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tput
stringlengths 41
2.74k
| input
stringclasses 1
value | instruction
stringlengths 11
154
|
---|---|---|
디시인사이드 카툰-연재 갤러리 등에서 동명의 타이틀로 연재 활동을 하던 신인 웹툰작가 송기래의 데뷔작. 한때 리그 오브 레전드 패러디 만화를 통해 농도짙은 병맛센스를 보여줬으며, 결국 '내일의 예비군' 에피소드로 힛갤에 올라가는 등 심상치 않은 행보를 보여 온 작가라 빠른 시일 내에 프로 데뷔를 하지 않을까 하는 예상이 곳곳에서 나왔다. 그리고 결국, 네이버 베스트도전에 입성 한 뒤 다음의 스카웃을 받아 2014년 9월 4일부로 프로 만화가로써 연재를 시작하게 되었다. 그러다 집안 사정으로 인해 2014년 12월 14일, 부득불 연재 종료를 하게 되었다. | 기래믹스에 대해 설명해줘. |
|
형벌을 받은 사람에 관한 모든 기록을 철저히 지워버림으로써 존재의 부정 없는 사람으로 취급하는 것. 라틴어로는 Damnatio Memoriae.[* 담나티오 메모리아이(교회 라틴어로는 담나시오 메모리애). 직역하면 '기록의 죽음'. damnatio(동사 으뜸꼴 damnare)는 우리가 아는 그 Damn의 어원 맞다.] | 기록말살형에 대해 설명해줘. |
|
기뢰전 함정 중의 하나로 소해함과 반대되는 임무를 수행하는 전략 함정이다. 기뢰부설함이라고도 불린다. | 기뢰함에 대해 설명해줘. |
|
모험왕 비트의 등장 악역으로,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캐릭터. 성우는 카와즈 야스히코. | 기르스(모험왕 비트)에 대해 설명해줘. |
|
분류상으로는 고등어목 갈치꼬치과의 어류. 심해어의 일종이지만 야간에 수심 얕은 곳으로 올라오다가 낚이는 일이 잦다. 성체는 2m 정도로 상당히 크다. | 기름치에 대해 설명해줘. |
|
커피점 탈레랑의 사건 수첩 2권의 등장인물. 기리마 미호시의 동생이다. 학생 신분으로 여행을 위해 교토에 방문하며 처음 등장했다. 교토 여행을 마치고 탈레랑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며 일정 기간 머무른다. 수수한 분위기의 언니와는 다르게 자유분방하고 펑키한 패션 취향에 비록 아마추어지만 기타를 튕기는 어엿한 밴드부원. 아오야마 마코토의 묘사에 따르면 얼굴마저도 닮지 않았다고. | 기리마 미소라에 대해 설명해줘. |
|
일본의 무술가. 당대 유도 최강자로 불렸으며 이후 프로레슬링계에도 진출하였다. | 기무라 마사히코에 대해 설명해줘. |
|
군사안보지원사령부 예하로 전군에 배치된 방첩, 대공혐의점 수사 등 내사업무 전담부대, 호칭은 안보지원대. 보안사 시절엔 '보안부대', 국군기무사령부 예하 부대였었던 시기에는 '기무부대'로 호칭되었고 현재 편의상 보안부대로 다시 불리우기도 한다. | 군사안보지원부대에 대해 설명해줘. |
|
료츠가 아사쿠사 이찌로라는 가명[* 이건 처음에 마토이가 료츠의 이름을 기억하지 못해서 대충 지어 붙인 탓이다. 가명을 쓰는 이유는 공무원의 부업 금지 때문.아예 가짜 호적을 새로 만들었다.]으로 알바중인 초 칸다 초밥집의 경영자 가문. 료츠네 집안과는 친척뻘이 된다. | 기보시 일가에 대해 설명해줘. |
|
문화방송 MBC의 아침 시사교양 프로그램. 평일 오전 9시 45분에 1시간 동안 방송한다. 스타들의 진솔한 이야기, 스타들의 여행과 이색 명소에서 펼쳐지는 스타들의 특별한 체험, 생활에 유익한 좋은 정보들을 다루는 것을 표방한다. | 기분 좋은 날에 대해 설명해줘. |
|
2014년 4월 26일부터 동년 10월 5일까지 방영한 SBS의 주말 드라마. | 기분 좋은 날(드라마)에 대해 설명해줘. |
|
스컬걸즈에 등장하는 생명체. 원어명은 Parasite로, 그대로 직역하자면 기생충이다. 거기다 이름대로 숙주에 기생해 살아가지만, 일반적인 의미의 기생충과는 달리 기생하고 있는 동안 숙주에게 막강한 전투력이나 비정상적으로 긴 삶을 주는 등 강력하고 신비한 능력을 가진 생명체다.[* 기생수의 오른쪽이를 생각해보면 어느정도 비슷하다.] 스컬걸즈의 등장인물 중 많은 수가 하나 이상의 기생체의 숙주이며, 이들의 능력이나 전투력의 대부분은 이 기생체에서 온다. 하지만 게임의 배경인 캐노피 왕국에서는 기생체의 숙주가 심한 차별을 받기 때문에 숙주가 되는 게 마냥 좋은 것만은 아니다. | 기생체에 대해 설명해줘. |
