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tput
stringlengths 41
2.74k
| input
stringclasses 1
value | instruction
stringlengths 11
154
|
---|---|---|
M-TEC 엔진은 대우자동차(현 한국GM)에서 제조하는 경차용 직렬 3기통 엔진이다. 국내에서는 경차용은 M-TEC, 소형차용은 대우 S-TEC 엔진 S-TEC으로 부르지만, 해외(주로 위키피디아)에서는 이 두 가지를 합쳐 모두 S-TEC으로 부르기도 하니 해외에서 이 엔진 정보를 검색할 경우 주의할 것. 여기서는 국내에 알려진 기준에 맞춰 경차용 엔진인 M-TEC 계열 엔진만 한정하여 설명한다.[* M-TEC과 S-TEC은 블럭에서 큰 차이가 없다. 즉, 블럭 재질, 보어 및 스트로크를 비교해보면 같은 계열의 엔진임을 알 수 있다.] | 대우 M-TEC 엔진에 대해 설명해줘. |
|
대우자동차가 1997년에 내놓았어야 할 플래그쉽 대형 세단으로, 실제 출시가 성사되었을 시 국내최초 8기통 엔진 장착 타이틀과 국내 최대규모의 플래그십 세단으로 기록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이 프로젝트는 대우자동차 연구팀의 노력과는 달리, 경영진의 쌍용자동차 인수라는 엉뚱한 결과로 인해 결국 개발되지 못하고 베이퍼웨어 영원히 사진으로만 그러나 이 사진이 남게 되었다. 단 개발 폐기는 아니었으며, 차후에 임원과 개발진들이 개발을 재개했지만 1999년 대우그룹 대우 사태로 폐기된다. | 대우 쉬라츠에 대해 설명해줘. |
|
대우중공업과 대우자동차, 자일대우상용차에서 1996년 5월부터 2004년 8월까지 생산했던 중형버스. 자일대우버스 BS BS090이 나오기 전까지 활약했던 중형버스 모델이자, 대우버스 최초의 9m짜리 중형버스다. 이름은 자일대우 BS BS090과 같은 로얄미디.(Royal Midi) 물론 이 BM090이 로얄미디론 원조다. | 대우버스 BM090에 대해 설명해줘. |
|
울산의 시내버스 회사. 차량번호는 울산71자 22**~23**번대[* 현재시점에서는 23**번대 면허는 701번으로 운행하고 있는 2382호만 유일하게 생존하고 있다.], 자회사는 35** 면허를 사용한다. 울산 시내버스(지선, 마을 제외) 회사 중 유이하게 좌석버스가 없는 회사이다.[* 2003년 개편 전에 601번, 602번 좌석이 있었으나 2003년 초반에 폐지되었다.][* 2019년 7월 1일에 단독배차제로 바뀌면서 유진버스역시 좌석버스가 없게 되었다.] | 대우여객에 대해 설명해줘. |
|
포스코그룹 계열 무역종합상사. 명목상 본사 주소는 인천광역시 연수구 컨벤시아대로 165 포스코타워-송도에 위치해 있다. 상법 상 본점은 서울특별시 중구(서울) 중구 통일로 10(연세재단세브란스빌딩)으로 하고 있다. 현재 포스코타워-송도는 인천지점의 형태이나 전임직원 및 부서가 모두 이 타워에서 근무하고 있기 때문에 본점이나 다름없다. 서울 지역 업체와의 미팅이나 이사회/감사위원회 개최 목적으로 현재 연세재단세브란스빌딩 1개층의 일부를 임대하여 서울사무소로 사용하고 있다. 인천지점 관련기사 아울러, 포스코P&S가 사용했던 역삼동 포스코타워-역삼에 스마트워크센터를 마련했고 이사회는 최근에 이 건물에서 많이 개최되고 있다. | 포스코인터내셔널에 대해 설명해줘. |
|
베이징과 항저우를 잇는 운하이다. 단기간 내에 건설된 운하가 아닌 수백년에 걸쳐 만들어낸 역사적 과업이다. | 대운하에 대해 설명해줘. |
|
기본적으로 외부의 "특정한" 요소에 대응해서 방어하는 것을 말한다. 모든 것을 다 막는다는 의미인 무적방어나 일반적인 공격을 대부분 막는 통상방어와는 달리 어떤 목표를 막기 위해서 어떤 방어를 사용하는 가라고 보면 쉽다. 예를 들면 성형작약탄에 대응하기 위해 반응장갑을 설치하면 이걸 대응방어라고 볼 수 있다. | 대응방어에 대해 설명해줘. |
|
북부내륙선의 철도역. 량강도 김형직군 대응리 소재. 한자를 풀이하면 큰 매라는 뜻인데 정말 큰 매가 있어서 지어진 이름은 아니고 매를 닮은 봉우리가 있어서 지어진 응평동과 대라신동을 합쳐서 1942년 만들었다. 대라신동은 라신이라는 마을이 두군데에 있었는데 그중 큰쪽이라는 뜻으로 지어진 것. | 대응역에 대해 설명해줘. |
|
'대인배'는 한자어 소인배(小人輩)의 접두어인 小를 大로 대치시킨 신조어이며, 엄밀히는 없는 말을 틀리게 사용하는 말이다. 다만 인터넷 용어로만 한정한다면, 소인배의 반의어격에 두고 쓰므로 그릇이 넓고 마음이 관대한 사람들에게 쓰인다. | 대인배에 대해 설명해줘. |
|
산스크리트어로 두루 빛을 비추는 존재라는 의미다. 불교의 입장에서 보면 시방삼세의 모든 부처님들, 모든 보살들, 모든 중생들은 비로자나불의 화신이다.[* 일체 모든 중생들이 비로자나불의 화신이므로 모두 하나다. 나와 남이 둘이 아닌 자타불이(自他不二)인것이다.]오직 불변하는 하나의 중심이 있는데 중앙 비로자나불 이라고 부른다. 우주의 중심에 있는 불국토인 연화장세계(蓮華藏世界)에 존재하면서 우주만물을 창조하고 총괄할 뿐만 아니라, 불교에서의 최고신이라고 할 수 있는 존재이자, 우주일체 만물을 고루 평등하게 밝히고 있는 법성체(法性體)로, 안으로는 진여법계를 비추고, 밖으로는 모든 중생에게 법성을 비추어 우주를 밝히며, 항상 변하지 않고, 우주의 대생명체 바로 그 당체를 말한다고 한다. | 비로자나불에 대해 설명해줘. |
