭은 소재지인 서천군에서 유래했다.
|
동서천TG에 대해 설명해줘.
|
|
제1차 여몽전쟁 당시 몽골의 병력과 고려의 중앙군이 야전에서 맞붙었던 전투. 훗날 전세계를 휩쓴 몽골군이 공성전에서 패배하는 경우는 종종 있었어도 야전에서 패배하는 경우는 꽤 드물었기 때문에 역사 상에서도 대단한 전투임은 분명하다.[* 만약 바로 직후의 전투인 안북성 전투에서 승리, 아니 지연전만이라도 제대로 했더라면 이 전투의 평가는 매우 좋았을 것이다. 분명 동선역 싸움에서 고려군이 승기를 잡음으로써 몽골군을 수도인 개경 근처에서 몰아낸다는 고려의 핵심적인 목표를 이뤘고, 고려가 잠시나마 전황을 유리하게 이끌게 되었지만, 안북성에서 대집성의 뻘짓으로 전멸에 가까운 처참한 패배를 당하는 바람에 전황이 몽골 쪽으로 제대로 기울고 말았다. 그 결과 주춤해 있었던 몽골군은 다시 개경으로 돌격할 수 있었고, 결국 개경이 포위되자 고려는 몽골과 강화를 맺음으로써 황급히 전쟁을 끝냈고, 이 전투의 승리는 높이 평가되지 못하게 되었다.] 동선령(洞仙嶺) 전투[* 참고로 병자호란때도 동선령 전투가 있었다. 그나마 김자점이 밥값했던 전투 중에 한 개가 바로 이것, 이때도 역시 승리해서 지연전을 했지만, 토산전투 이후 짱 박혀있는 김자점 때문에 한양이 곧바로 털리게 된다.] 라고 불리기도 한다.
|
동선역 전투에 대해 설명해줘.
|
|
동성결혼(同性結婚)은 성별이 같은 두 사람간의 제도적 결혼을 말한다. 정의 자체로는 혼인 당사자의 성정체성, 혼인의 강제성 등은 불문이므로 본 문서에서는 혼인 당사자가 동성애자이고, 당사자의 요구, 상호 간의 합의를 거친 당사자의 자유의지에 의한 것만을 다루기로 한다.
|
동성결혼에 대해 설명해줘.
|
|
성(姓)과 본(本)이 같음. 또는 그런 사이. '본'은 본적(本籍)[* 가족관계의 등록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등록기준지로 그 명칭이 바뀌었다.]이 아니라 각 성씨의 본관을 말한다. 참고로 성씨만 같은 사람은 동성이라고 한다.
|
동성동본에 대해 설명해줘.
|
|
후한 말과 삼국시대(중국) 삼국시대의 인물이자 위(삼국시대) 위나라의 모사이며, 삼국지의 등장인물이다. 제음군 정도현 사람으로 자는 공인(公仁).
|
동소에 대해 설명해줘.
|
|
경전선의 철도역. 광주광역시 광산구 상무대로419번길 8-37 (우산동 178-26) 소재.
|
동송정신호장에 대해 설명해줘.
|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I121번. 인천광역시 부평구 경인로 지하 877 (부평동(인천) 부평동)[* 부평동(인천) 부평동 686번지] 소재.
|
동수역에 대해 설명해줘.
|
|
순천완주고속도로 1번.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에 있는 순천완주고속도로의 나들목. 명칭은 소재지인 순천시에서 유래했다.
|
동순천IC에 대해 설명해줘.
|
|
전라선의 폐지된 철도역. 전라남도 순천시 조곡동 354-20번지에 위치했다.
|
동순천역에 대해 설명해줘.
|
|
후한 말 손책, 손권 휘하의 인물이다. 후한서와 정사에 따르면 키는 8척(尺)으로 무력이 남들보다 뛰어나고 지조와 절개가 강개하고, 굳세고 강건하며 영열했다고 한다.
|
동습에 대해 설명해줘.
|
|
특정한 테두리 안에서[* 즉, 가입 자격이 제한된다.], 공동의 관심사나 목적을 가진 사람들이, 다소 느슨한 결속력으로 모인 집단을 뜻한다. 최근엔 동아리 활동이 학생들의 시민성을 기르는데 적합하다는 인식이 교육행정청과 학교, 학부모 사이에 확산되면서 해외 선진국과 같이 국내도 점점 저변이 넓어지는 추세이다.