|
스나기 이즈모(砂義出雲)가 지은 일본의 라이트 노벨. 2011년 7월 20일 쇼가쿠칸 가가가 문고에서 제1권이 출간되었다. 일러스트는 루나리아(瑠奈璃亜)가 맡았다( 홈페이지)[* Chien 측의 에로게에서 자주 모습을 보이는 원화가. 現 퍼플 소프트웨어 소속 원화가 코쿠와 체인리액션(동인서클)->C:drive.에서 공동 작업을 한 경력이 있다.]. 한국에서는 2012년 10월 10일자로 서울문화사에서 정발되었으며, 2014년 6월, 5권으로 완결되었다. 번역자는 이주련이다. | 기생여친 사나에 대해 설명해줘. |
|
대한민국의 축구선수.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전 주장이었으며, 2010년대 초반 박지성, 박주영, 이청용과 함께 양박쌍용을 이루는 한 멤버였다. | 기성용에 대해 설명해줘. |
|
어떤 집단의 가입자를 시기에 따라 구분하여 서열을 매기는 방법의 일종이다. 위계가 발달한 한국에서는 기수를 매기는 것 자체가 서열을 나누는 기준이 될 때가 많다. | 기수제에 대해 설명해줘. |
|
기수표(期數標)란 병(군인) 병들 사이에서 생활관이나 소속이 같은 병들을 최선임부터 최후임까지 적은 기록물을 말한다. 부대마다 인적상황을 기록해두는 자료에서는 장교 등 간부들의 사적 기수표를 만들어두기도 한다. 2000년대 후반에 개인정보 유출 등이 문제가 되면서 각 군 본부에서 개인정보를 담은 사적 문서를 파기할 것을 일선 부대에 지시했지만 아직도 유지되고 있다는 말이 많다. | 기수표에 대해 설명해줘. |
|
기술자(技術者) 혹은 기술인(技術人)은 전문적인 기술을 가진 사람을 통칭하는 낱말로, 매우 포괄적인 뜻을 가진 말이다. 기본적으로는 기계적인 의미이다. | 기술자에 대해 설명해줘. |
|
한국프로농구에서 활약 중인 농구선수. 前 창원 LG 세이커스, 안양 KGC인삼공사 소속이었고 現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소속이다. 포지션은 포워드. | 기승호에 대해 설명해줘. |
|
한국의 사이언스 픽션 SF 슈퍼로봇 라이트 노벨. 작가는 홍정훈, 삽화가는 KKUEM과 철이. 꾸엠은 표지 일러스트만 담당하고 내지 일러스트(컬러 페이지 포함)는 철이가 담당한다. | 기신전기 던브링어에 대해 설명해줘. |
|
기아(기업) 기아의 중국 합자회사인 둥펑위에다기아에서 개발한 중국, 러시아 시장 전용 소형차. | 기아 K2에 대해 설명해줘. |
|
기아자동차(당시 아시아자동차)에서 1995년부터 2000년까지 생산한 대형 트럭. | 기아 그랜토에 대해 설명해줘. |
|
군용 ¼톤 트럭 K-131의 민수버전으로 판매된 기아자동차의 2도어형 SUV. 1998년에 출시되었다. | 기아 레토나에 대해 설명해줘. |
|
아시아자동차에서 쌍용 코란도(구) 코란도를 견제하기 위해 1990년 3월 출시한 소형 지프. 별명은 R1.[* 페이스리프트 버전 R2의 영향 때문으로 추측된다.] | 아시아 록스타에 대해 설명해줘. |
|
1971년부터 1998년까지 생산된 기아자동차의 트럭이다. 차명은 독일산 개 품종인 복서 복서에서 유래했다. 영어 표기가 Boxer이기 때문에 이 차를 잘 모르는 요즘 사람들은 외래어 표기법에 맞추어 '복서'로 부르는 경우도 많으나. '복사'가 기아자동차의 공식 시판 차명이다. 1세대 복사의 베이스 모델은 일본 마쓰다의 트럭 모델인 마쓰다 복사이다. 그 중 4.5톤의 후속 모델은 1988년에 출시한 기아 라이노이다. | 기아 복사에 대해 설명해줘. |
|
기아(기업) 기아가 일본 마쓰다의 기술 제휴로 1980년에 최초로 출시한 1톤 트럭에서 시작된 소형 트럭, 대형 승합차, 대형 밴. 2005년 이후로는 소형 트럭 모델만 생산 중이다. 대형 승합차는 미니밴이지만(물론 상용차 등록도 가능한 기준으로) 사실상 승합차인 카니발이 대체 중이다. 단, 카니발은 2005년에 풀체인지로 밴모델이 단종돼서 상용차 등록이 되지 않지만. | 기아 봉고에 대해 설명해줘. |