|
남해고속도로 39번. 중앙고속도로 2번. 부산광역시 강서구(부산) 강서구 대저1동에 있는 남해고속도로와 중앙고속도로의 분기점이자 나들목. 명칭은 소재지인 대저동에서 유래했다. 이 분기점에서 좀 떨어진 곳에 부산 도시철도 3호선 체육공원역이 있다. 클로버형의 분기점으로 기가 막힌 곡률 반경과 더불어 입구와 출구가 짧은 구간내에 연속되어 있으니 특히 감속이 필요하다. | 대저JC에 대해 설명해줘. |
|
부산광역시 강서구(부산) 강서구 대저2동과 사상구 삼락동(부산) 삼락동을 이을 예정인 낙동강의 교량. 2018년 착공하여 2025년까지 개통될 계획이 세워져 있으며 식만-초읍 도로의 일부로 건설될 계획이다. | 대저대교에 대해 설명해줘. |
|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의 차량사업소. 부산교통공사 소속이다. 부산광역시 강서구(부산) 강서구 낙동북로 236 (대저1동) 에 위치해있다. | 대저차량사업소에 대해 설명해줘. |
|
V-리그의 여자 프로배구팀. 연고지는 대전광역시. 홈구장은 중구 부사동에 위치한 한밭종합운동장 안에 있는 충무체육관. | 대전 KGC인삼공사에 대해 설명해줘. |
|
대전광역시의 도시철도. 대전 도시철도 1호선이 운행중이며, 대전 도시철도 2호선은 계획중이다. 참고로 수도권 전철 수도권이나 동남권 광역전철 동남권처럼 모든 노선을 아우르는 체계의 명칭이 대전권에서는 불분명하기 때문에 충청권 광역철도와 같이 엄밀한 의미에서는 대전 도시철도에 속하지 않지만 대전 도시철도와 연락운송이 가능한 광역전철노선도 편의상 여기에 서술한다. | 대전 도시철도에 대해 설명해줘. |
|
두 명, 혹은 그 이상의 플레이어가 서로 '대결'을 하는 액션 게임 장르. 다시 말해서 격투기를 게임으로 옮긴 장르다. 영어로는 Fighting Game. | 대전 액션 게임에 대해 설명해줘. |
|
대전광역시 동구(대전) 동구 동서대로(대전) 동서대로1695번길 30 (용전동)에 있는 종합 버스 터미널이다. | 대전복합터미널에 대해 설명해줘. |
|
대전 도시철도 1호선의 도시철도역. 대전광역시 동구(대전) 동구 중앙로(대전) 중앙로 지하 218 (중동)[* 중동 317번지]에 위치해 있다. | 대전역(도시철도)에 대해 설명해줘. |
|
경부선과 호남선의 철도역. 서울역 기점 161.6㎞[* 용산역 기준으로는 158.4km]. 대전광역시 대덕구 아리랑로 166 (읍내동)[* 읍내동 426번지]에 위치해 있다. 현업에선 대전조라고 줄여 부른다. | 대전조차장역에 대해 설명해줘. |
|
Sturmpistole, 슈투름피스톨레(돌격권총). 무기 역사상 유일한 대전차 권총의 이름이다. | 대전차 권총에 대해 설명해줘. |
|
대한민국 육군 기준 전방[* 예외적으로 제55보병사단 관할인 구리시 구리와 남양주시 남양주, 제56보병사단 관할인 고양시 서울시계 접경지역(나머지 고양시 지역은 제1군단 관할)에도 있는데, 이는 유사시 한강 방어선 전투가 재현될 것에 대비한 듯 하다.], 특히 중요 군사 요충지 도로마다 설치된 벽 형태의 대전차병 대전차 장애물.[* 또한 대전차 장애물로 불리기도 하는데, 사실 어감상으로도 '방호벽'이라 하면 전차의 공격에 대비해 두껍게 만든 벽을 연상시키고, '장애물'은 무언가를 저지한다는 의미가 강하기 때문.] 보통 전차가 통과할 수 없을 정도로 높고 가파른 벽을 쌓아서 구축하며, 대전차 장애물에는 이것 말고도 적의 기동을 저지하고자 대전차호[* 전차용 해자.]나 도로대화구[* 폭약이나 포탄 등으로 도로에 큰 구덩이를 내 차량 및 전차의 기동을 방해하는 장애물] 등도 있다. 다만 도로 근처에 노출되어 있는 고가 낙석형 장애물과는 달리 전시에 설치되거나 혹은 배수로처럼 생겨먹었기 때문에 자세히 살펴보지 않는 한은 민간인이 알아채기 힘들다. | 대전차방호벽에 대해 설명해줘. |
|
Anti-Tank Rifle. 전차나 장갑차의 장갑을 뚫기 위해 만들어진 총기. | 대전차 소총에 대해 설명해줘. |
|
대전차전을 상정하고 제작된 자주포의 일종. Tank destroyer의 하위 분류 중 하나로 분류된다. | 대전차 자주포에 대해 설명해줘. |
|
보병의 일종. 특수병과. 전차를 보병용 대전차화기로 잡는 보병을 말한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 독일에서는 별도의 병과로 독립시켜 운용했다. | 대전차병에 대해 설명해줘. |
|
대전광역시에 있는 종합전시장. 주소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엑스포로(대전) 엑스포로 107 (도룡동)이다. 운영은 대전마케팅공사가 하고있다. | 대전컨벤션센터에 대해 설명해줘. |
|