|
동아리에 대해 설명해줘.
|
|
말 그대로 대학에서 동아리 활동을 위한 방이다. 대학에 따라 일정한 등급 이상의 중앙동아리는 학교에서 정식으로 동아리가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준다. 간단히 '동방'이라 부르며 동아리 활동의 거점이 된다.
|
동아리방에 대해 설명해줘.
|
|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 중인 백화점 브랜드. 시초는 대구 소재 건설사인 화성파크드림 화성산업의 계열사로 1972년 중구(대구) 중구 동문동 동성로(대구) 동성로 북편에서 개점한 대구 향토 백화점이였지만, 2010년 화성산업이 이랜드그룹에 동아백화점을 2,680억원에 매각해 이후부턴 이랜드그룹 계열사이다.[* 덕분에 대구 지역 향토 백화점은 대구백화점만 남게 되었다.][* 참고로 이랜드그룹은 비슷한 시기에 같은 지역의 테마파크인 우방타워랜드(인수 직전에는 C&우방랜드)를 인수하여 이월드로 명칭을 바꿔 운영하고 있다.] 이랜드그룹에 인수된 이후의 동아백화점은 광주신세계 같은 NC백화점의 지역 별도법인 정도의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될 것이다.
|
동아백화점에 대해 설명해줘.
|
|
안중근 의사가 사형을 기다리며 뤼순감옥에서 저술한 미완의 저서. 서론과 목차만 쓴 상태에서, 사형이 집행되었기 때문에 완성되지 못했다.
|
동양평화론에 대해 설명해줘.
|
|
예(濊) 또는 동예(東濊)는 기원전 3세기부터 3세기까지 오늘날 원산[* 현재 원산은 북한의 행정 구역 개편으로 인해 강원도에 속해있다.] 부근의 함경남도 남부에서 강원도 강릉시 지역까지 동해안 영동 지역에 걸친 영역에 퍼져 있던 부족사회 집단이다.
|
동예에 대해 설명해줘.
|
|
의정부 경전철의 경전철역. 역번은 U118. 경기도 의정부시 장곡로 471 (舊 신곡동 547-15번지) 소재.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
|
동오역에 대해 설명해줘.
|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222번.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대로 지하 554 (가야동) 소재.
|
동의대역에 대해 설명해줘.
|
|
고대 동아시아 지역의 국가들이 각자 자신들의 동쪽에 위치한 이민족・야인(野人) 등을 멸시하여 오랑캐라고 부르던 말이다. 즉, 동이라는 말은 같은 국가나 민족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시대와 장소에 따라 다르게 쓰였으며, 지칭 대상의 범위도 유동적이었다.
|
동이에 대해 설명해줘.
|
|
1955년 소설가 김동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재정된 상. 원래는 사상계에서 주관했으며 현재는 조선일보에서 주관한다. 또한, 1968년과 1978년 약 10년 동안은 수상이 중단되었다. 그 이유는 박정희 정권의 비판으로 인한 경영난이 원인이었으며, 결국 1970년에 사상계는 폐간되었다. 이후 1979년부터 동서문화사 주관으로 재개되어 1985년까지 동서문화사가 시상하였다. # 1987년부터는 조선일보가 주관하고 있다.
|
동인문학상에 대해 설명해줘.
|
|
인천광역시 남동구 만수동에 소재하는 인문계자율형 공립고등학교. 1961년 4월 28일 최초로 개교했다. 과거에는 인천고등학교, 제물포고등학교와 함께 인천의 3대 명문고등학교였으나 과거에 비해 위상이 많이 추락하였다. 2012년에 자율형 공립고등학교로 지정됨에 따라 그래도 이전보다는 높은 수준으로 회복중이다.
|
동인천고등학교에 대해 설명해줘.
|
|
수도권 전철 1호선 160번. 인천광역시 중구(인천) 중구 참외전로 121 (인현동)[* 인현동 1-613번지] 소재.
|
동인천역에 대해 설명해줘.
|
|
동일익스프레스는 2009년 경상남도 함안군의 농어촌버스 운행을 전담하기 위해 경전여객에서 신설한 버스 회사 자회사이다. 함안군의 유일한 농어촌버스 업체이다.
|
동일익스프레스에 대해 설명해줘.