|
브리사(Brisa)는 기아자동차 기아산업(현 기아자동차)이 그 동안 쌓은 기술로 만들어낸 최초의 후륜구동 승용차이자, 소하리 공장의 첫 양산 차종이다. 현대 포니와 함께 한국 자동차사에 있어 기념비적인 모델이다. 1973년 8월 적재량 500kg인 픽업트럭이 먼저 출시되었으며, 이듬해 10월 세단 모델이 출시되었다. 이후 1981년 자동차공업 통합조치로 인해 같은해 12월에 강제로 단종되기 이전까지 다양한 차량이 생산되었다. | 기아 브리사에 대해 설명해줘. |
|
기아(기업) 기아의 준중형 SUV. 2019년 기준으로 26년째[* 정확히는 1세대 모델이 2002년에 단종되었고, 2세대 모델이 2004년부터 생산되었다. 다만, 수출용은 계속 생산되어 국내에서 단종된 지 약 1년 동안은 미국 수출용 한정으로 계속 생산되어서 정확히는 2003년경에 완전 단종되었다. 그 뒤 2004년에 뉴 스포티지가 출시되어서 그냥 햇수에 포함한 듯하다.] 생산 중이며, 국산 SUV 중 최장수 모델이자 기아에서 세 번째로 장수하고 있는 모델이다.[* 2021년 기준 생산중인 장수 모델은 봉고, 카니발, 스포티지이다.] | 기아 스포티지에 대해 설명해줘. |
|
기아자동차에서 1997년 봄부터 2002년 10월까지 생산한 FR(자동차) 후륜구동 고급 대형 세단으로, 프로젝트명은 T3. 원래 초기에 기획된 모델명은 마젠티스 3600이었고 1997년 1월 17일 출시를 목표로 1996년 말 부터 라디오 티저 광고에 등장하기도 했는데, 어쩐지 이 명칭은 사장되고[* 사장된 명칭인 '마젠티스'는 추후 기아 옵티마, 기아 로체의 수출명으로 재활용하게 된다.] 출시일도 미뤄지며 1997년 3월 18일 지금의 명칭인 엔터프라이즈로 최종 확정되어 3월 28일 출시되었다. 생산은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 | 기아 엔터프라이즈에 대해 설명해줘. |
|
기아자동차에서 1999년부터 2018년까지 판매했던 FF(자동차) 전륜구동 준중형 MPV. | 기아 카렌스에 대해 설명해줘. |
|
기아자동차(첫 출시 당시에는 아시아자동차)에서 1989년 7월에 AM808의 후속으로 출시해 2002년 10월까지 생산한 33인승 중형 리어엔진 버스. 코드네임은 AM818이었다가 1999년 9월에 AM828로 바뀌었다. 그리고 2001년 10월부터 코드네임 KM828로 생산하였다. | 기아 코스모스에 대해 설명해줘. |
|
기아자동차에서 1995년부터 2000년까지 생산한 전륜구동 중형 세단. 기아 콩코드 콩코드의 후속으로 나왔으며, 개발프로젝트명은 G-CAR. | 기아 크레도스에 대해 설명해줘. |
|
1987년부터 2017년까지[* 무려 30년간 생산. 이는 아벨라, 1세대 리오(내수용)를 포함한 기간이다.] 생산했던[* 동 시기 현대자동차 옆 동네의 장수 모델은 포터, 마이티, 그랜저가 해당된다. 특히 쏘나타(1985년), 그랜저(1986년)와 맞먹는 수준.] 기아자동차의 소형차 브랜드이자 기아 스포티지 스포티지, 기아 봉고 봉고와 함께 기아자동차를 대표하는 기아자동차의 상징적 아이콘이었다. (내수형만 2017년으로 끝이며 해외수출용은 현역, 4번째는 기아 그랜버드)[* 1세대로 봉고, 프라이드라면 1.5세대는 스포티지와 그랜버드가 상징적 아이콘이라 볼 수 있으며 쏘렌토가 또 다른 장수 브랜드의 자리에 올라서려 하고 있다(정확히는 기아 2세대 장수모델). 그리고 이 3대 중 맏형격인 카니발은 2018년에 20주년을 맞았다!! 다만 둘째격인 카렌스는 2018년으로 끝.] 기아자동차의 전 라인업 중에서 두 번째로 많은 판매량을 기록하고 있다. 2015년 현재 통산 200만대 돌파.[* 참고로 이건 1세대 프라이드의 실적이 제외된 리오-JB-UB의 판매량으로 집계. 1세대는 포드 페스티바로만 35만대 넘게 판매되었던 걸 감안하면 기아 프라이드까지 포함해서 최소 50만 대 이상이 팔려 나갔다.] 2017년 2월 기준으로 전 세계 누적 판매량이 600만대를 돌파했다.[* 이 기록은 1세대 프라이드와 기아 아벨라 아벨라 및 기아 리오 리오 등 프라이드를 기점으로 한 모든 차종을 아울렀다. 즉 1987년 이후 30년간 누적 판매 기록인 셈.] | 기아 프라이드에 대해 설명해줘. |
|