사단법인 한국영화인총연합회가 주최하고, 문화체육관광부와 영화진흥위원회가 후원하는 영화 시상식[* 영화제가 아닌 영화 시상식이 맞지만 법인 측에서 굳이 '대종상 영화제'라는 명칭을 고집한다. 물론 시상식의 전야제 개념으로 후보작과 역대 수상작들을 상영하는 영화제를 열기도 하지만, 인지도가 현저히 낮고 꾸준히 열리지도 않는다. 그에 비해 청룡영화상은 정식 명칭이 청룡영화'상'이지만 사람들은 대개 청룡'영화제'라고 주로 부른다.]의 명칭. 3대 영화제 중 가장 역사가 깊으나 애니깽 사태, 2015 대종상 시상식 논란 배우에 대한 협박, 지나치게 보수적인 문화 등의 잦은 논란을 일으켜 불참과 대리수상이 이어지며 그 주목도가 내려가고 있는 상이기도 하다. | 대종상에 대해 설명해줘. |
|
대중문화(大衆文化)는 대중이 중심이 되는 문화다. 예전에는 매스 컬처(mass culture)라는 표현을 많이 썼는데[* 사회·문화에서 말하는 '협의의 대중문화(대중매체 - 예컨대 신문, 잡지, 방송 - 에 의해 제공되고 형성된 문화)'에 해당한다.], 요즘은 대중매체가 사회 다수의 취향을 반영한다는 민주적 성격을 강조해 포퓰러 컬처(popular culture; pop culture)[* 사회문화에서 말하는 '광의의 대중문화(사회의 다수 사람들이 소비하거나 향유하는 문화)'에 해당한다. 이에 따르면 사람들이 '대중적으로' 그리고 일상적으로 향유하는 문화라는 측면에서 기층문화(한 민족이나 사회의 기층을 이루는 사람들의 문화. 예컨대 세시풍속이나 민요, 탈춤, 판소리, 민속 공예 등)도 여기에 해당할 수 있다. 반면 대중문화 중 특정 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문화(이른바 '서브컬처')는 협의의 대중문화에는 해당하나 광의의 대중문화에는 해당하지 않는다.]라 부른다. | 대중문화에 대해 설명해줘. |
|
심리학 지식이라는 이름으로 대중서 및 대중매체 등을 통해 널리 퍼졌지만 전혀 근거가 없는 내용들. 즉, 대중적 오해, 대중매체의 곡해, 흥미 위주의 곡해로 인해 만들어진 유사과학이다. 심리학 비슷하게 생겼지만 심리학이 아니다. | 대중심리학에 대해 설명해줘. |
|
토지 중에서 가옥, 건축물 등을 지을 용도로 사용될 토지. 건축법 용어이다. | 대지에 대해 설명해줘. |
|
서해안고속도로 19번. 충청남도 보령시 황골길 25 (남곡동 963-14)에 위치한 서해안고속도로의 나들목. 명칭은 시군통합 이전의 보령시 명칭이었던 대천에서 유래했다. 이 나들목을 이용해 대천(보령시내)으로 진입이 가능하다. 2021년 77번 국도 대천항~원산도간의 보령 해저터널이 개통되면 홍성IC처럼 안면도 방면의 주요 진출입로로도 기능할 예정이다.[* 물론 주 이용객들은 부울경 및 전라도 호남지방에서 안면도로 가는 수요일 것이다.] | 대천IC에 대해 설명해줘. |
|
장항선의 철도역. 충청남도 보령시 대해로 116 (내항동)[* 내항동 336-2번지]에 있다.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가 있는 역. | 대천역에 대해 설명해줘. |
|
대한민국의 섬 중 서해 5도의 서단의 섬들. 맨 위 오각형 섬이 백령도, 가운데 섬이 대청도, 맨 밑 길쭉한 섬이 소청도다. | 백령군도에 대해 설명해줘. |
|
수도권 전철 3호선 347번[* 개정 전 37번].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로 지하 2 (일원동) 소재. | 대청역에 대해 설명해줘. |
|
"인류의 지난 역사가 기존 사실과는 다르게 전개되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라는 가정에서 출발하는 일련의 픽션 장르. 우리가 알던 실제의 역사와 다르게 진행되는 역사를 보면서, 우리 세계와는 전혀 다른 사회상과 가치관을 즐기려는 목적으로 읽는 사람들이 많다. | 대체역사물에 대해 설명해줘. |
|
2006년 5월 4일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대추리에서 발생한 행정대집행 당시에 일어난 충돌을 가리킨다. 넓게는 해당 사건의 전후에 일어난 일련의 일들을 통틀어 가리킨다. | 대추리 사태에 대해 설명해줘. |
|
종려과에 속한 나무 및 그 열매. 세상에서 가장 달콤한 과일로 알려져 있으며, 최소 5천만 년 전부터 자생해온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중동에서 기르기 시작한 것은 기원전 4천 년 무렵이라고 추정한다. 사막에서만 자라는 나무로 원산지는 이라크, 이집트, 혹은 북아프리카 일대로 추정. | 대추야자에 대해 설명해줘. |
|
수도권 전철 3호선 345번[* 개정 전 35번]. 서울특별시 강남구 남부순환로 지하 2952 (대치동) 소재. | 대치역에 대해 설명해줘. |
|
유권자가 후보자를 선출할 대리인을 선출하는 방식인 간접 선거와 대비되어 유권자가 직접 자신의 의사를 대리할 후보자를 선출하는 방식의 선거 제도를 말한다. 직선제, 직선이라고도 한다. | 직접 선거에 대해 설명해줘. |