|
|
유머 1번지의 청춘 코미디 코너. 방영시기는 1987년 7월[* 개그맨 이상운이 밝히길 87년 6월 30일에 학사장교로 제대한 후, 3일만에 PD한테 섭외가 들어와 다음날 촬영을 시작했다고 한다.] ~ 1991년 5월 18일.
|
동작그만에 대해 설명해줘.
|
|
키보드의 키 옆 틈새에 동전을 꽂아서 특정 키가 계속 눌러지게 만드는 행위. 줄여서 '동꼽'이라고도 한다. 본래는 '동전꽂기'가 올바른 표기이지만 '동전꼽기'라고 많이 알려져서 문서명을 '동전꼽기'로 한다.
|
동전꼽기에 대해 설명해줘.
|
|
영동선의 철도역. 강원도 태백시 태백로(태백) 태백로 2382 (동점동)에 위치해 있다. 강릉역을 기점으로 강원도의 마지막 역이자 강원도 최남단에 위치한 역. 다음인 석포역부터는 경상북도에 속하게 된다.
|
동점역에 대해 설명해줘.
|
|
동아프리카와 중앙아프리카에 위치한 나라들이 벌이는 축구 국제 대회로 매해 열리는 대회이다. 일단 역사적으로 보면 아프리카에서 가장 오래된 축구 대회이다. 더불어 남아프리카 일부 나라들도 참가한다. 더불어 국가대표팀이 아닌 각국 리그 선발팀이나 실업 선발팀이 나오기도 한다.
|
동·중앙아프리카 선수권 대회에 대해 설명해줘.
|
|
전라북도 정읍시 산외면 종산리 묵방산 여우치 마을의 빈시암에서 발원하여 전라북도 남부를 북서쪽으로 흐르는 강이다. 길이 44.7km, 유역면적 1,034㎢이다. 동진강이라는 이름은 강 하구에 위치한 부안군 동진면의 동진(동쪽 나루터)이라는 이름에서 유래하였다. 전북에서는 4번째, 한국 내에서는 10번째의 규모를 가진 강이다.
|
동진강에 대해 설명해줘.
|
|
동짜몽은 <도라에몽>의 국내 해적판이며, 작중 도라에몽(도라에몽) 도라에몽을 지칭하는 이름이기도 하다. 이름은 '동글동글짜리몽땅'을 줄인 말이라고 한다. 70년대 후반부터 이 해적판이 퍼져서 기성 세대 중에서는 아직도 이 이름으로 기억하는 이들도 있다.
|
동짜몽에 대해 설명해줘.
|
|
평안북도 중동부에 있는 군. 동쪽은 운산군과 자강도 송원군, 서쪽은 창성군과 대관군, 남쪽은 태천군, 북쪽은 벽동군 및 자강도 우시군과 접해 있다.
|
동창군에 대해 설명해줘.
|
|
2013년 11월 6일에 개봉한 영화. <내 아내의 모든것>, <의형제(영화) 의형제>에서 조감독을 맡은 박홍수의 영화.
|
동창생에 대해 설명해줘.
|
|
남해고속도로 34번.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동읍 송정리에 위치한 남해고속도로의 나들목. 명칭은 소재지인 창원시(동읍)에서 유래했다.
|
동창원IC에 대해 설명해줘.
|
|
대구광역시 동구(대구) 동구 동촌역사로3길 35에 위치한 구. 대구선의 폐역이다. 대구역 기점 6.4km에 있었다. 구. 대구선 역사 중 가장 보존상태가 좋고, 1930년대 건축구조를 그대로 갖고 있기에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국가등록문화재 제303호로 지정됐다.
|
동촌역(대구선)에 대해 설명해줘.
|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I131번. 인천광역시 연수구 경원대로 지하 180 (동춘동)[* 동춘동 926-11번지]에 위치해 있다. 이전 부역명은 나사렛국제병원이었다. 2017년 7월 현재 부역명은 스퀘어원.(안내방송은 스퀘어원, 남동국가산업단지, 연수구청이다.)
|
동춘역에 대해 설명해줘.
|
|
우주에서 온 모자코의 등장인물. 일본명은 돈모(ドンモ). 성우는 나카무라 다이키, 더빙판은 최재익(성우) 최재익/김기흥.[* 최재익은 투니버스 방영판, 김기흥는 애니맥스 방영판의 성우를 맡았다.]
|
동크에 대해 설명해줘.
|
Subsets and Splits
No community queries yet
The top public SQL queries from the community will appear here once avail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