아일랜드어로 '의무', '맹약', '구속'의 의미를 갖는 말. 켈트 신화에서는 마법적인 구속이자 저주로 묘사되지만 빈틈 없는 기아스는 강력한 힘을 주는 것으로 여겨진다. | 기아스에 대해 설명해줘. |
|
대한민국의 웹툰 작가 겸 방송인, (주)기안84의 대표. 현재 과천시에서 본인의 사무실을 운영하고 있다. | 기안84에 대해 설명해줘. |
|
경기도 화성시 동북부에 위치한 법정동으로 동쪽으로는 배양동, 서쪽으로는 봉담읍 와우리, 남쪽으로는 안녕동, 북쪽으로는 수원시 권선구 평동(수원) 오목천동, 평동(수원) 고색동, 세류동에 접해 있다. | 기안동에 대해 설명해줘. |
|
양극 전극으로 니켈(Ni)을 사용하는 이차 전지를 충분히 방전하지 않은 상태에서 충전하면, 최대 용량에서 남아 있는 용량을 뺀 소모된 용량만 충전 가능한 용량으로 인식하는 현상. 실제로 전지의 용량이 줄어드는 것이 아니라 방전 전압이 떨어져서 용량이 줄어든 것으로 보이는 상태다. | 기억 효과에 대해 설명해줘. |
|
우리가 익숙한 장소를 사용해 쉽게 기억하도록 도와주는 기술로 기억술 중에 가장 유명한 방법이다. 힘 빼서 장소법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영어로는 Mind Palace. | 기억의 궁전에 대해 설명해줘. |
|
기업 설립 후 처음으로 외부 투자자들한테 주식을 공개매도하는 일을 말한다. | 기업공개에 대해 설명해줘. |
|
미래전대 타임레인저의 등장 악역. 성우는 토베 코지.[* 열차전대 토큐저 14년 후에 다시 섀도우 괴인 괴인체 성우로 출연한다. 13화에 등장. 중요한 것은 같이 싸웠던 타임레인저 멤버 중 시온(미래전대 타임레인저) 한 명도 그 중 하나라는 것!] 인간체의 배우는 텐마 노부히로. | 기엔에 대해 설명해줘. |
|
헝가리의 前 축구선수이자 축구감독으로 페렌츠바로시 TC의 원클럽맨이자 문무겸비 신체와 지능을 한 번에 타고난 축구 영웅. 매직 마자르의 첫번째 전성기를 이끈 선수이다. | 샤로시 죄르지에 대해 설명해줘. |
|
슈퍼로봇대전 OG사가 마장기신 3 PRIDE OF JUSTICE 마장기신 3에서 첫 등장한 기오라스트의 후계기. 수호 정령은 풍계 저위 선풍(旋風)의 정령 기오류트, 조자는 팡 잔 비시아스. | 기오리아스에 대해 설명해줘. |
|
일본물산이 개발한 교토를 배경으로 한 아케이드용 화투 게임. 총 5개의 스테이지로 구성되어 있어, 5명의 걸이 나와서 총 20포인트 이상을 획득하면 걸이 탈의한다. 아이템도 존재하고 있다. 음악도 명곡인 작품. 이후 인기를 꽤나 얻어 BET 버전도 출시되었다. | 기온바나에 대해 설명해줘. |
|
일본 교토시 히가시야마구에 소재한 교토의 대표 관광지로 꼽히는 절(불교) 사찰. '기요미즈데라'는 우리말로 '청수사', 말 그대로 '물이 맑은 절'이라는 뜻이다. | 기요미즈데라에 대해 설명해줘. |
|
육십갑자의 마흔여섯째. 천간은 황색을 상징하며, 십이지 지지는 닭을 상징한다. 기유년은 황금 닭의 해이다. | 기유에 대해 설명해줘. |
|
일본 간사이 지방 남부 기이 반도 일대에 분포한 여러 영지(靈地)와 그 영지들을 이어주는 참배길. 와카야마현 전역과 나라현, 미에현의 남부 지역이 포함된다. 스페인의 엘 카미노 데 산티아고 성지순례길과 함께 유이하게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참배길'이다.[* 이러한 이유로 두 세계유산에 관련된 인원들은 서로 여러 형태로 교류한다.] | 기이 산지의 영지와 참배길에 대해 설명해줘. |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내리 송정1호교에서 출발하여 장안읍 명례리 울산시계에서 끝나는 도로. 14번 국도, 23번 부산광역시도, 외부순환도로 77번 부산광역시도, 광역순환도로 88번 부산광역시도와 91번 부산광역시도의 일부이다. | 기장대로에 대해 설명해줘. |
|
동해선 광역전철 K123번.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차성로288번길 86 (청강리)에 있는 동해선 철도역. 부산진역(경부선) 부산진역 기점 29.6㎞. | 기장역에 대해 설명해줘. |
|