|
대나무 통 속에 쌀과 다른 곡물 등을 넣어서 한지나 옷 천 같은 덮개로 덮은 후 쪄낸 밥. 대나무의 수가 전국 최대 규모인 담양군의 향토음식이다. 최근에는 쌀 대신에 몸에 좋은 곡물이 많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성인병과 같은 각종 질병을 예방하는 목적의 건강식으로 많이들 찾는 편이며 전라남도에서는 죽통밥 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전라북도에서는 대나무통밥 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대통밥에 대해 설명해줘. |
|
포켓몬스터와 관련된 일본의 TV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인 '포켓몬 선데이(ポケモン☆サンデー)'[* 2010년 9월 종영되었고, 한 달 뒤인 10월부터 진행 방식만 바뀐 '포켓몬 스매시!(ポケモンスマッシュ!)'가 후속 프로그램으로 방영되었다. 이는 2013년 9월에 종영 이후 10월에 방영 시작한 포켓몬 겟 TV로 이어지고, 이것도 2015년 종영 이후 포켓몬의 집으로 이어진다.]에서, 대포무노가 일으킨 기적과도 같은 유명한 사건. | 대포무노의 기적에 대해 설명해줘. |
|
대푯값(representative value)은 어떤 데이터를 대표하는 값이다. 평균, 중앙값, 최빈값, 백분위수, 사분위수, 절사평균 등이 있다. 자료의 특징을 수 하나로 표현한 값이다. 한글 맞춤법에 따르면 사이시옷 규정에 의해 '대푯값'이 맞다. | 대푯값에 대해 설명해줘. |
|
대피소란 위험 요소로부터 피(避)하여 임시로 대기(待機)하기 위한[待避] 곳을 말한다. 이때의 위험 요소는 대개 자연재해나 전쟁이지만 강도나 해적 등의 인적 위협이 포함되기도 한다. 전시상황에 공중으로부터의 포격/폭격에 대비하기 위한 대피소는 특별히 방공호(防空壕, 폭탄 bomb shelter)라고 한다. | 대피소에 대해 설명해줘. |
|
(주)대학내일에서 발간하는 주간지로 유명하지만 종합 광고 대행사라고 하는 게 맞다. | 대학내일에 대해 설명해줘. |
|
2015년 4월 3일, 대한민국 국방부에서 2016년부터 대학생 예비군을 대상으로 2박 3일간 훈련 대상에 포함시킨다는 발표 내용. | 대학생 예비군 동원훈련 부활 논란에 대해 설명해줘. |
|
교육과학기술부가 학부모와 수험생들에게 대학에 대한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한 대학정보공시 정책에 의해, 공시된 자료를 공개하는 사이트. 2008년에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이는 초중고의 학교알리미와 똑같다.], 2011년 1월부터는 해당 사이트의 주무부서인 대학정보공시센터의 업무가 한국교육개발원에서 한국대학교육협의회로 이관되었다.[* 네이버에서 분류를 교육과학기술부 아래에다가 두고 있지만, 대학알리미 사이트에 들어가 보면 맨 아래의 소속 주소는 한국대학교육협의회로 되어있다. 문제는 대교협은 관련 사업에 대해서 지원은 받지만 정부 출연기관은 아니라는 것.] | 대학알리미에 대해 설명해줘. |
|
대학 선수들의 야구. 보통 고등학교 졸업 후 프로팀에 지명받지 못하거나 대학을 나오고 싶다는 생각 등의 이유로 대학야구팀으로 진학하게 된다. 한국의 경우 과거에는 비교적 실력이 떨어지는 자신의 고교팀 동료들을 같이 진학시키기 위해 본인의 수준에 비해 이름값이 조금 부족한 대학팀에 진학하는 경우도 있었다. 프로리그에 적응하려면 대학 진학 후 프로 진출이 거의 필수적인 농구[* 한국의 경우. 미국 등의 리그에선 고졸 선수도 꽤 있는 편.], 배구[* 농구와 마찬가지이다.]에 비해 야구나 축구는 고교 졸업 후 바로 프로로 뛰어드는 일이 많기 때문에 프로팀과 대학팀간의 스카우트 전쟁이 치열했다. 이런 스카우트 경쟁은 미국도 마찬가지. 하지만 한국프로야구에서 고졸 선수들과 그 성공 사례가 많아지면서 대학 진학보다는 프로로 바로 가려는 경향이 심해지면서 예전에 비해 대학야구가 어느정도 위축된 상태이다. 일본은 고교 선수들의 궁극적인 목표는 일본 고교야구 전국대회 본선 출전으로 프로 진출은 선택받은 일부만 누리는 것으로 간주하는데다가 일본프로야구 프로야구로 가는 선수들 외에도 일본의 사회인야구 사회인야구로 가거나 아니면 평범한 직장인 생활을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고교야구 선수들이 여전히 프로 직행보다는 대학을 선호하고 있다. 한국과는 달리 병역 문제에서 자유로운 점도 있고.(자위대는 모병제다.) 실업야구가 잘 발달된 대만 역시 주로 고교야구 선수들이 대학을 선호한다. 단 대만의 경우는 최근 몇 년 전만 해도 대졸/군필 고졸만 드래프트에 나올 수 있었다. 애초에 미필 고졸은 프로에 진출할 수 없었다. | 대학야구에 대해 설명해줘. |
|
대학원생(大學院生)은 대학원 또는 대학원대학에 다니는 학생을 총칭하는 말이다. 영어로는 grad student 또는 그냥 postgrad라고 하며, 중국어로는 연구생(研究生)이라고 한다. 교수의 지배를 받는 고학력 집단이며, 학위과정에는 석사과정, 박사과정, 석박사 통합과정 등이 있다. 최근에는 학사-석사-박사를 한 학교에서 모두 재학하는 학석박사 통합연계과정이 생기기도 했다. 재학 형태에 따라 전일제 학생과 시간제 학생으로 나눌 수 있다. | 대학원생에 대해 설명해줘. |
|
문화체육관광부 공보처 산하 한국정책방송원 국립영상제작소에서 1945년 8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제작한 극장 상영용 기록영화. 전국의 모든 극장에서 강제 상영해야 했다. 필름은 1주에 한 번씩 바뀌었으며, 제작 중단 이전까지 총 2040회가 상영되었다. | 대한뉴스에 대해 설명해줘. |
|
대한민국 대통령을 중심으로 공식 및 비공식 수행원들이 국외 순방 등의 공무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전용기 전용 고정익기 및 회전익기(헬리콥터). | 대한민국 대통령 전용기에 대해 설명해줘. |
|
대학교 커뮤니티란 대학구성원들끼리 정보를 주고 받는 게시판 기반의 온라인공동체를 말한다. | 대학교 커뮤니티에 대해 설명해줘. |
|
1948년 11월 20일부터 1949년 8월 31일까지 존재했던 대한민국 국군의 예비군 제도이다. | 대한민국 호국군에 대해 설명해줘. |
|
경제성장기에는 도로 교통과 해운 교통을 중점적으로 발달시켰다. 그러다가 고속철도 사업이 발표되면서 본격적으로 철도 교통에도 투자가 진행되었고, 항공 산업을 위한 공항 투자에도 적극적으로 나서서 인천국제공항 같은 대규모 허브공항이 나왔다. | 대한민국 교통에 대해 설명해줘. |
|
과거에 존재했던, 대한민국어버이연합에 대항하는 격의 단체. 약칭 대자연. 모티브는 자식 이기는 부모 없다. | 대한민국자식연합에 대해 설명해줘. |
|
다물넷 대표 김산호가 저서 대쥬신제국사를 업그레이드해 이미 이전에 단군조선, 부여사 등 몇가지 시리즈 단행본을 내다가 중단되었다가[* 중간에 14권시리즈구성 계획이 거듭해서 바뀌기도 했다.] 이 모두를 장장 1,560페이지의 방대한 분량의 통합판 단행본으로 2013년에 집약한 사이비역사학 '21세기에 만들어진 신화. | 대한민족통사에 대해 설명해줘. |
|
한국 아마추어 야구 및 소프트볼계의 대표·통합 단체이며 대한체육회의 정식 가맹 단체. |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에 대해 설명해줘. |
|
1980년 11월 19일, 미국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을 출발하여 앵커리지 테드 스티븐스 국제공항 앵커리지를 경유 김포국제공항 김포 국제공항행 대한항공 015편(기종 : 보잉 747-200 Boeing 747-2B5B, 기체 등록번호 : HL7445)[* 해당 기체는 1979년 3월 23일에 초도 비행을 하였고, 동년 4월 11일에 대한항공으로 인도되었다.]이 김포 국제공항 착륙 도중 시야 불량과 조종사 실수로 언더 슛[* under shoot, 오버런의 반대 개념으로 비행기가 활주로에 못 미치고 착륙하는 일.], 랜딩 기어 랜딩기어가 활주로 바깥쪽 제방에 충돌하면서 중심을 잃고 활주로에 낙착하면서 전소된 사고. | 대한항공 015편 착륙 사고에 대해 설명해줘. |
|
2001년 9월 11일 일어난 국적기의 격추 미수 사건. 9.11 테러 하필이면 날짜가 날짜인 탓에 연루될 수밖에 없었다. 이 사건은 항공당국의 납치 오인으로 인해 일어난 사고이다. 당시 대한항공 안전보안실에 근무하던 조종사가 쓴 글[* 해당 블로그 글은 조종사 입장에서 작성되었기에 다소 편향적일 수 있음을 감안하자.] | 대한항공 085편 납치 오인 사건에 대해 설명해줘. |
|
1999년 3월 15일 오후 12시 경, 대한항공 KE1533편(기종은 맥도넬 더글라스 MD-83)이 포항공항에 착륙하려다 활주로를 이탈한 사고이다. | 대한항공 1533편 활주로 이탈 사고에 대해 설명해줘. |
|
1991년 6월 13일, 제주국제공항을 출발해 대구국제공항으로 가던 대한항공 소속 여객기가 대구국제공항에서 랜딩 기어를 안 내리고 동체 착륙을 한 사건. | 대한항공 376편 동체착륙 사고에 대해 설명해줘. |
|
2013년 8월 5일, 일본 니가타 공항에 착륙한 대한항공 763편(보잉 737 보잉 737-9B5)이 제동하지 못하고 활주로를 이탈한 사고이다. 사고로 인해 해당 활주로가 폐쇄되었고, 2편의 항공편이 결항되었다. | 대한항공 763편 활주로 이탈 사고에 대해 설명해줘. |
|
대한민국과 일본 큐슈를 잇는 해협. 일본 내에서는 쓰시마 해협[* 일반적으로 보면 협의의 대한해협의 동수도가 쓰시마 해협이다.] 또는 조선해협으로 부르지만, 대한민국 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는 대한해협으로 불린다. 여객선인 한일 페리 노선을 비롯해 많은 수의 어선 및 화물선이 통과하는 허브 수도(지리) 수도(水道)로 꼽힌다. | 대한해협에 대해 설명해줘. |