동해고속도로 2번.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10번.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기장대로 909-45 (화전리)에 위치한 동해고속도로와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의 나들목. 명칭은 소재지인 기장군에서 유래했다. 요금소 명칭은 기장일광 요금소이다. | 기장IC에 대해 설명해줘. |
|
SBS 드라마 피노키오(드라마) 피노키오의 등장인물. 배우는 윤균상/신재하(아역). | 기재명에 대해 설명해줘. |
|
똥이나 오줌을 가리지 못하는 아이의 똥오줌을 받아 내기 위하여 다리 사이에 채우는 천을 의미한다. 노약자 및 요실금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성인용 기저귀도 있으며, 상황상 화장실에 가기 어려운 우주인이나 전투기 조종사용으로 제작된 물건도 있다. | 기저귀에 대해 설명해줘. |
|
기존의 수학적인 통념을 뛰어넘어 어이를 상실하게 만드는 계산을 하는 사람을 놀릴 때 반어법으로 쓰는 말. 원래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김택용의 별명을 적당히 바꾼 기적의 수학가였다. | 기적의 수학자에 대해 설명해줘. |
|
디지몬 시리즈에 등장하는 양산형 인조 디지몬. 제작자는 장태수(디지몬 세이버즈) 장태수. | 기즈몬에 대해 설명해줘. |
|
2005년에 기즈몬도 社에서 발매한 휴대용 게임기이다. 이 글을 읽는 사람 대부분은 아마 '2005년에 저런게 나왔나?'라고 생각할 텐데, 상업적으로 처참하게 망했어요 망했으니까 당연히 그럴 만도 하다. 2005년부터 2007년까지의 판매 통계가 25,000대 수준이다. 가히 9년 먼저 나온 희대의 망작 Apple Pippin 애플 피핀의 전세계 40,000대를 뛰어넘었을 만한 대기록으로 볼 만하다. 생산 중단은 닌텐도 DS Lite가 출시된 해이기도 한 2006년이다. | 기즈몬도에 대해 설명해줘. |
|
기축 통화(基軸通貨, key currency)란, 국제 단위의 결제나 금융 거래의 기본이 되는 화폐를 의미한다. | 기축 통화에 대해 설명해줘. |
|
일본에서 1979년 이래 도치기현과 군마현을 중심으로 벌어진 의문의 여자 어린이 연쇄 실종사건. 일본 경찰의 어처구니없는 조작 파문을 일으킨 아시카가 사건도 이 사건에 포함된다. '기타칸토(北関東)'라는 이름은 도치기현과 군마현이 관동지역 북부에 위치한 현들이라 붙여진 것이다.[* 한자를 풀어보면 북관동이다.] | 기타칸토 여자 어린이 연쇄 실종사건에 대해 설명해줘. |
|
2010년 3월 10일에 발매된 기타프릭스와 드럼매니아의 새로운 기체. 기계를 완전히 교체하는 완전 신작이다. 이에 따라 하드웨어 사양도 셀러론 440 (1.86GHz)/2GB RAM/Embedded Radeon HD e2400 사양으로 증강되었고, 조작 체계도 완벽히 일신. | 기타프릭스·드럼매니아 XG에 대해 설명해줘. |
|
전투부대를 지원하는 기술행정부대의 준말. 정식 명칭은 '전투근무지원부대' . 또 다른 표현으로는 비전투부대(non-combatant unit)이다. 의장대와 군악대, 군사경찰대는 의전부대로 따로 분류한다. | 기행부대에 대해 설명해줘. |
|
결혼을 한 사람을 말한다. 유부남, 유부녀를 줄여서 유부라고도 하는데 대체적으로 성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 기혼자에 대해 설명해줘. |
|
어떠한 일을 계획(planning)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주로 조직관리에서 쓰이는 용어이다. | 기획에 대해 설명해줘. |
|
드라마나 영화, 만화, 라디오 드라마, 다큐멘터리 등 매체를 통해 표현되는 문화상품들을 만들게 된 동기를 밝히는 것. | 기획의도에 대해 설명해줘. |
|
경부고속도로 43번.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기흥단지로 7 (고매동 524-8)에 있는 경부고속도로의 나들목. 명칭은 소재지인 기흥구(개통 당시 용인군 기흥면)에서 유래했다. 이전 나들목인 기흥동탄IC 기흥동탄 나들목과 나들목 번호를 공유한다. | 기흥IC에 대해 설명해줘. |