|
대한핸드볼협회(Korea Handball Association)는 핸드볼경기를 통한 국민체력향상 및 우수한 경기인 양성으로 국위선양과 국민체육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현재 회장은 최태원 SK그룹 회장이다. | 대한핸드볼협회에 대해 설명해줘. |
|
코에이의 게임 대항해시대의 3번째 작품. 부제는 태양의 해안(Costa del Sol)[* 스페인 말라가 주 해안지역의 명칭.]. 1996년에 발매되었고 한국에는 1997년에 수입되었다. 웹게임인 5를 제외하면, 유일하게 정식 시리즈 중 콘솔로 이식되지 않았다. | 대항해시대 3에 대해 설명해줘. |
|
서양에서 세계를 돌아다니며 다양한 항로를 발견한 대항해시대를 배경으로 해서 만든 코에이 테크모의 역사 시뮬레이션 게임이다. 영문판 이름은 Uncharted Waters라고 한다. | 대항해시대 시리즈에 대해 설명해줘. |
|
삼성그룹 등의 대기업과 비슷하게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 강력한 힘을 발휘하는 연예 기획사를 뜻하는 말로 '거대 기획사'라고도 부른다. | 대형 기획사에 대해 설명해줘. |
|
2012년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으로 인하여 대한민국의 할인점 대형마트 규제로 인한 논란. | 대형마트 규제 논란에 대해 설명해줘. |
|
량강도 동북단에 위치한 군(행정구역) 군. 동쪽은 함경북도 연사군 무산군, 서쪽은 삼지연시, 남쪽은 백암군과 접하고, 북쪽은 두만강경계로 중국과 접한다. 북한 량강도의 군 중 하나. 광복 당시에는 함경북도 무산군의 삼장면, 삼사면에 속해 있었다. 현재 대홍단군 지역은 삼장면의 절반, 삼사면의 북쪽 1/5 지역에 해당한다. 대홍단이라는 이름은 지역 이름 중 하나인 대홍단벌에서 따왔다고 한다. 그런데 정작 지역을 흐르는 하천 이름은 소홍단수이다. | 대홍단군에 대해 설명해줘. |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로 49(지번 법곳동 751-10)에 위치한 고양시 마을버스 업체이다. 사무실은 정류장명인 "대화교통사무실"로 존재하지만, 실제 차고지는 056번(서촌) 정류장인 장미농원 근처에 있다. 주소는 대화로37번길 136(법곳동 430). 전 노선이 대화역에서 만난다. | 대화교통에 대해 설명해줘. |
|
수도권 전철 3호선 309번[* 개정 전 0번, 310번].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중앙로(고양) 중앙로 1569 (대화동(고양) 대화동)[* 대화동 2221번지] 소재. | 대화역에 대해 설명해줘. |
|
판타지 소설 《눈물을 마시는 새》에서 언급되는 역사적 사건. 1500년 전부터 시작되어 결국 아라짓 왕국을 멸망시킨 전쟁. | 대확장 전쟁에 대해 설명해줘. |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에 위치한 법정동이다. 성황동(천안) 성황동, 문화동(천안) 문화동, 오룡동(천안) 오룡동, 사직동(천안) 사직동 그리고 서북구 와촌동과 접한다. | 대흥동(천안)에 대해 설명해줘. |
|
서울 지하철 6호선 625번. 서울특별시 마포구 대흥로 지하 85 (대흥동(서울) 대흥동)[* 대흥동 267번지]에 위치해 있다. | 대흥역에 대해 설명해줘. |
|
Dan. 영어 영미권 이름. 주로 대니얼(Daniel)의 애칭으로 쓰인다. '중재' 또는 '정의'를 의미하는 히브리어에서 유래. | 댄에 대해 설명해줘. |
|
레슬링 베이스 1세대 MMA 선수로. 90년대 초창기 NHB에서부터 활약을 이어오고 있는 전설적인 인물. 그야말로 백전연마의 노장이다. 그리고 50 넘은 나이까지 현역 선수로 뛰었던 전설적인 인물. 다른 스포츠를 살펴봐도 이런 사람은 흔치 않다. | 댄 세번에 대해 설명해줘.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활약한 내야수로, 마이애미 말린스 플로리다 말린스의 주전 2루수로 활약하면서 정확성과 수비력은 떨어지지만 메이저 역사상 최초로 2루수로서 5년 연속 30홈런을 날린 파워히터로 잘 알려져 있다. | 댄 어글라에 대해 설명해줘.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활약한 우완 투수로, 기량이 만개했을 때에는 다른 1선발 투수들이 부럽지 않은 팀의 에이스를 맡을 만한 투수였지만 그 전성기에 비해 기량 저하가 너무 급격히 찾아와 사람들의 생각보다 이르게 은퇴를 한 선수다. | 댄 해런에 대해 설명해줘. |
|
댈러스 (Dallas)라고 하면 텍사스주 북부에 있는 댈러스-포트워스 주요도시인 Dallas나 댈러스 카운티를 가리킨다. 여기서는 시에 대해서만 서술하기로 한다. | 댈러스에 대해 설명해줘. |
|
한국의 현대 게임 소설 게임 판타지 웹툰. 스토리는 성상영, 작화는 상아가 담당했다. | 더 게이머에 대해 설명해줘. |