|
경부고속도로 43번.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서농동 농서동과 화성시 석우동, 영천동(화성) 영천동에 걸쳐 있는 경부고속도로의 나들목. 톨게이트는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경부고속도로 387 (기흥동 고매동 757-5)에 소재하고 있다. 명칭은 소재지인 기흥구와 인근의 동탄신도시에서 유래했다. 다음 나들목인 기흥IC 기흥 나들목과 나들목 번호를 공유한다. | 기흥동탄IC에 대해 설명해줘. |
|
일본의 소설가 우타노 쇼고의 추리 소설. '집의 살인' 시리즈의 제 1탄이다. | 긴 집의 살인에 대해 설명해줘. |
|
일본 도쿄도 주오구(도쿄) 주오구에 위치한 지명 및 상권. 일본 번화가의 대명사이며, 세계에서 명품매장이 가장 많이 밀집된 지역 중 하나이자 일본에서 땅값이 가장 비싼 곳이다. 두 번째로 땅값이 비싼 오사카 미도스지의 땅값이 평당 6억인데, 긴자거리 중 가장 비싼 곳은 2019년 기준 평당 20억이다. 원래 긴자는 도쿄만의 일부인 곳이었는데, 에도 시대때 이곳을 흙으로 매립했다. 이후 그곳에 은화 제조소가 생겨났고 그곳이 은화를 만드는 거리라는 뜻에서 긴자라는 이름이 지어졌다. | 긴자에 대해 설명해줘. |
|
도쿄메트로 소속의 지하철 노선, 이름의 유래는 도쿄의 유명한 번화가 긴자. 상징색은 금색인데 노선도에 표시되는 색은 어두운 오렌지색. 긴자선의 주황색은 베를린 지하철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 도쿄메트로 긴자선에 대해 설명해줘. |
|
만화 헌터×헌터의 등장 캐릭터. 헌터 십이지의 일원으로 양을 담당하고 있다. 성우는 스즈키 타쿠마. | 긴타에 대해 설명해줘. |
|
일본의 라이트 노벨. 작가는 <아빠 말 좀 들어라!>의 마츠 토모히로[* 여담으로 원작자는 애니가 끝난 후 거식증에 걸렸다고 한다. 이와 더불어 2016년 5월 2일에 결국 지병으로 인해 급서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으며 유언으로 자신의 작품의 여캐들을 관에 그려달라고 하였다.], 삽화가는 9권까지 페코(일러스트레이터) 페코, 10권은 야스, 11권은 히카와 헤키루, 12권(완결)은 미츠미 미사토. | 길 잃은 고양이 오버런!에 대해 설명해줘. |
|
말 그대로 정규 식당이 아닌 노점에서 접할 수 있는 간편한 음식류들을 통칭하는 낱말. | 길거리 음식에 대해 설명해줘. |
|
What a Long, Strange Trip It's Been.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업적. | 길고도 낯선 길에 대해 설명해줘. |
|
Gilneas[* 원문 발음은 "길네이아스"와 비슷하다]. 워크래프트 시리즈의 지명. 아라시 고원에 위치하였던 고대 국가 아라소르 왕국의 후계자이자, 일곱 왕국의 일원인 국가다. 통치자는 겐 그레이메인이다. | 길니아스에 대해 설명해줘. |
|
페어리 테일(만화) 페어리 테일의 등장인물로, 페어리 테일(페어리 테일) 페어리 테일의 S급 마도사 중 한 명이다. | 길다트 클라이브에 대해 설명해줘. |
|
수도권 전철 5호선 549번. 서울특별시 강동구 양재대로 지하 1480 (길동)[* 길동 378번지] 소재. | 길동역에 대해 설명해줘. |
|
몬스터 헌터 시리즈 에 등장하는 단체와 이 단체 속하는 직업. 대부분의 헌터(몬스터 헌터 시리즈) 헌터들은 계약직이거나 마을 전속 헌터이나, 이들은 헌터 길드 직속이다. | 길드 나이트에 대해 설명해줘. |
|
절대가련 칠드런의 등장인물. 블랙 팬텀(절대가련 칠드런) 블랙 팬텀의 새로운 후계자. 나이는 쿠모이 유리 팬텀 도터보다 연상인듯. 팬텀 도터가 받은 세뇌가 일상생활에 의해 풀리기 시작하면서 팬텀 도터의 대체자로써 등장. 칠드런이 사용한 부스터 염파를 기록한 벌레에게서 부스터의 염파를 흡수하면서 등장한다. 팬텀 도터가 만든 세뇌 통제를 이어받고 있으며 이후 팬텀 도터를 제거하려고 한다. 하지만 부스터의 염파를 흡수한 후 부스터에도 신경쓰는 모습을 부여주면서 팬텀 도터보다 에스퍼 레벨이 낮다는 점을 내비친다. 일단은 팬텀 도터와 같은 "아버지"의 자식같아 보이지만 "아버지"에겐 팬텀 도터가 없어서 길리엄이라도 마지못해 쓴다는 생각이기 때문에 팬텀 도터에 비해 대접이 대략 좋지 않으며 그 덕에 팬텀 도터에겐 일종의 열등감을 가지고 있다. 여담이지만 효부가 헤어스타일을 놀리자 화냈고 서플리먼트에서는 유리가 기억을 잃고 가짜 부모랑 여행간다는 정보를 듣고는 엄청 부러워했다. | 길리엄(절대가련 칠드런)에 대해 설명해줘. |
|
파이어 엠블렘 성마의 광석의 등장인물. 바네사, 몰더와 더불어 초반에 등장하는 프레리아 3인방 중 한명이다. 클래스는 아머나이트고 제너럴이나 그레이트 나이트로 전직할 수 있다. | 길리엄(파이어 엠블렘 성마의 광석)에 대해 설명해줘. |
|
빨강머리 앤의 등장인물. 애니메이션의 성우는 일본이 이노우에 카즈히코, KBS가 오세홍.[* 이노우에 카즈히코와 오세홍 둘다 짱구는 못말려의 교다 도쿠로와 머신로보 크로노스의 대역습에서 롬 스톨을 맡은 성우다.] EBS 재더빙판 성우는 엄상현. 대원방송 재더빙판 성우는 박성영. EBS에서 방영된 캐나다 드라마판에서의 배우는 조나단 크롬비[* 1966~2015. 토론토 시장(공무원) 시장을 1978~1988년까지 역임한 데이빗 크롬비(1936~)의 아들로 85년, 87년, 2000년까지 앤 3부작 전부 길버트를 연기하여 길버트를 연기한 배우 중 가장 인지도 높은 배우였으나 안타깝게도 2015년 4월 15일 48살에 뇌출혈로 세상을 떠났다.]. 넷플릭스 드라마 판은 루카스 제이드 주만. 더빙한 성우는 엄상현. | 길버트 블라이스에 대해 설명해줘. |
|
NBA에서 활동했던 농구선수. 2라운드에 뽑혀 주목받지 못하다 올스타급으로 성장함과 동시에 특이한 정신세계 및 기행으로 센세이션을 일으켰으나 빠르게 몰락한 괴짜 가드. 아디다스 광고 모델로 한 때 주목 받았다. | 길버트 아레나스에 대해 설명해줘. |
|
후한 말의 인물. 한자의 모양새 때문에 길비(吉㔻)가 진짜 이름이라는 주장도 있다. 정사와 연의에서의 행적이 완전히 다른 인물 중 하나. | 길본에 대해 설명해줘. |
|
'길상사'라는 이름의 절은 전국에 산재해 있다. 성북구에 위치한 길상사가 가장 유명하나 서울특별시 내에도 관악구와 서대문구에도 있다. 또한 길상사라는 이름은 현재의 송광사가 맨 처음 창건되었을 때의 이름이기도 하다. | 길상사에 대해 설명해줘. |
|
서울특별시 성북구 길음동, 정릉동[* 10단지, 균형발전촉진지구 3, 4, 5구역이 정릉동에 들어간다. 또한 길음뉴타운 구역에 꼽사리 낀 경남, 태영아파트가 길음뉴타운이라는 이름을 쓰지만 뉴타운 개발계획에 의해 지어진 곳들은 아니다. 두 곳은 계획 발표 이전인 1999년에 입주했다. 해당 구역들은 주소지는 정릉동이지만 생활권도 그렇고 모습도 정릉동 다른 곳(3, 4동)과는 다르다보니 거주민들은 보통 길음뉴타운 산다고 한다.] 일대에 추진된 뉴타운 사업. | 길음뉴타운에 대해 설명해줘. |
|
수도권 전철 4호선 417번[* 개정 전 17번]. 서울특별시 성북구 동소문로 지하 248 (길음동) 소재. | 길음역에 대해 설명해줘. |
|
전 삼성 라이온즈, 한화 이글스 소속의 투수. 187cm, 100kg의 좋은 체격조건을 가진 선수로 개성고등학교에 진학하며 포수에서 투수로 전향했다. | 길태곤에 대해 설명해줘. |
|
아이슬란드의 살아있는 전설이자 현 에버튼 FC 소속의 미드필더. 공격형 미드필더로 주로 뛰며, 좌우측면도 소화할수 있다. | 길피 시구르드손에 대해 설명해줘. |
|
대한민국 육군의 장성급 장교 장성. 김동신 대장(계급) 대장에 이어 제34대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을 지냈다. 후임자는 김판규 대장이다. | 길형보에 대해 설명해줘. |
|
대한민국의 가수. 록밴드 '뜨거운 감자'에서 보컬과 기타를 맡았다. 김C라는 예명은 다른 각별한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닌 음악 활동을 하면서 윤도현이 본명인 김대원의 성이 김(성씨) 김(金)이라 자신을 자연스레 김씨라고 부르던 것[* 김C는 윤도현에게 윤씨라 호명.]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그러면서 김씨는 김씨 성을 가진 불특정 다수를 의미하는 중의적 표현이라 자연스레 김C가 되었다. | 김C에 대해 설명해줘. |