|
글래디에이터(영화) 글래디에이터로 유명한 리들리 스콧이 제작을 맡고 감독으로 The A-Team 극장판 감독인 조 카나한이 만든 리암 니슨 주연의 생존주의 영화. | 더 그레이에 대해 설명해줘. |
|
매년 1월~2월 개최되는 신일본 프로레슬링 PPV이다. 2011년부터 진행되고 있다. 개최 시기는 대부분 2월로 고정이지만, 2018년의 경우와 같이 상황에 따라 1월말에 걸쳐서 2월까지 대회를 가지는 경우도 있다. | 더 뉴 비기닝에 대해 설명해줘. |
|
미국 플로리다 주 출신의 얼터너티브 록 밴드.[* 얼터너티브 록으로 단정짓기는 어렵고, 대개 이모코어, 팝 펑크에 걸쳐있는 편이다.] 밴드 이름이 너무 긴 탓에 대개 줄여서 'The RJA' 혹은 'RJA' 라고 부른다. 본인들도 그걸 아는지 RJA라고 줄여 쓴다[* 사실 이들의 밴드 명칭이 긴 이유는 벽에 여러가지 영단어들을 붙여놓고 제비뽑기로 그 중 3개 단어를 선택해서 고른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 데뷔곡 "Face Down"이 상당히 성공을 거두었으나 이후 대중적 성공은 부진한 편이라 One-hit-wonder로 자주 기억되는 편이다. | 더 레드 점프슈트 애퍼래터스에 대해 설명해줘. |
|
펀컴(Funcom)에서 만든 게임. 1999~2000년 최고의 어드벤처 게임으로 선정되었다. 죽어가던 어드벤처 게임에 잠시 활기를 불어넣은 역사에 길이 남을 명작. | 더 롱기스트 저니에 대해 설명해줘. |
|
영국의 록밴드. 그레이터 맨체스터의 위건 출신이다. 브릿팝 초창기부터 활동하던 밴드로서 오아시스를 오프닝 밴드로 투어에 데리고 다니면서 키워줬던 것으로도 유명하다. 하지만 주로 인디활동을 하였기 때문에, 오아시스나 블러(밴드)와 달리 활동 당시보다는 오히려 브릿팝 말기에 라디오헤드와 함께 우울한 감성으로 주목받은 밴드로 사실 브릿팝과는 약간의 거리가 있는 음악을 했다. | 더 버브에 대해 설명해줘. |
|
The Behemoth. 미국의 게임 제작사. 2003년 Newgrounds의 운영자인 톰 펄프(Tom Fulp)와 아빠와 나(Dad n' me)로 유명해진 플래시 게임 제작자 및 일러스트레이터인 댄 팰러딘(Dan Paladin)에 의해 설립되었다. 작업실은 캘리포니아 주 샌디에이고에 위치. | 더 베헤모스에 대해 설명해줘. |
|
더 시드(the seed)는 온라인 게임 《메이플스토리》의 메이플스토리/빅뱅~유앤아이 유앤아이 업데이트 마지막 타이틀을 장식하는 컨텐츠이자 던전. 여러가지 난관을 돌파하여 탑의 최하층에 도달하는 것이 목적이다. GMS에서의 이름은 Tower of Oz(오즈의 탑)이다. 탑 이름은 도로시가 등장하는 오즈의 마법사에서 가져왔다. | 더 시드에 대해 설명해줘. |
|
울트라 시리즈 8번째 작품이며 최초의 애니메이션 작품. 울트라맨 레오 이후로 시리즈의 전개가 없었지만 서적 등을 통해 아동층의 인기는 유지되고 있어 신작을 기대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었다. 이에 츠부라야 프로덕션은 당시 우주전함 야마토로 시작된 애니메이션 열풍, 그리고 전작 울트라맨 레오의 시청률 부진 등을 고려하며 신작을 기획하면서 실사가 아닌 애니메이션 제작을 생각했고 선라이즈에게 실제 제작을 맡겨 나온 결과물이 더 울트라맨이다. | 더 울트라맨에 대해 설명해줘. |
|
1976년 4월 5일부터 같은해 11월 29일까지 전 34화가 NET계에서 매주 월요일 19시 00분 ~ 19시 30분에 방송된 토에이 제작의 특촬 TV드라마 및 등장하는 히어로의 명칭. 12화까지는 각각 독자적인 조직을 이끄는 각종 범죄자가 등장했다. 일부는 머리에 마스크를 착용하지만 이들 범죄자는 얼굴과 입이 노출하는 경우도 있다. 완전한 인형에서 탈피하려 했으나 사탄 제국이 등장한 13화 이후는 인형에 의한 괴인이 등장하게 되었다. 변경 이유에 대해 당시 촬영 현장의 스탭으로부터 초능력 등을 익힌 주인공이 맨몸으로 인간의 얼굴을 드러낸 괴인을 쓰러뜨리는 것은 반대로 괴롭히는것 같다는 비판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래서 나중에 나오는 쾌걸 즈밧토에서는 영웅을 인간으로 격하시켜 균형을 맞춘 것으로 알려졌다. | 더 카게스타에 대해 설명해줘. |
|
폴란드의 인디 게임 제작사 Harvester Games에서 만든 그래픽 어드벤쳐 공포게임. 2012년 12월에 출시되었으며 2년 동안의 제작기간을 거쳐 만들어졌다고 한다. 후에 출시되는 다운폴 리메이크작(오리지날이 아님)과 로렐라이와 함께 Devil Came Through Here 3부작을 이루게 된다. 같은 세계관을 공유하는 것을 보여주듯 주인공인 수잔은 차기작 2개에서도 가끔 등장한다. | 더 캣 레이디에 대해 설명해줘. |
|
더 콜링은 미국의 록밴드이다. 히트곡 "Wherever You Will Go"이 빌보드 탑 100중 5위를 기록 하면서 북미는 물론 한국에도 유명세를 탔다. 두 정규 앨범을 발매하였으며, 2005년 이후로 알렉스 밴드의 단독 활동을 제외하고 밴드는 중지상태. 정식으로 해체하지는 않았다. | 더 콜링에 대해 설명해줘. |
|
제작은 강원랜드 계열 자회사 하이원엔터테인먼트. 플랫폼은 카카오게임.KOF에 캐릭터 뽑기, 레벨 업, 강화, 승단 등 RPG 기능을 추가했다. 대전에 참가 가능한 캐릭터는 최대 3명. 처음에는 쿠사나기 쿄로 시작하며, 다른 캐릭터는 싱글모드 클리어 보상 카드를 열거나 상점에서 캐릭터 뽑기 아이템을 구입해 랜덤으로만 획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 때 뽑기에서 나오는 캐릭터의 단도 1단~6단중 랜덤으로 정해진다. 상대보다 상위 단, 상위 레벨일수록 능력치가 높기 때문에 뽑기와 레벨 업 노가다를 많이한 편이 대전시에 유리하다. 자동조작이 가능한데, 켜놓으면 끝날 때까지 딴 짓을 하거나 구경할 수 있다싱글모드 외에 와이파이를 통해 전국대전과 지역대전을 할 수도 있다. | 더 킹 오브 파이터즈 M에 대해 설명해줘. |
|
더 킹 오브 파이터즈 '98의 드림캐스트판. 1999년 6월 24일에 출시되었다. | 더 킹 오브 파이터즈 드림 매치 1999에 대해 설명해줘. |
|
더 킹 오브 파이터즈 영화. 데드 오어 얼라이브, 스트리트 파이터 등에 이어 서양에서 대전액션게임이 영화화된 사례인데 선례들과 마찬가지로 충격과 공포의 괴작이며 흑역사. 드래곤볼 에볼루션(드래곤볼 실사영화)이 그랬듯 원작과는 캐릭터 설정 몇 개만 빼면 전혀 연관이 없는 안드로메다급 설정과 구성, 어디서 많이 본 듯한 전개와 시나리오로 이루어진 3류 영화다. | 더 킹 오브 파이터즈(영화)에 대해 설명해줘. |
|
더 킹 오브 파이터즈 역사상 첫 iOS(iPhone) 이식작. 2011년 7월 7일에 출시되었다. 가격은 미국/홍콩 7.99$, 일본 900엔이다. KOF XIII의 콘솔 이식이 발표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개발 중이라는 소문도 없이 바로 출시되어 KOF 팬들에게 신선한 충격을 주었다. | 더 킹 오브 파이터즈-i에 대해 설명해줘. |
|
2013년 개봉한 대한민국 영화. 김병우 감독의 상업영화 데뷔작이다.[* <아나몰픽>, <리튼> 등 장르 독립영화들을 연출했었다.] 주연은 하정우가 맡았는데, 러닝타임 대부분이 한 곳에서 진행되고 주인공이 거의 모든 장면에 등장하는 흔치않은 영화다. | 더 테러 라이브에 대해 설명해줘. |
|
세가의 건슈팅 게임으로, 실험으로 인해 만들어졌거나 바이러스에 감염돼서 좀비로 변한 무리들을 물리치며, 만악의 근원 사건의 원흉을 알아가는 게 주 스토리 라인. 제목을 번역하면 '망자의 집(조지 로메로의 시체 시리즈에서 따온 제목으로 본다면 '시체들의 집')' . 참고로 비슷한 좀비슈팅게임으로는 이블 나이트가 있다. | 더 하우스 오브 더 데드 시리즈에 대해 설명해줘. |
|
티미의 못 말리는 수호천사의 등장인물로 부동산 재벌이자 디마돔 경기장의 주인. 엄청나게 높은 모자에[* 어쩔 때는 끝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높고 어쩔 때는 그냥 높다. 이건 코스마도 마찬가지.] 흰색 카우보이 복장이 특징인 인물. 닉 코리아판 성우는 변영희. | 더그 디마돔에 대해 설명해줘. |
|
미국의 영화 감독이다. 쟁쟁한 연출작에 비해 거론되는 경우가 적으며 은근히 저평가된 느낌이 있다. 액션물에서 호평받는데, 시원시원한 전개와 오락성이 돋보인다. | 더그 라이먼에 대해 설명해줘. |
|
초롱꽃과에 소속한 다년생 덩굴 식물. 학명은 Codonopsis lanceolata. | 더덕에 대해 설명해줘. |
|
괴테의 <파우스트>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3인극 락 뮤지컬. 한국 창작뮤지컬로 2014년 두산아트센터 연강홀에서 초연을 올렸다. 2017년, 드림아트센터 1관에서 4인극으로 개작한 재연을 올렸다. 연출/대본에 이지나, 작곡에 Woody Pak과 이지혜, 작사에 이지나, 이지혜, Woody Pak. 화려한 캐스팅으로 개막 전부터 기대를 모았으나 개막 후에는 호불호가 극심하게 갈렸다 17세 관람가. 2018년에 캐릭터 크로스오버와 엄청난 캐스팅으로 삼연을 올렸다! | 더데빌에 대해 설명해줘. |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네임드 유저 Drakedog(이하 용개)의 트롤(남캐) 비하발언이다. 이 때문에 시기적으로 이전에 등장했던 오오 트럴남캐 오오가 다시 주목받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 더러운 트롤새끼들에 대해 설명해줘. |
Subsets and Splits
No community queries yet
The top public SQL queries from the community will appear here once avail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