|
KOF 2002 김갑환의 별명. 김갑환의 가드 불능을 합친 것이다. 점프A의 악랄한 성능과 가드 불능 가드를 할 수 없게 만드는 심리전과 셋업으로 인해 붙은 명칭. | 김가불에 대해 설명해줘. |
|
대한민국의 중견 배우. 정말 다양한 역할을 선보였다. 그가 맡은 역할은 보잘것 없고 찌질한 가장부터 근엄한 높으신 분까지 연기 스펙트럼이 넓으며, 울림이 있는 부드러운 중저음 목소리와 연극 무대에서 닦은 좋은 발성으로 어떤 역을 하든 깊이가 있다. 카리스마를 감춰야 할때는 쭉 감추다가 감정선이 커질 때 그 카리스마를 사정없이 드러내기도 하고 배역 내내 카리스마를 유지할때도 있는 등, 현역 배우 중 연기력으로 따지자면 단연 최정상급에 위치한 배우이다. | 김갑수에 대해 설명해줘. |
|
김경묵은 한국의 독립 영화 감독이자 퀴어 영화 감독이다. 1985년 부산직할시 출생. | 김경묵에 대해 설명해줘. |
|
대한민국의 야구선수 출신 코치(스포츠) 감독. 2019년부터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맡고 있다. | 김경문에 대해 설명해줘. |
|
여몽전쟁 때 대활약한 고려 시대의 명장이자 만고의 호국영웅. 전대의 유금필, 양규, 척준경이나 또한 무신 정권 시절 대정 김취려, 김윤후, 서북면병마사 겸 상장군 박서나 이후 김방경과 후대의 최영, 이성계 못지 않은 고려의 용장(勇將) 중 한 사람이다. | 김경손에 대해 설명해줘. |
|
1992년 한국방송공사 KBS 공채 23기 남자 성우. 구자형, 김소형(성우) 김소형, 오인성, 장호비, 전인배, 성완경, 배정미, 이선(성우) 이선, 김희선(성우) 김희선과는 동기. 동기인 오수경과는 부부 사이였다. | 김관진(성우)에 대해 설명해줘. |
|
LG 트윈스의 육성군 재활코치이자 2019년 육성군 투수코치로, 투수로 입단했으나 부상으로 인하여 2007년 시즌 후 외야수로 포지션을 변경했지만, 눈에 띄는 활약을 보이지 못하고 2010년 다시 투수로 전환하여 은퇴할 때까지 투수로 뛰었다. | 김광삼에 대해 설명해줘. |
|
대한민국의 축구선수이자 포항 스틸러스의 원클럽맨 레전드 수비수였다. 현재는 인천 유나이티드 FC 소속 선수. | 김광석(축구선수)에 대해 설명해줘. |
|
대한민국의 남성 트로트 가수이다. 대중들에겐 타타타, 자신의 아들과 함께 부른 아빠와 함께 뚜비뚜바, 은하철도 999의 주제가를 부른 사람으로 유명할 것이다. | 김국환에 대해 설명해줘. |
|
대한민국 육군의 예비역 준장. 전투병과 출신 여군으로는 송명순 준장에 이어 2번째이며 전체 여군 장성 중에는 10번째이다.[* 2015년까지 배출된 여군 장성 10명은 전원이 육군이다.] | 김귀옥(군인)에 대해 설명해줘. |
|
1980년 서울 태생의 작가. 초등학교 때 외가에 가본 것 외에는 서울 인근을 벗어난 적이 없다. 태어날 때부터 하반신 신경계의 이상으로 제대로 걷지 못했고, 초등학교 4학년 때까지 9번에 걸쳐 수술을 받았다. 중학교 2학년 때 도저히 건강이 허락하지 않아 학교를 그만둔 뒤 운명처럼 소설에 빠졌다. | 김근우에 대해 설명해줘. |
|
대한민국의 전 경찰공무원. 조현오에 이어 17대 경찰청장을 지냈다. 후임자는 이성한(경찰) 이성한. | 김기용에 대해 설명해줘. |
|
한국의 타이포그래피 타이포그래퍼. 본명은 김경준이며 술탄 오브 더 디스코 김덕호라는 예명을 사용한 적도 있다. | 김기조에 대해 설명해줘. |
|
자칭 한반도 통일운동가이자 주한미국대사 피습 사건 주한미국대사 마크 리퍼트 피습 사건의 범인. | 김기종에 대해 설명해줘. |
|
1915년 광주광역시 광산구(당시 전라남도 광주군)에서 태어났다. 남수침술원 원장이자 정통침뜸연구소 소장이었다. | 김남수에 대해 설명해줘. |
Subsets and Splits
No community queries yet
The top public SQL queries from the community will appear here once available.